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뮤지컬 용어 사전👍
연극 용어를 정리해 봤습니다.
익숙한 것도 있고 낯선 것도 있습니다.

연극이 어떻게 만들어져 관객과 만나는지 전체 과정을 상상하며 몰랐던 건 새로 익히고 알았던 것도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알아 두면 언젠가 한 번은 써 먹게 될 거예요!

*원문을 적절히 재구성했습니다.
극장(The Theater)
말 그대로입니다. 관객이 무대를 접하게 되는 물리적 공간입니다. 관객의 관점에서 이 공간을 설명합니다. 극장 로비에 들어서 무대 쪽을 바라보며 ‘하우스’라 불리는 객석에 서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 오케스트라석(Orchestra) : 무대와 가장 가까운 자리입니다. 극장에서 가장 중요한 좌석입니다. 그만큼 비쌉니다.
  • 메자닌석(Mezzanine) : 오케스트라석보다 작지만 무대 전체를 볼 수 있어 관객들이 선호하는 자리입니다. 
  • 발코니(Balcony)석 : 무대로부터 멀리 떨어진 좌석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합니다.
  • 오케스트라 피트(Orchestra Pit) : 무대와 오케스트라석 사이 낮게 위치한 공간입니다. 여기서 연주가 이루어지죠.
  • 박스석(Boxes) : 무대 양옆 층마다 위치한 좌석입니다.
  • 하우스 라이트(House Right) / 하우스 레프트(House Left) : 객석에서 무대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오른쪽을 ‘하우스 라이트’, 왼쪽을 ‘하우스 레프트’라고 부릅니다.
무대(The Stage)
  • 제4의 벽(The Fourth Wall) : 무대와 관객 사이, 보이지 않는 ‘벽’을 의미합니다. 가끔 배우가 이 벽을 깨고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걸거나 관객과 상호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 프로시니엄(Proscenium) : 가장 전통적인 무대입니다. 객석에서 무대를 봤을 때 액자틀을 닮아 액자형 무대라고도 합니다. 대부분의 대극장 무대가 이 프로시니엄 무대인데,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이 대표적입니다.
  • 돌출 무대(Thrust) : 무대가 객석 쪽으로 돌출되어 삼면을 객석이 둘러싸게 됩니다. 
  • 원형 무대(In the Round) : 말 그대로 무대가 원형입니다. 관객이 무대를 완전히 둘러싸는 구조입니다.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은 ‘돌출 원형 무대’로 출연자와 관객이 서로 호흡하며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조성되었습니다. 프로시니엄 무대와 돌출 무대의 장점을 취한 구조라 할 수 있죠.
  • 변형 무대(Environmental/Site Specific) : 오케스트라석을 없애고 테이블과 의자를 추가해 돌출 무대를 설치하는 등(예를 들어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카바레(Cabaret)>) 연출 의도에 따라 무대를 변형할 수 있습니다.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는 연출 방식 이죠. 
  • 스테이지 라이트(Stage Right) / 스테이지 레프트(Stage Left) : 무대에서 객석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오른쪽을 ‘스테이지 라이트’, 왼쪽을 ‘스테이지 레프트’라고 합니다.
대본(The Text)
  • 희곡 :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 글입니다. 하나 이상의 캐릭터, 대화, 플롯으로 되어 있습니다.
  • 뮤지컬(Musical) : 연극과 비슷하지만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음악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 북(Book) : 뮤지컬 대본을 말하빈다. 등장인물, 대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 리릭(Lyrics) : 노래 가사를 말합니다. 노랫말이 담긴 포스터를 ‘리릭 포스터’, 노랫말 중심으로 편집한 뮤직비디오를 ‘리릭 비디오’라고 부릅니다.
제작진(The Creative Team)
  • 연출가(Director) : 창작 과정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선장’입니다. 미장센을 책임집니다.
  • 프로듀서(Producer) : 제작 전반을 계획하고 조율합니다. 주로 공연이 가능하도록 자금을 모으고 예산을 편성합니다.
  • 안무가(Choreographer) : 안무를 통해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 캐스팅 디렉터(Casting Dirctor) : 배역을 소화할 수 있는 배우들을 리스트업하고 연출가에게 제안합니다.
  • 드라마터그(Dramaturg) : 희곡을 분석해 이야기가 일관되고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합니다. 희곡 창작부터 프로그램 제작, 캐스팅, 리허설, 비평까지 공연 전체 과정에 참여합니다. 유럽 극단에선 보편화된 역할이고 간혹 연출가보다 더 큰 권한을 갖는 경우도 있습니다.
  • 디자이너(Designers) : 조명, 의상, 음향 등 제작의 물리적 측면은 각 부문 디자이너가 담당합니다.
    🎼사운드 디자인에 대해
    🎭무대 디자인에 대해
  • 컨덕터(Conductor) : 음악이 동반된 공연에서 지휘를 맡습니다. 음악 감독이 지휘를 겸하기도 합니다. 곡의 템포를 설정하고 오케스트라와 배우들을 이끌어 갑니다.
캐스트(The Cast)
  • 주연 배우(Leading Actor) : 주인공입니다.
