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보기
▍KPI OLIVE LETTER는 연구자 및 학술 관심자를 위해 북한 ∙ 통일 분야 학술논문, 한반도 관련 주요 언론기사, 학술회의 영상, 단행본 신간 등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료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월간 뉴스레터 서비스입니다.
[북한연구학회보 제29권 1호] 2025.06
▫️북한 두 국가 선언 이후 실행조치 분석: 대남전략 변화 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 진희권, 강태우, 권태상, 윤무근, 김창근 (2025.06)
▫️민족에서 국가로: 노동신문에서 나타난 민족 담론의 토픽모델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 이경구, 이화준, 이후량 (2025.06)
▫️김정은 시대 화장품 기업 생산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신의주화장품공장과 평양화장품공장을 중심으로 / 이명훈 (2025.06)
▫️북한 경제연구를 통해 본 김정일-김정은 시기 농업분야 중점정책논의: 텍스트마이닝분석 / 김관호 (2025.06)
[통일과 평화 제17권 2호] 2025.06
▫️남북관계에 관한 손해배상 분야 판례의 분석 / 박종원 (2025.06)
▫️남북 저작물 교류 분쟁 해결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정훈 (2025.06)
▫️통일과정에서 남북한법의 적용방법과 기준에 대한 일고찰: 개성공업지구 관련 법제도 및 판례를 중심으로 / 정구진 (2025.06)
▫️대북 전단 등의 살포 금지·처벌 사건(헌재 2023. 9. 26. 2020헌마1724등, 판례집 35-2, 379)에 관한 판례평석: 남북한특수관계론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접근 / 진호성 (2025.06)
▫️탈북민단체의 대북 물품송부행위로 인한 법인설립허가취소처분의 취소판결에 대한 고찰: 대법원 2023. 4. 27. 선고 2023두30833 판결 검토 / 강승우 (2025.06)
▫️노획문서 소재 "재령군 간부 이력서철" 연구 / 정용욱 (2025.0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호의 '민주주의' 문제 / 강응천 (2025.06)
▫️사회공동체에서 북한출신 청년들의 신념변화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페르난도 오르띠스(Fernando Ortiz)의 통문화론을 중심으로 / 전주람, 이연지, 김시원, 신윤정 (2025.06)
▫️형태발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대학 학위 취득의 가치: 성찰과 행위자성의 재구성 / 김경미, 김안나 (2025.06)
▫️폭력, 실종, '귀향'을 통한 기억의 서사화: 안나 김의 『대귀향』과 '다른' 역사 쓰기 / 최윤영 (2025.06)
▫️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공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활용법 / 이현진 (2025.06)
[통일정책연구 제34권 1호] 2025.06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러시아-중국 관계 / 제성훈 (2025.06)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안보정책과 북러관계 / 엄구호 (2025.06)
▫️북한 노동당 지도체계의 구성과 운용: 시대별 변화를 중심으로 / 김인태 (2025.06)
▫️북한의 신흥기술 안보 넥서스(Nexus)와 군사화: 사이버·우주·인공지능(AI) 안보를 중심으로 / 조준형 (2025.06)
▫️'자력갱생' 관점으로 본 북한 전력산업 분석 / 이제석 (2025.06)
▫️『경제연구』를 통해 본 북한의 경제정책 관련 논의 변화: 화폐, 가격, 계획 분야를 중심으로 / 양문수 (2025.06)
▫️통합이론 관점에서 본 전시(戰時) 군사통합 고찰: 신기능주의의 확산효과를 중심으로 / 장혜영, 서천규 (2025.06)
[북한학연구 제21권 1호] 2025.06
▫️북한 식량난과 핵정책 전환의 상관성 검토: 베이즈주의 접근 / 김덕우, 김용현 (2025.06)
▫️북한 핵교리와 한국 핵무장 담론 간 동학 / 이병철 (2025.06)
▫️김정은 시대 심야열병식의 정치·군사적 의도와 특징 / 장석준, 윤희수 (2025.06)
▫️북한의 학문세계: 민속학 연구분야 / 김광운 (2025.06)
▫️특수경제지대 라선시의 외국인 기업과 국영기업에 관한 연구 / 노현종 (2025.06)
▫️'공연외교'를 통해 본 김정은 시대 북·중, 북·러 관계 / 이상우, 정영철 (2025.06)
▫️
쿠바의 북한 인식과 그 의의: 2010년대 이후 '그란마(Granma)' 기사를 중심으로 / 김지니 (2025.06)
[통일인문학 제102권] 2025.06
▫️탈식민, 탈냉전, 탈분단의 동아시아론: 1970~1980년대 '동아시아적 의식'의 출현과 그 갈래들 / 박민철 (2025.06)
▫️1980년대 한국의 지성사: 삼민의 급진적 이념화와 충돌, 그리고 사후복수 / 박영균 (2025.06)
▫️'조선족은 누구인가':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지성 담론의 분화와 정치성 / 전은주 (2025.06)
