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
배우, 연출, 디자이너를 위한 대본 분석(5) | 제임스 토머스 지음, 김창화 옮김
4장.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이 희곡의 첫째 원칙이자 영혼이라고 믿었습니다. 플롯은 본질적으로 줄거리, 어떤 것이 움직인다는 느낌, 희곡이 어디론가 나아가는 것, 이벤트(사건)가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슨 일이 있었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야?”
“무슨 일이 일어나려고 하는 거야?”

이런 질문이 플롯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기에 답하려면 희곡에서 다음의 네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① 외부적 행동 ② 내부적 행동 ③ 진행 ④ 구조
넷 중 하나로는 플롯이 약하거나 부족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4장에서는 그중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을 다룹니다.

무대 위 물리적 사건과 관련 있는 ‘외부적 행동’을 스타니슬랍스키는 플롯의 첫 번째 계획이라고 불렀습니다. 희곡을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무대 지시문이 아니라 대화나 대사에서 외부적 행동을 유추할 만한 정보를 뽑아내야 합니다. 무대 지시문은 초연 무대에 대한 기록이므로 새로운 공연을 위해서는 잠시 밀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인물의 대화에서 ① 등장과 퇴장(프렌치 신) ② 블로킹(동선 연출) ③ 소품 사용 같은 특별한 활동(외부적 행동)에 대한 정보를 찾고, 그로부터 플롯을 파악합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내부적(심리적) 행동’플롯의 두 번째 계획이라고 불렀습니다. 
① 자기주장 ② 미래 계획 ③ 명령 등 세 가지 형태의 대화에서 인물의 심리, 관념, 감정적 충동이 드러납니다.

배우와 연출은 등장인물의 행동에서 플롯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요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디자이너는 장면과 의상, 조명 표현으로 인물의 행동이 플롯을 위해 제 기능을 하게끔 해야 합니다. 
질문
  1. 외부적 행동. 

    ✍️대화에서 인물의 등장과 퇴장을 확인한다.
    예: <오이디푸스 왕>에서 코러스가 말한다. "그가 오고 있다. 크레온이 오고 있어."
    ✍️인물의 등장과 퇴장이 플롯의 발전에 각각 어떻게 기여하는가?
    ✍️대화에서 다른 움직임, 등장인물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나?
    ✍️실제로 사용되는 소품이 대화에 언급되는가?
    ✍️춤, 격투, 요리와 같은, 혹은 일반적인 동선에서 벗어난 어떤 것 혹은 소품을 사용한 특별 활동이 대화에 언급되고 있나?
    ✍️이런 것들이 플롯의 진행을 돕고 있나? 아니면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인가? 

  2. 내부적 행동. 
    ✍️등장인물, 장소, 사건, 그리고 현재 행동이 일어나고 있는 이벤트에 대한 분명한 자기주장을 모두 찾아내고 강조한다.
    ✍️뭔가를 실행하기 위한 세밀한 계획이 있나?
    ✍️힘 있는 인물이 내린 명령은 무엇인가? 권위 있는 인물의 공식적인 명령이 있나?
    ✍️교육을 위한 지시나 설명이 있나?
    ✍️내부적 행동이 어떻게 이야기를 앞으로 끌고 가는지 설명해 보라. 
  3. 뒤따르는 행동 분석.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에 숨어 있는 희곡의 씨앗/주제를 찾아라.
    ✍️작가는 왜 다른 모든 가능성 중에서도 하필 이런 특별한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을 선택했을까?
    ✍️이 희곡의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은 다른 희곡과 어떻게 다른가?
용어 정리
  • 프렌치 신(French Scene) : 17세기 프랑스 고전극은 각 막이 열 개가 넘는 장면으로 구분되어 있다. 당시에는 새로운 인물이 무대에 등장 또는 퇴장하면 이를 새로운 장면으로 구분하는 관례가 있었다. 인물의 등장과 퇴장에 따른 장면 구분을 프렌치 신이라고 한다.
    영화나 텔레비전에서는 카메라가 어디든 인물을 따라다니므로 인물의 등장과 퇴장을 대화에 명시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희곡에서 무대 행동은 (인물의) 등장으로 시작해 (인물의) 퇴장으로 멈춘다. 누가 어떻게 무대에 서고, 섰으며, 설 것인가에 따라 무대 행동이 결정된다.
-몰리에르, <학식을 뽐내는 여인들> 장면
책에서 더 확인해야 할 것
인물들의 대화에서 외부적 행동과 내부적 행동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작품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이런 무대 행동이 플롯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무대 지시문이 아니라 인물들의 대화로부터 플롯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뽑아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 책에는 대본 분석 단계에 따라 배우, 연출, 디자이너가 희곡에 던져야 할 질문들이 실려 있습니다. 매주 두 차례 그 내용을 정리해서 보내 드리려고 합니다. 이 질문들로 희곡 분석을 시작해 보세요.
모두가 같은 답을 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는 편견과 오류가 없어야 합니다. 좀 더 좋은 답을 내고 싶다면 꼭 책의 도움을 받으세요.
이 정보가 더 많은 연극인, 예비 연극인에게 전달되길 바랍니다.

💌💌오늘 보내 드린 내용에 대해 의견을 보내 주세요. 참고하여 보다 알찬 정보를 보내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추천하기'에 이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분 메일 주소를 남겨 주세요.
지만지드라마
zmanzdrama@commbooks.com
서울 성북구 성북로 5-11 | 02-3700-124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