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날 출근을 생각하며 기절잠에 들어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대한 약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지난번에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이하 <에에올>) 봤다는 이야기를 잠깐 했습니다. 영화는 하나인데 별명은 서너 개라서 다들 삼라만상이니, 양자경의 멀티버스니 좋을 대로 부르고 있더라고요. 그것조차 <에에올> 그 자체라서 또 좋았습니다. 
이 영화는 결국 ‘Be kind’라는 메시지를 남겼어요. 저는 ‘그렇게까지?’라고 생각했고요. 이 메시지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준 웨이먼드 같은 캐릭터에 마음 깊이 공감하지 못해서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인사이드 아웃>의 조이를 조이코패스라고 불렀던 사람들 중 한 명이 바로 저랍니다^^ 
웨이먼드가 스윗한 남편이자 아빠인 것도 맞고 에블린에게 든든한 삶의 조력자 역할을 해주고 있는 것도 분명하지만 저는 영원히 웨이먼드처럼 살 수 없을 겁니다. 그러고 싶지도 않고요. 저에게는 어떻게 발버둥을 쳐도 벗어날 수 없는 약자성이 있고 또 누군가 한 사람이 마지막까지 현실에 발을 딛고 있어야 한다면 그건 바로 저라고 믿거든요. 그래서 솔직히 말하자면 웨이먼드나 인사이드 아웃의 조이 같은 캐릭터가 너무 얄미워요. 이렇게 말하면 너무 나쁜가요? 
박서련 작가의 소설 <마르타의 일> 주인공 수아, 김신영이 연기하는 백반집 아줌마(”누구야! 누가 제일 바쁜 여섯시 반에!”), <에에올>의 에블린은 그래야 하기 때문에 그렇게 살게 된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에블린이라고 웨이먼드처럼 살기 싫었을까? 누구도 그들에게 ‘Be kind’를 강요할 수는 없어… 웨이먼드가 세금 업무나 파티 준비를 도왔다면 에블린도 조금 더 따뜻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을 거라고, 예수의 제자들이 자기 마실 물 정도는 자기가 떠왔다면 마르타도 좋은 몫을 가질 수 있었을 거라고 저는 굳게 믿어요.   

하지만 누구나 ‘Be nice’ 정도는 마음에 품어야겠죠. 가까운 사람들에게 다정하려고 노력하며 살지만, 그리고 다행히도 그 노력이 저에겐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게까지 친절한 건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저는 아주 편파적인 친절을 베풀면서 살아요. 주로 어린이와 젊은 여성에게… 안 물어봤다구요? 알겠습니다. 
살아가면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깔끔하고 예의 바른 사람이 되기는 참 중요하고 어려운 일입니다.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라는 생각도 들죠. 얼마 전 친구가 “진짜 모든 건 다 사람이 하는 일이구나” 하더라고요. 너무 뻔한 말이지만 또 가끔은 그렇게 새삼스럽게 느껴지는 말이기도 합니다. 모든 건 사람이 하는 일이죠. 그걸 이해하고 체득하는 일은 정말 어렵지만 우리는 그 사실을 이해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 같아요. 그래야 ‘엄마 내 베이글 보라고!’ 하면서 온 우주를 파괴하지 않죠. 
내 베이글 보라고 범우주적 떼를 써도... 너무 사랑스러운 조부 투바키
최근에 짧은 여행도 다녀오고 이사도 했는데요. 두 이벤트를 겪으면서 친절과 다정, 예의 같은 것들에 대해 많이 생각했습니다(이사와 여행 이야기는 나중에 또 해볼게요). 저도 지금보다 어렸던 때는 누구보다 냉소적이고 싸가지 없었던 것 같은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점 변하는 걸 느껴요. 이게 변한 거임. 
저의 어린 시절처럼, 그러니까 <에에올>의 조이처럼 모든 게 허무하고 의미 없다고 울적해하거나 다 죽여버릴 거라고 날을 세우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그게 다 일을 안 해서 그래’로 퉁치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것도 너무 폭력적인 말이죠.) 그건 결국 강제로라도 ‘Be nice’를 배우라는 뜻이었어요. 우리 대부분의 삶은 일상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삶을 이어나가고 지키기 위해 모두가 어떤 전투를 하고 있는지 알아가다 보면 결국 서로에게 친절하고 각자의 일상에 충실해질 수밖에 없다고. 친절과 일상은 너무 촘촘해서 허무나 냉소가 끼어들 틈이 없다고요.   

한참 삐딱하게 말했지만 <에에올>은 제가 올해 본 영화 중에 최고였습니다. 얼마 전에 <헤어질 결심>이랑 <놉>이 너무 좋았다고 난리쳐놓고 이러니까 좀 머쓱하네요. 하지만 정말이에요! 웃다가 울다가 웃다가 울다가 감탄했다가 심장 퍽퍽 쳤다가 또 깔깔 웃다가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내내 줄줄 울다가 겨우 극장을 나섰는데, 그때부터 또 마음이 움직이는 그런 영화였습니다. 인생에 대해 말하는 아름다운 영화들의 공통점인 것 같아요. 
오직 한번뿐이고 단 하나뿐인 저마다의 인생에서 우리는 아주 많은 생각과 고민과 선택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그 모든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고 최소한 너는 그때 최선의 선택을 했던 거라고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 나에게 말해주는 다중우주란 얼마나 따뜻하고 든든한가요. 
삶이 허무하고 모든 게 의미 없다고 느껴질 때, 그냥 돌이 되어버리는 것으로도 모자라 돌인 상태로 절벽에서 굴러 떨어지고 싶을 때 계속해서 말을 걸어주고 같이 낙하하겠다고 몸(돌)을 던지는 존재가 있다는 게 모든 것이 한번에 존재하는 우주의 진짜 의미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게 다른 누구도 아닌 엄마라는 건 또 다른 길고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하니까 미루어둘게요.     

너무 늦었죠? 그동안 바쁘고 슬펐습니다. 2주 전엔 이사를 했고 지난주에는 너무 참담한 일이 벌어졌잖아요. 다들 몸과 마음 잘 챙기시고 어떻게든 행복해지셨으면 해요. 행복해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면 기쁘겠습니다. 
다음엔 이사 에피소드와 무한 집들이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그럼 안녕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