▫️분단 극복의 최전선: 강만길의 『분단시대의 역사인식』과 통일전선 / 정진아 (2025.06)
▫️1960년대 중반 리영희의 중국인식과 통일논의 / 도지인 (2025.06)
▫️4·3 이후의 신고서: 이행기 정의와 경합하는 가족서사의 정치 / 고성만 (2025.06)
▫️고난의 행군 기간 전후 북한 주민들의 민간신앙 연구: 비극적 죽음, 훼손된 추모 그리고 이어지는 삶 / 노현종 (2025.06)
▫️미국 기독교 파시즘으로 본 한국 개신교의 극우화 현상 / 김성우 (2025.06)
▫️이순신(李舜臣)의 군량 확보와 음식을 통한 화합 / 방기철 (2025.06)
[한국과 국제정치 제41권 2호] 2025.06
▫️미국 고립주의의 두 얼굴: 중국과 러시아 위협 인식에 따른 상반된 외교 태도 / 신영호, 하상응 (2025.06)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존 미어샤이머의 입장과 그의 공격적 현실주의 간의 관계: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과 '이론 체계' / 백석훈 (2025.0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안보딜레마의 이중 연쇄효과: 북러협력과 한미일 안보협력의 동학 / 안정은 (2025.06)
▫️김정은 시기 인민대중제일주의 담론과 정당성 구축 / 이경수 (2025.06)
▫️한국의 중위 민주주의 함정: 정당 탈제도화와 초양극화의 정치적 귀결 / 김정 (2025.06)
[국가안보와 전략 제25권 2호] 2025.06
▫️대만의 주권국 여부와 미·중 패권경쟁 속 대만문제 전망 / 장시영, 남궁영 (2025.06)
▫️미·중 영향력 경쟁과 필리핀의 딜레마: 남중국해 분쟁에서 필리핀 사례 / 이한나 (2025.06)
▫️일본 '통합작전사령부' 창설과 동북아 안보 환경 변화 / 안영준 (2025.0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전자전 양상과 교훈 / 배진석 (2025.06)
▫️최근 북한의 지식재산권 발전전략과 상징성 / 강채연 (2025.06)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NKS) 제11권 1호] 2025.06
▫️김정은 시대 북한의 식량안보 위기와 대내외 구조적 지속요인 분석 / 김범수, 장석준 (2025.06)
▫️집권 초기(2011-2016) 김정은과김정일 승리연합의 관계 평가: 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인선변동을 중심으로 / 이준희 (2025.06)
▫️Mencius and North Korean Refugees in East Asia / 권혜원 (2025.06)
▫️남북 농림협력 재개방안 / 최현아, 박경석 (2025.06)
[평화학연구 제26권 2호] 2025.06
▫️미국 사이버공간의 선제적 방어 전략과 한국에의 시사점 / 김소정 (2025.06)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및 자금세탁 방법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 김성진 (2025.06)
▫️김정은 시대 북한 고위 관료의 관행화된 정책지도 행태로서의 '현지료해' 연구: 내각의 경제관리를 중심으로 / 황주희, 임재천 (2025.06)
▫️북한 고급중학교 졸업생의 진로 장벽에 관한 연구 / 엄현숙 (2025.06)
▫️야스쿠니신사의 한국인 합사와 샌프란시스코 체제 / 김순임 (2025.06)
[통일교육연구 제22권 1호] 2025.05
▫️북한의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위한 주요 교육전략과 그 의미 / 김정원 (2025.06)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재검토 / 박대호 (2025.06)
▫️북한이탈주민의 통일인식 변화를 통해서 본 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하광민 (2025.06)
▫️북한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경제지리 서술의 이념성과 공간 인식 / 허동숙 (2025.06)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JPU) 제15권 2호] 2025.05
▫️Kim Yo-jong's Operational Code and Negotiation Strategy with South Korea / 양연희 (2025.05)
▫️Envisioning Flexible Nuclear Re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Cheaper, Lighter, and Affordable / 조비연 (2025.05)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Mourning and Funeral Culture / 차수진 (2025.05)
▫️Kim Jong Un's Nuclear Posture: Is North Korea Capable of Initiating a Nuclear War? / 박원곤 (2025.05)
▫️The Rise of Drone Warfare and South Korea's Strategic Tasks: Focusing on Drone Air Defense Systems and AI-Based Combat Platforms / 선슬기 (2025.05)
