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5.12 | PC사랑 뉴스레터 22호 | 구독하기 | 이전 뉴스레터
안녕하세요, 온라인 편집국 이백현 기자입니다.

최근 떠들썩한 소식이 많은 가운데, 기자의 눈을 유독 잡아끈 소식이 하나 있었습니다. P2E(Play To Earn) 게임 대표주자로 알려진 위메이드의 코인 '위믹스'가 재차 상장 폐지라는 결과를 맞이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플레이 투 언, 그러니까 게임을 해서 가상화폐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실제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해서 게이머들을 끌어모으겠다는 구상은 2021년 초 게임업계의 화두가 된 바 있습니다. 챗GPT 등장으로 인한 'AI 붐'이 일기 전이었죠. 당시 비트코인 등의 가상화폐가 연이어 고공행진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로부터 몇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게임업계와 가상화폐 기술을 결합해 챗GPT처럼 '눈에 띄는 성공'을 보여준 기업은 아직 없습니다. 'P2E', '블록체인'과 같은 키워드는 더 이상 투자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듯 보이죠.

그렇다면 P2E 게임은 왜 '성공 사례'를 남기지 못했을까요?
Today's Index

- Editor's Pick
- Weekly Breifing
 •하드웨어 리뷰
 •신제품 News
- 산뜻한 바람과 함께, 2025년 5월호
Editor's Pick
P2E 게임은 왜 성공 사례를 남기지 못했을까?

P2E 게임의 전신은 2017년 이더리움 기반의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였습니다. 이 게임은 고양이 캐릭터를 NFT(대체불가능토큰)로 만들어 교배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한때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정도로 인기를 끌었죠.

비록 명확한 '수익 모델'은 없었지만, 게임 아이템의 소유권과 환금성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현실화했습니다.

P2E의 진정한 붐은 2021년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성공에서 비롯됐습니다. 사용자는 귀여운 괴물 ‘엑시’를 키우고 전투에 참여하며 가상화폐를 얻고, 이를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현금화할 수 있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특히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에서 수많은 이들이 엑시를 생계 수단으로 삼으며 “게임은 곧 노동”이라는 풍경이 펼쳐졌죠. 블록체인과 NFT가 결합된 수익형 게임의 대표 주자로 엑시는 하루 수백만 명의 이용자를 끌어모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22년 엑시 해킹 사건(6억 달러 규모)과 토큰 경제의 인플레이션, 신규 유입 감소 등으로 수익 모델이 붕괴되며 한계를 드러냈죠.

이 '엑시 인피니티'는 P2E 게임 중에서 가장 성공한 사례인 동시에, 몰락하는 P2E 게임의 전형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P2E를 내세웠다 몰락하는 게임의 사례를 살펴보면 이 '엑시 인피니티'와 일관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거든요.

새로운 P2E 게임의 서비스가 시작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게임에 흥미를 보인 게이머들과, '돈을 벌러 온' 사용자들이 대거 게임에 유입됩니다. 처음엔 다들 게임 세계를 탐험하는 데 바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돈을 벌러 온' 사용자들은 게임 내 코인을 취득하고, 그 코인을 현금화하기 시작하겠죠.

시장에는 점차 더 많은 양의 코인이 공급될 겁니다. 여기에다 "게임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진다면, 더 많은 '코인 생산자'들이 게임으로 유입되겠죠. 힘들여 직장에 나가지 않고도  게임 내 노동으로 돈을 벌 수 있다면, 마다하지 않을 이용자는 상당히 많을 겁니다. 다만 이런 과정에서 코인이 계속 공급된다면, 코인의 가치는 하락하게 되어 있습니다. 코인이 어딘가에서 '소비'되지 않으면, 코인의 가치는 유지되기 어렵겠죠.

이때 코인을 '소비'할 수 있는 세력은 게임 자체에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현금을 써서라도 게임을 즐기고 싶어하는 이용자들입니다. 이런 게이머들은 현금으로 판매되는 '코인'을 취득한 후, 이 코인을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구매하는 등 재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게임이 충분히 흥행하고, 많은 사람들이 돈을 써서라도 '코인'으로 게임 내 아이템을 구매하고 싶어한다면, 코인의 공급량과 가격은 적당량이 유지될 겁니다. 코인을 구매하는 '게이머'도, 코인을 판매하는 사용자들도 서로 만족할 만한 상황일 수 있겠죠.(투자 목적으로 '코인'을 구매하는 투자자들도 있겠지만, 투자자들은 '코인'을 소비하지 않으니 코인의 공급량과 가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데는 기여하지 않습니다.)

