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카카오 #틱톡
앞서가는 마케터를 위한 브랜드 콘텐츠 뉴스
Newsletter 288
이번 주 콘텐타 뉴스레터에서는 2025 B2B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그리고 지난 한 주간 있었던 마케팅 뉴스도 간추려 전합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 SaaS 솔루션을 제공하는 Sprout Social이 최근 영미권의 Z세대 4,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는데요.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제품에 관한 정보와 뉴스를 확인하는 채널로 틱톡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스타그램이 그 뒤를 이었고요. 그리고 15~30초 내외의 브랜드 콘텐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원문 읽기)

👀카카오가 개발자 컨퍼런스인 'if(kakaoAI) 2024'에서 카카오의 인공지능을 통합한 브랜드인 '카나나'를 공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단순 AI 에이전트가 아닌 'AI 메이트'로서의 가치를 지향한다고 밝혔는데요. 한국어 처리에서 글로벌 모델의 성능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유했다고 하며, 사용자의 발화와 맥락을 이해하여 적절한 답변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또한 다양한 라인업의 형태로 출시되는 만큼 목적과 상황에 맞는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 효율적으로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 읽기)


2025년이 다가오는 지금, B2B 마케터분들을 위해 CMI(Content Marketing Institute)에서 발표한 2025년 B2B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조사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해 드립니다. B2B 콘텐츠 마케팅의 현재와 다가올 트렌드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계획 수립에 도움을 얻어보세요.


1. 콘텐츠 전략의 효과

효과가 없었다고 응답한 마케터의 42%가 그 이유로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서 목표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꼽았습니다. 그다음으로 고객 여정과 연결되지 않고, 데이터 중심으로 전략이 수립되지 못한 것을 꼽았습니다.


2. 콘텐츠 마케팅에서 어려운 과제

콘텐츠 마케팅에서 콘텐츠 제작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는, 가장 많은 답변이 지난 해와 동일하게 리소스 부족(54%)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콘텐츠의 성과 측정(47%), 구매 여정과 콘텐츠 연동(45%)으로으로 확인되었습니다.


3. 콘텐츠 제작의 어려운 과제

B2B 콘텐츠 제작에서 어려움으로 꼽힌 것은 전환과 같은 액션을 유도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55%)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다음은 ‘콘텐츠의 차별화(47%)’와 ‘지속적인 콘텐츠 제작(45%)’으로 여전히 지속적으로 깊이 있는 콘텐츠의 제작이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반면 SEO 개선의 경우 35%로 작년의 45%에서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4. 콘텐츠 마케팅에서의 AI 사용 현황

생성형 AI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는 설문조사는 많이 봐오셨을 텐데요. 이번 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B2B 마케터의 81%가 생성형 AI를 콘텐츠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었는데요. 2023년의 71%에 비해 증가한 수치이긴 하지만, 아직 그 활용 방식이 시험적인 사용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CMI에 따르면 실제로 B2B 마케팅 콘텐츠 제작 과정/워크플로에 생성형 AI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경우는 19%에 불과했습니다. 54%의 B2B 마케터는 팀에서 제한적으로 시험 삼아 활용해 보고 있다고 하며, 27%는 마케터가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성형 AI 사용을 주저하는 이유로는 정확도의 문제가 35%로 가장 높았으며, 기업의 방침인 경우가 28%, 저작권 문제(26%), 훈련 부족(22%), 이해 부족(19%) 순이었습니다. 생성형 AI가 만든 콘텐츠에 대한 신뢰성을 물어본 질문에도 67%가 중간 정도의 신뢰성을 보였고, 28%는 낮은 정도로 신뢰한다고 답하였습니다. 게다가 콘텐츠의 품질에 있어 훌륭하거나 매우 좋았다고 응답한 마케터는 17%에 그쳐 B2B 마케터가 만족할 만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만, 팀 또는 기업 단위의 생성형 AI 사용에 관한 지침을 마련한 사례는 51%로 작년에 비해 증가했습니다. 가이드의 내용으로는 생성형 AI 사용이 허용되는 콘텐츠의 범위, 생성형 AI 사용에 관한 보안 조치, 데이터 처리 가이드라인 등이었습니다.