▫️The Conceptual History and Self-Representation of "Nation" in North Korea: Between Traditional Limits and the Absence of New Ideal / 노현종 (2025.05)
▫️Evaluating South Korea's Cybersecurity Governance: A Multistakeholder Approach Amid North Korean Cyber Threats / 최다인 (2025.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제34권 1호] 2025.06
▫️Seizing the Geopolitical Moment: Sources of Deepening North Korea-Russia Ties and Their Impacts / 반길주 (2025.06)
▫️The Impact of Strengthened Russia-North Korea Relations on International Politics / 연담린 (2025.06)
▫️When Power Isn't Enough: National Unity and Revisionism in International Politics / 백승준 (2025.06)
[그 외 북한/통일관련 학술지 논문]
▫️[국제정치논총 제65권 2호] 핵확산의 안보딜레마-나선형 모델: 남아시아의 핵확산 역학과 한반도 / 구본윤, 마월 (2025.06)
▫️[동서연구 제37권 2호] 공포균형의 동맹 정치학: 한반도 비핵 안정과 핵공존 안정의 차이점 분석 / 반길주 (2025.06)
▫️[동서연구 제37권 2호] Searching for the Suboptimal Choice: A Behavioral Analysis to U.S. Allies'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s / 조원득 (2025.06)
▫️[동서연구 제37권 2호] 세력균형, 정치체제 유사성과 군사협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김형민 (2025.06)
▫️[국제관계연구 제30권 1호] 전쟁 지정학 고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공통점 및 차이점 추적 / 반길주 (2025.06)
▫️[국제정치연구 제28권 2호] 한국에서 난민 인식과 수용 태도의 이중성: 인지-지식 차이와 조건적 수용 태도 간 교차분석 / 임유진, 박상훈 (2025.05)
▫️[국제정치연구 제28권 2호] Shared Threats, Shared Values? A Constructivist Analysis of Identity and Norms in the ROK-US Alliance / 박민형 (2025.06
)
▫️[국제정치연구 제28권 2호] 남북정상회담과 화해의 정치: 전략적 선택 이론을 통한 비교분석 / 이주희 (2025.06)
▫️[국제정치연구 제28권 2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승리연합의 충성심(loyalty)을 관리하는 방법: 가용자원 규모 변화에 대한 가설과 검증 / 박지연 (2025.0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75호] 한반도 정전체제의 고찰: 구조적 이해와 동학을 중심으로 / 손경호 (2025.06)
▫️[한국동북아논총 제30권 2호]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러시아 정책과 미·북·러 관계: 국제정치 이론을 통한 분석 / 이주희 (2025.06)
▫️[한국동북아논총 제30권 2호] 지정학적 중간국 대외전략의 전환과 초당적 합의: 한국과 호주의 대중국 전략 비교 / 김소연 (2025.06)
▫️[한국동북아논총 제30권 2호] 중국 반도체 산업의 '강요된 자립화'와 국가혁신체제: 자본, 인력, 시장 정책을 중심으로 / 이정화, 이희옥 (2025.06)
▫️[슬라브硏究 제41권 2호] 한·러 관계의 변화와 협력 메커니즘: 제도요인에 따른 전략적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 염동호 (2025.06)
▫️[슬라브硏究 제41권 2호] 북러 군사협력과 우크라이나 전쟁: 국제안보 질서에 대한 구조적 함의 / 연담린 (2025.06)
▫️[민주주의와 인권 제25권 2호] 김정은 시대 노동당 규약 변화와 수정주의 국가 북한의 새 정치 노선 / 이정철 (2025.06)
▫️[문화와 정치 제12권 2호] 북한 시장화와 신흥부유층의 소비문화 변화: 중국사례 비교를 통한 발전 경로 전망 / 선슬기 (2025.06)
▫️[문화와 정치 제12권 2호] 북한의 식량 접근성 변화와 최근 양곡 유통 정책의 시사점 / 최지영, 조현정 (2025.06)
▫️[한국과 국제사회 (코발소) 제9권 3호] 북한 직업동맹의 변화 가능성과 그 동인에 관한 연구: 중국 공회와의 비교 분석 / 이연재 (2025.06)
▫️[한국과 국제사회 (코발소) 제9권 3호] 북한의 핵위협 형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압 위협과 도발 위협의 개념적 차이를 중심으로 / 김명철 (2025.06)
▫️[한국과 국제사회 (코발소) 제9권 3호] K-Culture에 대한 북한의 적대적 인식과 제도 변화 분석 / 최종환 (2025.06)
▫️[한국언론정보학보 131호] 한국전쟁기 중국군과 미군의 '삐라 전쟁' / 몽칭, 이서현, 최낙진 (2025.06)