다만 게이머들은 언제든지 게임에 흥미가 사라지면, 지속적인 코인 구매를 그만두고 게임을 떠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코인 판매자'들은 어떨까요? 게이머가 떠나 코인 소비가 줄어들면, 가상화폐 시장에 공급되는 코인의 개수가 많아집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떨어지겠죠.

다만 '엑시 인피니티' 등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에서 게임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사용자들은 쉽사리 게임에서 떠날 수 없습니다. '직장'을 그만두는 건 게임을 그만두는 것보다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현금화되어 유통되는 코인의 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코인의 가격은 더욱 줄어듭니다.

이런 과정에서 코인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코인을 구매해 게임을 즐기던 '게이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순수하게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라면 아이템의 현금 가치에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은 이미 많은 사례로 반박당한 바 있습니다. 흔히 게임에 수천 만 원을 쓴다고 알려진 속칭 '고래' 유저들은, 자신이 소유한 아이템의 가치가 떨어지면 강렬한 반발 의사를 표출하거나, 게임을 떠나기까지 합니다. 최근 스마일게임즈의 '로스트아크'에선 기존 아이템 가치를 급속도로 떨어뜨리는 패치로 유저들의 역풍을 받은 바 있죠.

P2E 게임에서 '코인'의 현금 가치가 감소한다는 것은 곧 게임 내에서 보유한 아이템과 자산의 가치가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높은 등급의 장비를 구매하고, 이를 통해 더 높은 난이도의 과제에 도전해 '쟁취해낸' 아이템과 재화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이 게이머들이 '게임 플레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재미' 자체가 감소하는 셈입니다. 그렇게 '게이머'가 이탈하고 나면, 소비되지 않는 코인은 시장에 계속해서 늘어납니다.

그리고 종래에는 더 이상 코인을 판매해 돈을 벌 수 없다면? P2E 게임의 존재의의 자체가 무력화되는 셈입니다. 게임을 즐기던 '게이머'들이 이탈하면, 게임으로 돈을 벌던 사용자들도 결국에는 게임을 이탈할 수밖에 없습니다.

P2E가 아닌 게임은 일시적인 유저 이탈에도 존속할 수 있고, 추후에 다시 유저를 끌어모으는 일도 적지 않습니다. 다만 'P2E로 출발했는데 더 이상 돈이 안 되는 게임'은 어떨까요? 게임의 대내외적인 경쟁력을 잃게 될 테고, 투자 목적으로 코인을 구매했던 이용자들도 손을 떼겠죠.

P2E가 아닌 게임도 게임 내 재화의 가치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운영해나가기란 상당히 어렵습니다. 한때 '갓겜'으로 칭송받던 로스트아크도 논란이 되는 패치 한두 번으로 유저 이탈을 겪곤 하니까요.

정리하자면, P2E 구조의 게임은 '코인을 소비하지 않는 생산자'로 인한 태생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직장을 그만두는 것은 게임을 그만두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만약 일시적인 유저 이탈이 일어나도 '코인 생산자'는 늦게 반응하기 마련이고, 소비자들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가도 '코인 생산자'들은 시장에 계속 코인을 공급합니다. 이들의 지속적인 현금화는 코인의 가치를 더 떨어뜨리고, 이는 '코인 생산자' 뿐만 아니라 주요 게이머들의 이탈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앞서 대표적인 P2E 게임으로 꼽았던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경우에도, 직접적인 몰락의 원인은 6억 달러 규모의 피해를 입었던 2022년 '엑시 해킹 사건'이 꼽힙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유저 이탈'에 취약한 P2E 게임의 특성이 그 기저에서 작용했죠.

이야기를 처음으로 돌려서, 최근 가상화폐 '위믹스' 해킹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P2E 게임사, 위메이드는 어떨까요? 위메이드는 지난 2월 28일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로 약 90억원에 달하는 위믹스 코인을 탈취당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는 위믹스의 상장 폐지를 결정했고, 위믹스는 DAXA를 상대로 가처분 소송을 예고했죠.

