님, AI 트렌드 뉴스레터 이지딥레터가 왔어요!
8월 넷째주 이지딥레터 오늘의 이지딥레터 머스크가 '테슬라 봇'을 만드는 EU 테슬라 AI 데이 핫 데뷔! AI 소설가 국내 첫 인공지능 소설가 🗞 100명이 쓴 경고 논문부터 팀 AI PEPPERS까지 이지딥레터가 더 많이 꾹꾹, 이런저런 AI 소식을 눌러 담았답니다. 머스크가 🤖'테슬라 봇'을 만드는 EU 테슬라 AI 데이 길어요, 길어!
위 이미지는 실제 테슬라 봇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슈퍼스타 일론 머스크. 그와 테슬라가 AI 데이를 열었습니다. 오, 당연히 수많은 눈이 이곳으로. 그리고 나온 머스크의 선언. 음? "사람처럼 생긴 AI 로봇"을 만들겠다?! 🦾 테슬라 봇
AI 데이 테슬라가 지난 19일, 'AI 데이(AI Day)'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풀영상. 38분부터 시작합니다.) 2019년 자율주행 데이, 2020년 배터리 데이에 이은 또 다른 테슬라의 '데이' 행사. 주인공은 AI였지요. 부정파 머스크 사실 머스크는 AI 부정파로 통해왔습니다. 지난 2014년에는 MIT 연설에서 AI를 두고 "악마 소환"이라고 부른 적도 있죠. 그런 그가 있는 테슬라가 AI를 주제로 한 커다란 행사를 열었다니, 웅성웅성. 로오봇 베일을 벗은 행사에서는 테슬라의 AI 기술들이 쏟아졌습니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끈 결과물은요, 발표의 마지막을 장식한 이것. "테슬라 봇(Tesla Bot)." 이 세션은 로봇 쫄쫄이를 입은 사람의 춤과 함께 시작했습니다. 역시 춤신춤왕 머스크답네요. 이 휴머노이드 로봇의 스펙을 간단히 살펴볼까요. (참고)
🐣 진짜배기는
스포트라이트는 테슬라 봇이 받았지만, 진짜배기는 완전자율주행(FSD) 용 반도체 칩과 슈퍼컴퓨터입니다. FSD 테슬라는 다른 자율주행 업체들과 조금 다른 길을 가고 있습니다. 주변 상황 인지를 대부분 카메라와 AI에게 맡기는 것. 테슬라는 이로써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센서, 라이다와 레이더를 제거했고요. "차량 전체를 둘러싼 8개 카메라가 받아들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신경망 기술 강화"가 핵심입니다. 날 것의 정보를 AI가 빠르게 필요한 정보로 바꿔 도로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죠. 도조와 D1 여기에는 이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주체, 즉 성능 좋은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이번 AI 데이에서 선보인 건 이 하드웨어들. 엄청난 연산 속도와 대용량을 자랑하는 슈퍼컴퓨터 '도조(Dojo)'(내년 가동 예정)와 자체 제작 반도체 칩 'D1 칩'. 최신 AI 기술들은 성능이 올라간 만큼 조금 무거워졌는데, 이를 차 안에 넣고 돌릴 만한 하드웨어를 직접 개발해 도입한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참고)이해를 돕는 비유로 실제 작동 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ㅇㅇㅇ ㅇㅇ
이지딥레터식, 이번 테슬라 AI 데이의 이유와 의의 정리.
🗞 짧은 뉴스 모았어요! ⚠️ 100+200의 경고 ⚠️ 대규모 언어모델. 언어를 둘러싼 모든 행위를 해내는 슈퍼 AI로 구글(BERT), 오픈AI(GPT-3) 뿐만 아니라 국내 대기업들이 다수 뛰어든 분야입니다. 그런데요, 이거... 검증됐나요...? 스탠퍼드대 100여명의 공동저자가 200쪽이 넘게 쓴 논문 '기초 모델의 기회와 리스크'는 대규모 언어모델이 불러올 위기를 경고합니다. 기초 구조 검증보다 앞서 출현한 AI가 가져올 편향의 재생산, 어마어마한 이산화탄소 배출양 등에 대한 사이렌. 위기, 위기, 위이이이이잉.
GO! AI PEPPERS 🏐 도쿄 올림픽, 여자배구 대표팀의 초멋진 활약을 기억하시나요? 이 인기를 이어갈 일곱 번째 신생팀의 이름이 정해졌습니다. 어라, 왜 이지딥레터로 왔냐고요? 그 이름, "AI PEPPERS"기 때문이죠. 기업을 후원하는 페퍼저축은행 측은 "데이터 기반 경기력 분석 시스템"을 바탕으로 최고의 배구단이 되고자 이름에 AI를 붙였다고 설명. 이들의 연고 지역조차 'AI 중심도시' 광주. 매콤합니다. AI, 정말 어디서나 미친 존재감.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경기력을 기대할게요. 핫 데뷔?! AI 소설가 국내 첫 인공지능 소설가
대파란. 국내 첫 인공지능 소설가 데뷔 소식입니다! ✍️ 지금부터의 세계
책의 이름은 '지금부터의 세계'. 의미심장하군요. 비람풍 이 역사적인 AI 소설가의 이름은 '비람풍'. 우주의 처음과 마지막에 분다는 거대한 폭풍이란 뜻이래요. 출판사는 "서사다운 서사를 갖춘 '진짜 소설'로서 세계 최초 AI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으나, 확인 여부에 따라 그럴 수도 있겠다"(🤨)고 설명하는 군요. 대필 작가 물론 이 소설이 온전히 비람풍 혼자 써낸 소설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소설감독'이란 직업을 자처한 소설가 김태연 님이 주제와 소재, 배경과 캐릭터, 스토리보드, 도입부, 서문, 후기를 썼다고. AI는 이렇게 들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장을 재구성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쉽게 말해 '대필작가'라고 표현할 수도 있죠. 다만 스타트업 다품다(김태연님 설립), 나매쓰(가명)가 참여했다고 하는데, 기업 정보도 공개하지 않아 진위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일어나는 중이기는 합니다. 💻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
깜짝 단편소설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의 일부입니다. 2016년, 일본에서는 AI가 쓴 이 SF소설이 문학상 1차 예심을 통과하며 화제를 모았죠. 소설은 하코다테 미래대학 마쓰바라 진 교수의 연구팀이 제작했다고 하는군요. 어떤가요? 진짜 소설 같나요? 🤔 +소설가는 정말? 이런 뉴스가 뜰 때면 언제나 소설가는 사라질까? 하는 논란이 와글와글. 그렇지만요, 이런 생각은 어떠세요? 소설가에게는 인간의 입장이 있습니다. 인공지능에게는 인공지능의 입장이 있겠죠. 어쩌면 인공지능의 예술은 인간의 예술과 다른 새로운 지평을 열어낼지도 모른다고, 무언가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나란히 가는 방향으로 갈수도 있다고요. 주변에 널리 널리 이지딥레터를 소개하세요! 소개 링크 : https://url.kr/tpyb5a ![]() 알고리마 채용 알고리마가 함께 성장할 동료를 기다립니다. 채용 포지션 프로덕트 디자이너 / 교육 콘텐츠 기획자 (상시 채용) 머신러닝・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백엔드 엔지니어 /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