▫️[언론과학연구 제25권 2호] 한반도 분단질서의 균열과 담론정치: 영화 <건국전쟁>을 둘러싼 담론의 정치적 맥락, 특성과 반공복합체 / 김성해 (2025.06)
▫️[人文學硏究 43호] 사드(THAAD) 배치를 전후한 한국 언론의 중국 인식 / 송승석 (2025.06)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7권 2호] 통일 시대를 대비한 북한형 콤팩트시티 연구: 개성시 적용 사례 검토 / 이시효, 기정훈, 강성철 (2025.06)
▫️[대한지리학회지 제60권 3호] DMZ 일원의 공간적 지속가능성과 사회-생태 시스템 프레임워크의 적용방안에 관한 고찰 / 이훈종 (2025.06)
▫️[한국지리학회지 제14권 2호] 한반도 산줄기 체계에 대한 지형학적 검토와 과학적인 체계 정립 방안 모색 / 변종민, 김주연, 손학기, 박수진 (2025.06)
▫️[한국군사학논집 제81권 2호] 전술핵 운용을 통한 북한 군사전략 변화의 시사점: 부대훈련 사례를 중심으로 / 유민규, 강창우 (2025.06)
▫️[한국군사학논집 제81권 2호] 김정은 정권의 내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 김창환 (2025.06)
▫️[한국군사학논집 제81권 2호] 김정일 시대 '우리식 열병식'의 형성과 변천: 정치·군사·이념적 의미 분석 / 노재범, 김용현 (2025.06)
▫️[한국군사학논집 제81권 2호] 북한 우주개발의 군사적 위협과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Co-Orbit ASAT 위협을 중심으로 / 조한철 (2025.06)
▫️[군사 135호] 작전통제권 변천 영향요소 재조명과 트럼프 2기 전작권 전환 추진전략 / 정경영 (2025.06)
▫️[법학논총 제38권 1호] 북한 물권법의 변천 / 현두륜 (2025.06)
▫️[미래사회 제16권 2호]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과 평가 / 김영규 (2025.06)
▫️[영남법학 60호] 사회주의 국유재산의 재사유화 법제: 통일독일과 헝가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 표명환 (2025.06)
▫️[국제법학회논총 제70권 2호]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따른 국가책임에 관한 고찰 / 송에스더 (2025.06)
▫️[가천법학 제18권 2호] 남북한 노동법 통합에서 고용정책상 근로권과 재산권의 규범관계 및 시사점 / 송현욱 (2025.06)
▫️[홍익법학 제26권 2호] 북한이탈주민의 범죄 예방을 위한 법교육 강화 필요성에 대한 소고 / 김희정 (2025.06)
▫️[한국동북아논총 제30권 2호] 한국 사회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과 관계별 거리감 인식 변화 / 박상훈, 송영훈 (2025.06)
▫️[주관성 연구 71호] 북한이탈주민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인식 유형과 특성 / 정진주, 김수임 (2025.06)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30권 2호] 북한이탈여성의 직장 내 대인관계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정미선, 조항 (2025.06
)
▫️[수산해양교육연구 제37권 3호]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경험에 대한 질적메타합성 / 김정수 (2025.06)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제24권 1호] 대학생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학교교육경험이 북한이탈주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생 중심으로 / 박정현 (2025.06)
▫️[미래사회 제16권 2호]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 조영아, 김희정 (2025.06)
▫️[한국문학과 예술 54호] 선군혁명시기 북한 문학예술 장르의 변용과 이동에 담긴 정치적 전략: '시'의 '노래'화를 중심으로 / 김경숙 (2025.06)
▫️[비평문학 제96호] 1970년대의 전환시대 한반도에 대한 역사부정의 형식: 최인훈의 『태풍』(1973)을 중심으로 / 최윤경 (2025.06)
▫️[사회언어학 제33권 2호] 표현론적 관점에서 단어 형성의 한 특성: 남북한 경제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 친자왕 (2025.06)
▫️[사회언어학 제33권 2호] 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 곽은희 (2025.06)
▫️[한국연구 19호] 구소련 고려인 문학에 대한 일고찰: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양상을 중심으로 / 김낙현 (2025.06)
▫️[번역학연구 제26권 2호] 번역된 전쟁 속의 여성들: 「Boule de suif」의 남북한 번역 연구 / 박선희 (2025.06)
▫️[근대서지 제31권 31호] 북한 아동잡지(해방 직후~1960년대)의 서지 사항과 시각 이미지 연구 / 신수경 (2025.06)