이 과정에서 위믹스는 급락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9일 기준 위믹스는 525원으로, 상장폐지 공지 전인 2일 종가 기존 1,075원과 비교해서는 50.8% 급락했고, 위믹스 역대 최고가 2만 3,000원 대비로는 97.7% 하락했습니다. 지금까지 P2E 게임의 흐름으로 봤을 때, 위메이드 역시 '일시적인 유저 이탈'에 취약한 P2E의 특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게 아닐까요?

Weekly Breifing
PC사랑 선정, '2025 베스트 게이밍 브랜드' 27종

PC사랑은 매해 높은 성능과 편의성을 갖춘 게이밍 브랜드와 제품을 선정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27개 브랜드가 '베스트 게이밍 브랜드'에 이름을 남겼는데요. 종합적인 IT 기기 회사인 삼성전자, ASUS 같은 브랜드들을 더불어, 게이밍 기기에 많은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모를 수 없는 Razer, 스틸시리즈까지... 다양한 게이밍 브랜드와 제품을 한 눈에 파악해 보시죠.

#게이밍 #브랜드 #고성능
[하드웨어 리뷰] 신박한 휴대용 듀얼 OLED 모니터
에이수스 ZenScreen Duo OLED MQ149CD

노트북의 부족한 화면 공간은 늘 고민거리죠. 대부분 노트북 화면은 14~16인치인데 데스크톱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모니터 크기인 24~27에 터무니없이 작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트북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높이기도 했지만, 작은 화면의 높은 해상도는 눈이 불편할 수밖에 없죠. 본질적인 해결책은 추가로 모니터를 연결하는 겁니다. 낮은 모니터 높이로 목이 아프시다면, 듀얼 디스플레이를 통해 높이를 확보한 ZenScreen Duo를 살펴보시는 건 어떨까요.

#ASUS #ZenScreen #듀얼모니터
[하드웨어 리뷰] 집안 어디서든 대화면으로
삼성전자 43인치 무빙 스마트 모니터 써보니

집안 어디서든 큰 화면으로 영상을 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한 때 태블릿 PC와 거치대의 조합이 주목받았지만, 대부분의 태블릿 PC가 10인치급인 까닭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가전제품 제조사들은 새로운 대안으로 집안 어디서든 손쉽게 옮겨가며 사용할 수 있는 ‘무빙 스마트 모니터’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바퀴가 내장된 스탠드 덕분에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의 셋탑박스 없이 스마트 모니터만으로 OTT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는 점으로 현재까지 큰 사랑을 받고 있죠.
삼성전자 역시 무빙 스마트 모니터 라인업으로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동료 기자분이 43인치의 대화면을 갖춘 삼성전자 무빙 스마트 모니터를 직접 써봤습니다.

#무빙스타일 #삼성전자 #포터블
신제품 News
*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뉴스로 이동합니다.
가성비 좋은 PC 케이스·키보드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다크플래쉬가 RGB 조명 효과 변경을 간편하게 지원하는 신제품 ‘darkFlash MH-10 ARGB 5V 컨트롤러’를 출시합니다.
메인보드에 5V ARGB 3핀 헤더가 없어도 RGB 연동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고, SATA 방식 전원으로 구동합니다.CPU 쿨러, 쿨링팬 등 다양한 튜닝 제품과 연결해 사용하는 용도입니다.
.
글로벌 미니 PC 전문 브랜드 GEEKOM(기컴)이 미니 PC 'A6'를 국내에 정식 출시합니다. 손바닥 크기 본체에 노트북용 CPU를 적용한 게 특징인데요. 준수한 내장그래픽 성능을 갖춘 8코어 16스레드의 AMD 라이젠 7 6800H 프로세서와 라데온 680M 내장 그래픽을 탑재했습니다. 32GB DDR5 메모리와 1TB PCIe 4.0 SSD를 기본 제공한다고 하네요.
PC사랑 2025년 5월호

43인치 무빙스마트 모니터 사용기
2025 게이밍 브랜드전

커버스토리
게이밍부터 AI까지...
컴퓨팅 패러다임 바꾼 GPU의 모든 것

특성별로 만나는 게이밍 마우스 패드
디지털포스트 X PC사랑
webmaster@ilovepc.co.kr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3길 10 (하우스디비즈) 502호
대표전화 : 02-783-0074, 070-4077-0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