5. 콘텐츠 마케팅 성공 요인

CMI에 따르면 B2B 마케터의 22%가 올해의 콘텐츠 마케팅이 성공적이었다고 답했으며, 54%는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뒀다고 하는데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한 마케터에 따르면 콘텐츠 마케팅 성공의 요인으로 오디언스에 대한 이해(82%)를 꼽았습니다. 그다음으로는 고품질 콘텐츠의 제작(77%), 산업 전문성 보유(70%) 순이었습니다.


올해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응답한 마케터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마케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점을 확인하였는데요. 인적 자원과 같은 리소스 문제, 리더십이나 목표와 같은 콘텐츠 전략의 문제, 팀 간 협업 효율화 등이 주요 개선 사항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 효과적인 콘텐츠 포맷

실제 사용된 콘텐츠의 포맷으로는 짧은 아티클/포스트가 92%로 가장 많았고, 영상이 76%, 고객 사례는 75%, 긴 아티클/포스트 69% 순입니다.


실제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포맷의 순서에는 조금 차이가 있었는데요. 영상이 58%로 가장 많은 마케터가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이라고 응답했으며, 다음은 고객 사례 콘텐츠(53%)였습니다.


7. 콘텐츠 배포 채널

콘텐츠의 배포 채널로는 소셜 미디어(89%)가 가장 많았으며, 기업 웹사이트의 블로그 페이지(84%), 뉴스레터(71%) 순으로 작년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이 중 효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채널은 대면 이벤트와 웨비나였습니다.


8.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 채널

콘텐츠의 배포 채널로는 소셜 미디어(89%)가 가장 많았으며, 기업 웹사이트의 블로그 페이지(84%), 뉴스레터(71%) 순으로 작년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이 중 효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채널은 대면 이벤트와 웨비나였습니다.


이렇게 CMI의 B2B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았는데요. 올해의 마무리와 2025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항목별 차트가 궁금하시다면 콘텐타 매거진이나 B2B Content Marketing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Outlook for 2025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세요.



마케팅 트렌드도 중요하지만 우리 브랜드의 타깃 오디언스가 어떤 소비를 하는지도 관심 있게 살펴봐야 해요. 아직 소비 트렌드를 확인하지 않았다면 함께 살펴보세요. 

B2B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를 살펴보았다면 어떤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지 고민이들텐데요. 퇴근 B2B 마케팅세어 SEO 전략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하는 사고 리더십 콘텐츠르 살펴보세요.
콘텐츠 마케팅 상품 안내

디지털 런칭 패키지
브랜드 웹사이트, 온라인 비즈니스의 성공적인 시작을 위해 필요한 콘텐츠 전략과 맞춤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고객들의 관심사와 키워드를 분석해 SEO에 초점을 둡니다.
브랜드 뉴스레터 제작 서비스
콘텐츠 전문가가 뉴스레터의 목표 설정부터 발행 및 분석까지 뉴스레터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브랜드 뉴스레터를 제작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마케팅 대행 서비스
콘텐츠 마케팅 전문 컨설턴트가 타깃 오디언스 분석, KPI 매트릭스 설정, 콘텐츠 전략, 기획, 제작, 결과 분석까지 책임지는 마케팅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및 콘텐타 관련 문의는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박부호ㅣ콘텐츠전략 매니저
E-mail : bpark@contenta.co
Mobile : 010-6553-9503
임  윤ㅣ콘텐츠전략 매니저
E-mail : ylim@contenta.co
Mobile : 010-9174-3128
Copyright 2020 @ Contenta Inc.,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2동 강남대로 311
뉴스레터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관련 문의사항은 contenta@contenta.co 로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