▫️[슬라브硏究 제41권 2호] "귀환 고려인"의 정착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제도적 경계, 정체성 협상과 초국가적 삶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 손지혜, 남부현 (2025.06)
▫️[미래정치연구 제15권 1호] 해방직후 한반도에서 좌우협력은 왜 실패하였는가? / 김용복 (2025.0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23호] 일제 말 평양시가지계획의 실시와 공간구조 변화 / 김태윤 (2025.0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23호] 1950년대 북한 정권의 '간첩' 문제 인식과 대응 / 이세영 (2025.06)
▫️[역사학보 266호] 적극 쟁취에서 포기로: 한국전쟁과 중국의 유엔 가입에 대한 태도 변화(1949년 12월~1951년 2월) / 김동길, 이섬관 (2025.06)
▫️[영주어문 60호] 조선문학가동맹과 제주 단선반대 항쟁 / 김재용 (2025.06)
▫️[동악어문학 96호] 재편되는 세계: 설립 초기 서울대학교와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문학' 학과 편제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종현 (2025.06)
▫️[드라마연구 76호]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주민동원 담론과 선전·선동 전략 / 최상민 (2025.06)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57호] 남북한에 공유되는 토속민요의 양상과 변주 유형 / 김정희 (2025.06)
▫️[영화연구 104호] 1970년대 북한과 중국의 영화 교류 양상 연구 / 함충범, 반임정 (2025.06)
▫️[국제문화예술 제6권 2호] 영화 <비행>과 <무산일기>에 나타난 탈북자 캐릭터의 자본주의 수용 과정에 관한 고찰 / 천승철 (2025.06)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4호] 극장주의적 표현특성을 통한 전이공간의 상호작용성 연구: 용산전쟁기념관과 제주4·3평화공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허유강, 장태준 (2025.06)
▫️[인성교육연구 제10권 1호] 언어학습과 인성교육의 융합: 북한 영어 교과서 과업분석 / 박문영, 이선영 (2025.06)
▫️[한국어교육 제36권 2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과제: 교육 기관 담당자 심층 면담을 통한 실증적 분석 / 김민경, 이보라, 류선숙 (2025.0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KTCP) 제31권 6호] 객체 탐지모델을 이용한 쓰레기 풍선 식별 방법 / 범승조, 강동수 (2025.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제33권 2호] 북한 광산 탈탄소화를 위한 DEM 해상도에 따른 태양광 발전소 설치 적합성 분석 / 구지윤, 강병권, 박형동 (2025.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28권 2호] Sentinel-1 영상을 이용한 북한 댐 위치도 구축 / 김주훈, 김동필, 조용수 (2025.06)
▫️[해양정책연구 제40권 1호] 북한 국적선의 추세와 함의: 선적 전략과 무역 의존을 중심으로 / 윤인주 (2025.06)
▫️[복음과 선교 제70권 2호] 중동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 사례를 통해 본 한반도 평화와 북한선교에의 적용 가능성 고찰 / 하광민 (2025.06)
▫️[신학사상 209호]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기호 (2025.06)
▫️[신앙과 학문 제30권 2호] 북아일랜드 평화 구축 과정이 한국 교회에 주는 함의: 존 폴 레더락(John Paul Lederach)의 갈등 전환 모델 중심으로 / 강석분 (2025.06)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포럼] '협력적구술사'를 통해 냉전 대립에 균열 만들기 / 조일동 (2025.06.25)
[EAI동아시아연구원]
▫️[박원곤의 북한과 세계] 美 국방장관이 요구한 인태 동맹국의 '책임과 비용' / 박원곤 (2025.06.12)
▫️[박원곤의 북한과 세계] 2025 G7 정상회의와 미국의 대외 전략 / 박원곤 (2025.06.25)
▫️[박원곤의 북한과 세계] 트럼프의 인식과 전략 재확인한 나토 정상회의 / 박원곤 (2025.07.10)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컨퍼런스: 한일 국교정상화 60년과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분야별 한일 협력의 미래 비전 1세션 및 개회식 / 이정환, 김규판, 백서인, 최은미 (2025.06.20)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컨퍼런스: 한일 국교정상화 60년과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2세션: 미래 비전을 위한 실천(정책) 과제 / 남기정, 모리 토모오미, 아베 마코토, 이토 코타로 (2025.06.20)
[Brooking Institution]