  • 조연 배우(Supporting/Character Actor) : 주연을 돕거나 주연과 갈등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 앙상블(Ensemble) : ‘코러스’라고도 합니다. 뮤지컬에서 노래, 춤, 기타 작은 역할을 맡아 소화합니다.
  • 언더스터디(Understudy) : 주연이나 조연 배우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대신 투입되는 배우입니다. 보통 앙상블 멤버가 담당합니다.
  • 스윙(Swing) : 무대 뒤에 대기하며 여러 앙상블 배역을 익혀 두고 배우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해당 역할을 대신합니다.
  • 댄스 캡틴(Dance Captain) : 보통 앙상블 멤버 중 한 명이 맡습니다. 언더스터디 리허설을 진행하고 안무가의 비전을 유지합니다.
리허설(Rehearsal)
  • 콜 타임(Call Time) : 스테이지 매니저 지시대로 리허설이나 공연에 참석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전화, 문자 또는 이메일로 스케줄이 전달됩니다. 협상 불가한 시간입니다.
  • 블로킹(Bloching) : 배우가 무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말합니다. 배우와 연출이 함께 결정하고 스테이지 매니저가 이를 기록합니다. 블로킹이 고정되면 연출가의 승인 없이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 브레이크(Break) : AEA(Actor’s Equity Association, 미국 배우조합협회)는 55분 리허설 후 5분 휴식 또는 80분 리허설 후 10분 휴식 시간을 권장합니다.
기술(Tech)
  • 지츠프로브(Sitzprobe) : 독일어로, 뮤지컬이나 오페라 본 공연 전 배우와 오케스트라 전체가 처음 호흡을 맞추는 리허설을 말합니다.
  • 반델프로브(Wandelprobe) : 지츠프로브와 유사한데, 블로킹을 수행하면서 진행되는 경우입니다.
  • 드레스 리허설(Dress Rehearsal) : 무대에 소도구를 배치하고 배우들이 의상과 분장을 갖춰 마지막으로 총연습을 합니다. 이때 제작진이 지인 등을 관객으로 초청하기도 합니다(Invited Dress). 
프리뷰(Preview)
총연습 후 열리는 공연입니다. 관객이 돈을 지불하고 공연을 관람하지만, 공연이 없는 시간에는 리허설과 세부 조정이 계속 이루어집니다.
  • 프리즈(Frozen) : 프리뷰 기간 어느 시점에 연출이 “프리즈”를 선언합니다. 더 이상 물리적 변경이 없을 거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후로도 연출가는 공연에 대한 노트를 제작진과 출연진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비평(Critics) : 공연이 “프리즈” 되고 나면 다양한 매체의 비평가들을 초대해 공연을 선보입니다. 리뷰가 공연 당일 혹은 다음 날 공개됩니다.
  • 오프닝 나이트(Opening Night) : 개막 첫날 밤이죠. 공연이 “프리즈” 된 상태에서 대부분의 주요 비평가와 가족, 친구, 매니지먼트 팀이 공연을 보러 옵니다. 공연 후에는 큰 파티가 열립니다.
런(The Run)
  • 하프 아워(Half Hour) : 모든 배우는 공연 시간 최소 30분 전에 극장에 도착해야 합니다.
  • 파이트 콜(Fight Call) : 공연 중 물리적 싸움 장면이 있다면 하프 아워 전에 이 장면을 점검합니다. 안전을 위해서죠.
  • 리미티드 런(Limited Run) : 종료일이 정해져 있는 공연을 말합니다.
  • 오픈 엔드 런(Open-Ended Run) : 보통 ‘오픈 런’이라고 하죠. 티켓이 잘 팔리고 공연이 수익을 내는 한 종료일 없이 계속되는 공연을 말합니다.
  • 하우스 시트(House Seats) : 오케스트라석이나 프론트 메자닌석에 있는 주요 좌석 중 몇몇은 특별 손님이나 제작 관계자 지인 초대를 위해 남겨 둡니다.
  • 러시 티켓(Rush) : 제작자는 매 공연 특정 좌석을 아주 저렴하게 판매하기도 합니다.
기타
  • 레퍼토리 극장(Repertory Theater) : 일부 극장은 리허설 및 개막 후 즉시 다른 공연 리허설을 진행해 두 개 이상 공연을 반갈아 상연하기도 합니다.
  • 불신의 유예(Suspension of Disbelief) : 배우와 관객이 무대 위 행동, 사건에 몰입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배우는 동료 배우가 자신의 형제나 자매, 어머니 등이라고 믿어야 하고 그 믿음이 관객에게도 전달되어야 합니다. 
  • 극적 행동(Dramatic Action)과 물리적 행동(Physical Action) : 극적 행동은 극을 진행시키는 주요 사건을 말합니다. 전개와 관련 있습니다. 반면 물리적 행동은 입장, 퇴장 같은 움직임이나 제스처를 말합니다.
JV 메르칸티(JV Mercanti)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송버드(Songbird)>의 초연을 연출했다. Pace School of Performing Arts에서 뮤지컬 연극 프로그램 연기 책임자로 재직 중이다. 최근 올랜도 블룸이 출연한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로미오와 줄리엣>의 캐스팅 디렉터이자 조연출이었다.
지만지드라마
zmanzdrama@commbooks.com
서울 성북구 성북로 5-11 02-3700-124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