▫️European security at the crossroads / Fiona Hill, The Rt. Hon. Lord George Robertson, Thomas Wright (2025.06.18)
▫️Israel and Iran at war / Suzanne Maloney, Itamar Rabinovich, Jeffrey Feltman, Phillp Gordon (2025.06.24)
▫️State of the global economy: Navigating a new era of heightened uncertainty / Nrahima S. Coulibaly, M. Ayhan Kose, Robin Brooks 외 6인 (2025.07.10)
[외교안보연구소]
▫️[IFANS FOCUS]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배경과 전망 / 인남식 (2025.06.13)
▫️[IFANS FOCUS] Diplomatic Security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Troop Deployment to Russia / 이상숙 (2025.06.17)
▫️[IFANS FOCUS] 대미 무역 협상의 경제안보 의제 논의 전망 / 유지영 (2025.06.19)
▫️[IFANS FOCUS] G7 정상회의 계기 한일정상회담 평가 및 함의 / 오승희 (2025.06.20)
▫️[IFANS FOCUS] 2025 G7 캐나다 정상회의: G7과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의 미래 모색의 시간 / 강선주 (2025.06.23)
▫️[IFANS FOCUS] Between Trump and Turmoil: Seoul's Balancing Act / 최원기 (2025.06.23)
▫️[IFANS FOCUS] New Delhi's Diplomatic Campaign on Operation Sindoor: A Korean Perspective / 최원기 (2025.06.25
)
▫️[IFANS FOCUS] The 22nd Shangri-La Dialogue and Indo-Pacific Security / 반길주 (2025.06.26)
▫️[IFANS FOCUS] The 2025 G7 Canada Summit: A Time to Look into the Future of the G7 and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 강선주 (2025.06.30)
▫️[IFANS FOCUS] Prospects of Discussions on Economic Security in Trade Negotiations with the US / 유지영 (2025.07.01)
▫️[IFANS FOCUS] Assessments and Implications of the Korea-Japan Summit at G7 / 오승희 (2025.07.03)
▫️[IFANS FOCUS]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들여다보기 / 유지영 (2025.07.10)
▫️[IFANS FOCUS] 최근 쿼드 외교장관 회의와 트럼프 2기 인태 협력 방향 / 조원득 (2025.07.11)
▫️[IFANS PERSPECTIVES] AI Policy under Trump 2.0 and AI Cooperation Strategy for ROK-US Alliance / 송태은 (2025.06.23)
▫️[주요국제문제분석] IEEPA에 근거한 트럼프 행정부 관세 조치에 관한 법적 쟁점 검토 / 서은아 (2025.06.18)
▫️[주요국제문제분석] 한국 신(新)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및 전망 / 민정훈 (2025.06.18)
▫️[주요국제문제분석] 최근 러시아의 동남아 진출 확대에 대한 역내 인식 및 대응 / 박민정 (2025.07.02)
[한국국방연구원]
▫️[KIDA 안보전략 FOCUS] 신정부 출범에 대한 미국의 인식과 시사점 / 권보람 (2025.06.12)
▫️[KIDA 안보전략 FOCUS] 북한의 '전략무기 5대 과업' 추진 현황 평가(I) / 신승기 (2025.06.23)
▫️[KIDA 안보전략 FOCUS] 북한의 '전략무기 5대 과업' 추진 현황 평가(II): 기타 과업 / 신승기 (2025.06.24)
▫️[KIDA 안보전략 FOCUS] 신정부 출범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시사점 / 전재우 (2025.06.26)
▫️[KIDA 안보전략 FOCUS] 한국 국방의 '전략적 위험' (1): 개념과 사례 / 전경주, 이강규 (2025.06.27)
▫️[KIDA 안보전략 FOCUS] 북한 국방과학기술의 특성과 전망 / 이춘근 (2025.06.30)
▫️[KIDA 안보전략 FOCUS] 한국 신정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인식 / 김두승 (2025.07.02)
▫️[KIDA 안보전략 FOCUS] 핵 위협 고도화를 위한 북한의 해군력 강화 노력 평가와 효과적 대응 방향 / 박용한 (2025.07.03)
▫️[KIDA 안보전략 FOCUS] 북한 노동당 제8기 제12차 전원회의 평가와 시사점 / 이호령 (2025.07.04)
▫️[KIDA 안보전략 FOCUS] 경제안보와 국방(II): RSF의 안보적 함의 / 신다윗 (2025.07.10)
▫️[KIDA 안보전략 FOCUS] 新 데탕트 체제의 가능성과 한반도 군비통제의 향배 / 부형욱 (2025.07.11)
[한국개발연구원]
▫️[KDI FOCUS] 2010년대 이후 무역구조 변화와 경제안보에 대한 함의 / 정성훈 (2025.07.01)
▫️[KDI 북한경제리뷰] 북한 대외 개방의 서막과 성공 가능성: 관광법 채택 이후 / 나용우 (2025.06.30)
▫️[KDI 북한경제리뷰] 최근 북한의 관광산업 분석과 전망 / 이해정 (2025.06.30)
▫️[KDI 북한경제리뷰] 북한 관광정책의 거버넌스 구조와 변화: 중앙-지방 관계 및 주요 개발 사례 분석 / 최은주 (2025.06.30)
▫️[KDI 북한경제리뷰] 중러 대상 북한 외래 관광에 대한 평가와 전망 / 이상근 (2025.06.30)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슈브리프] AI의 인간 지시 거부와 AI 기반 전략무기의 실존적 위협 / 윤정현 (2025.06.11)
▫️[이슈브리프] '공유재의 안보 딜레마': 인도-파키스탄 물 분쟁 격화와 전략적 함의 / 이지선 (2025.06.18)
▫️[이슈브리프] 사이버 국제법에 대한 국가입장 공개: 쟁점과 고려사항 / 김소정 (2025.06.19)
▫️[이슈브리프] Rising Lion,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선제공격: 전개, 파장, 전망 / 이성훈 (2025.06.20)
▫️[이슈브리프] 일본의 'One Theater' 구상 제안: 정치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 / 김태주 (2025.06.23)
▫️[전략보고] 미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방송 중단과 시사점 / 김민정 (2025.06.13)
▫️[전략보고] 딥시크 사례로 본 중국의 AI 권위주의 운용 가능성과 함의 / 김민정 (2025.06.13)
▫️[전략보고] 아프리카 대륙 내 중국 군사협력 확대 시사점 / 김윤희 (2025.06.13)
▫️[전략보고] 호주의 국방전략 변화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정준오 (2025.06.16)
▫️[전략보고] '적대적 두 국가론' 이후 북한의 대남전략과 대외전략의 연계 / 성기영 (2025.06.16)
▫️[전략보고] 트럼프 1기 이후 중러 군사협력 현황과 시사점 / 백선우 (2025.06.16)
▫️[전략보고] 2025년 양회 이후 시진핑 주석 발신 메시지 분석과 함의 / 양갑용 (2025.06.17)
▫️[전략보고] 가짜뉴스 및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대응 전략 / 김일기 (2025.06.19)
▫️[전략보고] 미·중 경제전쟁 관련 동남아 국가의 대응과 시사점 / 유현정 (2025.06.19)
▫️[전략보고] 트럼프 정부의 핵 현대화 정책 전망과 한반도 시사점 / 김보미 (2025.06.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기초자료] 북한 《지방발전 20×10 정책》 추진 현황 및 시사점 / 이정균, 김범환 (2025.06.24)
[EAI 동아시아연구원]
▫️[Global NK 논평] 미중해양세력전이, 1차 해양방어선, 그리고 한반도 / 오인환 (2025.06.04)
▫️[Global NK 논평] 이재명 정부 대중 외교의 우선순위 / 이동률 (2025.06.30)
▫️[Global NK 논평] 한국전쟁과 4인의 동상이몽 / 신성호 (2025.07.02)
▫️[EAI 이슈브리핑] 한국인의 한미일-북중러 블록화 인식과 핵무장 지지 여론 분석: 2025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 분석 / 김양규 (2025.06.18)
▫️[트럼프 2기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① 트럼프 동맹정책과 확장억제의 미래 / 함형필 (2025.06.20)
▫️[트럼프 2기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② 한국 핵무장 옵션의 손익계산과 민수용 농축재처리 요구 / 전봉근 (2025.06.20)
▫️[트럼프 2기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③ 북한의 핵고도화: 평가와 전망 / 손한별 (2025.06.20)
▫️[트럼프 2기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④ 인도-파키스탄 핵대결 사례가 한국의 핵무장 논쟁에 던지는 교훈 / 김태형 (2025.06.20)
[세종연구소]
▫️[세종정책브리프] 트럼프 2.0시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보유를 위한 국제협력 방향 / 정성장, 피터워드 (2025.06.17)
▫️[세종정책브리프] 2025년 중러 정상회담 공동 성명서 내용: 전략적 협력 심화와 新 국제 질서 구축 시도 / 정재흥 (2025.06.19)
▫️[세종정책브리프] 에너지 안보와 지속 가능 원자력을 위한 농축재처리 필요성과 추진 전략 / 전봉근 (2025.06.20)
▫️[세종정책브리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과정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 신범철 (2025.06.27)
▫️[세종정책브리프]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전략과 한반도 안보 / 이정규 (2025.07.02)
▫️[세종정책브리프] 유럽의 재무장은 가능한가? 주요 추진 현황, 한계,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 / 이성원 (2025.07.02)
▫️[세종포커스] 동맹우선주의(Alliance-first)를 통한 실용과 자강 / 조비연 (2025.06.26)
▫️[세종포커스] 트럼프의 골든 돔과 부시의 NMD 그리고 한미동맹 / 전성훈 (2025.07.01)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조건부 문항을 통해 본 핵무장 여론 / 피터 리 (2025.06.16)
▫️[이슈브리프] 북한의 8차 당대회 이후 노동당 인사개편 평가 / 한기범 (2025.06.20)
▫️[이슈브리프] Managing Decline? NATO's Uneasy Future After the 2025 Summit / 김세미 (2025.06.30)
▫️[이슈브리프] 시리아 세습 독재의 몰락과 이슬람주의 과도정부의 출범: 분석과 함의 / 장지향 (2025.07.01)
▫️[이슈브리프] 2025년 정상회의 이후 NATO의 불안정한 미래 / 김세미 (2025.07.07)
▫️[이슈브리프] Signals in the Noise: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s a Catalyst for Europe-South Korea Cooperation / Francesca Frassineti (2025.07.08)
▫️[이슈브리프] 이재명 정부의 실용적 대일외교를 위한 제언: 한일관계의 '뉴노멀(New Normal)'을 향해 / 최은미 (2025.07.09)
[한반도평화연구원(KPI)]
▫️[이슈브리프] 인공지능과 에너지 문제 / 손화철 (2025.06.25)
[한반도 동향 관련]
▫️[월간 북한동향] 2025년 5월 / 통일부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5년 6월 / 통일부
▫️[조선일보] 김정은이 트럼프에게 눈길도 주지 않는 이유 / 이일규 (朝鮮칼럼) (2025.07.03)
▫️[경향신문] 트럼프의 이란 도박 / 스테판 해거드 (오피니언) (2025.06.29)
▫️[세계일보] The issues the new Lee administration will be confronting (1) / Joseph R. DeTrani (WT논평) (2025.06.23)
▫️[세계일보] The issues the new Lee administration will be confronting (2) / Joseph R. DeTrani (WT논평) (2025.06.24
)
▫️[중앙일보] 한국 안보, 적극적인 발상의 대전환 필요 / 윤영관 (선데이 칼럼) (2025.07.12)
▫️[국민일보] 진정한 한반도 평화를 위해 / 차두현 (글로벌 포커스) (2025.06.23)
▫️[중앙일보] 새 정부, 미국과 동행하되 중·러·북에도 개방성 보여야 / 이상현 (오피니언) (2025.06.18)
▫️[아시아경제] 정성장 "일본 수준의 핵잠재력 확보해야" / 소종섭 (소종섭의 속터뷰) (2025.06.18)
▫️[한국대학신문] 한국이 대북정책 실패의 늪에서 빠져나오려면 / 정성장 (시론) (2025.06.22)
▫️[한겨레] 트럼프의 '국방비 5% 압박'과 주권적 결정 / 김정섭 (세상읽기) (2025.07.07)
▫️[국민일보] 한·중 관계 도약 위한 전략적 협력 / 정재흥 (시론) (2025.07.08)
▫️[조선일보] '저항의 축' 무력화하고 '부의 축' 구축하는 트럼프 / 인남식 (2025.06.09)
▫️[파이낸셜뉴스] 나토 국방비 5% 증액과 한국의 전략 / 반길주 (2025.06.30)
▫️『국가는 왜 싸우는가』, 정성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5.06.11)
▫️『핵무장 조선, 한국의 선택은』, 이제훈, 사계절, (2025.06.23)
▫️『북한이주민과 국가정체성』, 전주람, 곽태환, 신윤정, 김시원, 이연지, 한국학술정보, (2025.06.27)
▫️『오고가면 통일이다』, 윤은주, 그란데, (2025.06.27)
▫️『한반도 평화의 지정학』, 신성호, 21세기북스, (2025.06.25)
▫️『새 공화주의와 한반도 평화』, 이기호, 구갑우, 박영률출판사, (2025.07.01)
▫️『전쟁에 동원된 남자들』, 석미화, 이재춘, 박혜진, 최여울, 노예주, 박정원, 이현주, 김엘림, 알록, (2025.07.01)
▫️『북미 대립과 친서 외교』, 이정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5.07.01)
▫️『2025 통일교육 기본계획』,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2025.07.12)
▫️『2030년, 남북은 왜 만나야 하는가?』, 김수한, 바른북스, (2025.07.14)
〈올리브레터〉구독신청
〈올리브레터〉의견남기기
💡
더 조사가 필요하거나 추가할만한 학술지가 있다면
본 설문
에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
💾
올리브레터 아카이브
로 지난호 다시보기
❝
한반도평화연구원은 평화의 한반도를 앞당기기 위해
연구하고 전파하고 교육하는 일을 계속하면서
연구자들과 현장활동가, 관심자 분들을 돕겠습니다.
❞
사단법인 한반도평화연구원
kpi@koreapeace.or.kr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27 하늬솔빌딩A 403호
02-744-7109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