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분한 겨울이 시작되는 12월, 한 해의 마지막 소식으로 인사드립니다 ❄️ 아트선재센터는 올해의 마지막을 예술과 함께 채워가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방콕에서 다시 펼쳐진 《언두 플래닛》의 소식부터 새로운 시선을 더해줄 《하이킹》 이야기, 읽기와 대화가 쌓아 온 <ASJC 리딩리스트>의 기록, 그리고 겨울밤을 밝힌 야간개장까지—따스한 온기와 함께 올 한 해의 마지막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
|
|
As December quietly begins, we bring you the final news of the year ❄️
At Art Sonje Center, we are closing the year with art at the center of our activities. In this newsletter, we share news of Undo Planet presented again in Bangkok, stories from Hiking offering fresh perspectives, reflections from the ASJC Reading List gatherings shaped through reading and conversation, and highlights from our Late-night opening—stories that gently warm the final days of the year.
|
|
|
《언두 플래닛》, 방콕에서 다시 만나는 지구의 회복 🌍
Undo the Planet: Earth’s Recovery Returns to Bangkok
|
|
|
Installation view of Undo Planet, BACC, 2025. Photo: BACC |
|
|
작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렸던 《언두 플래닛》이 방콕예술문화센터(BACC)에 다시 찾아옵니다! '언두(Undo)'라고 하면 컴퓨터에서 실수 취소 키가 떠오르지만, 이번 전시의 '언두'는 단순히 되돌리는 것을 넘어, '열다', '풀다'라는 의미까지 담고 있답니다 🌱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된 이번 전시 중 첫 번째 파트는 한국전쟁 이후 만들어진 디엠지를 중심으로, 이 지역의 역사와 생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으로 탐구합니다. 작가들의 예술적 접근을 통해 인간 중심 사고를 넘어 자연과 공존하는 회복의 가능성을 경험해보세요. 방콕에서 열리는 《언두 플래닛》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생각해 보는 시간, 놓치지 마세요! 🌿
|
|
|
Undo the Planet, which was on view at Art Sonje Center from December last year to January this year, is coming back to BACC in Bangkok! When you hear “Undo,” you might think of the undo key on a computer, but in this exhibition, “Undo” goes beyond simply reversing—it also carries the meaning of “opening” and “unfolding”. The first part of the exhibition, set in the DMZ established after the Korean War, explores the history and ecology of this unique region from a fresh perspective. Through the artists’ approaches,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move beyond human-centered thinking and experience the possibilities of coexistence with nature. Don’t miss this chance to meet the Earth again in Bangkok!
|
|
|
서로 다른 도시, 겹쳐지는 시선들 — 《하이킹》 🥾
Different Cities, Overlapping Gazes — HIKING
|
|
|
Siggi Hofer, Layered atmosphere, 2025 |
|
|
서울과 비엔나, 두 도시의 감각이 한 공간에 만났습니다 🥾
정희민과 시기 호퍼는 서로 다른 도시에 본 색, 구조, 그리고 일상의 순간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포착합니다. 두 작가는 도시 사이에 남은 미묘한 울림들을 새로운 이야기로 연결하며, 우리가 매일 스쳐 지나던 풍경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초대합니다. 이미지의 경계를 뒤흔드는 회화부터, 도시를 걷고 쌓인 레이어까지—두 작가의 시선이 나누는 대화를 따라가 볼까요? 12월 2일부터 12일까지 (투게더)(투게더)에서 만나요! ✨
|
|
|
Seoul and Vienna—two cities’ sensibilities meet in one space. Heemin Chung and Siggi Hofer capture the colors, structures, and everyday moments they experience in each city in their own unique ways. The two artists connect the subtle echoes left between cities into new stories, inviting us to see the familiar landscapes we pass by every day in a fresh light. From paintings that challenge the boundaries of images to layered works built through walking the city—follow the conversation between their perspectives. Join us at (TOGETHER)(TOGETHER) from December 2 to 12!
|
|
|
퀴어 서사 함께 열어 보기, <ASJC 리딩리스트> 📚
Exploring Queer Narratives Together, ASJC Reading List
|
|
|
<ASJC 리딩리스트>는 2026년 3월 개최 예정인 《Spectrosynthesis Seoul(가제)》 전시와 연계해, 퀴어 작가들의 작업과 퀴어 정체성, 감수성을 다양한 텍스트로 만나는 온라인 프로그램입니다. 11월 한 달간 이어진 총 4회차 중, 현재 3회차까지 마쳤는데요, 매 회차 깊은 이야기 나눔에 함께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곧 이어질 마지막 4회차에서는 김봉곤 작가의 「기록적」(2023)을 함께 읽으며, 일상의 순간과 감정을 '기록하는 행위'가 퀴어 서사를 어떻게 새롭게 열어가는지 이야기 나눌 예정입니다. 동시대 퀴어적 글쓰기를 더 깊이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될 테니 많은 기대 부탁드려요! 💫
|
|
|
The ASJC Reading List is an online program connected to the upcoming exhibition Spectrosynthesis Seoul (working title), scheduled for March 2026. Through a range of texts, the program invites participants to explore queer artists’ practices, as well as queer identities and sensibilities. Over the course of November, we have completed three of the four planned sessions, and we sincerely thank everyone who has joined us in these thoughtful and engaging conversations. In our final fourth session, we will read Kim Bong-gon’s short story “Recordic” (2023) and discuss how the act of recording everyday moments and emotions can open up new ways of shaping queer narratives. We hope you’ll look forward to this opportunity to delve deeper into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queer writing! |
|
|
낯선 감각의 밤,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적군의 언어》🌙
A Night of Unfamiliar Senses at Adrian Villar Rojas: The Language of the Enemy
|
|
|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적군의 언어》 설치 전경. 사진 남서원. ⓒ 2025. Art Sonje Center all rights reserved |
|
|
아트선재센터에서는 11월 20일,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적군의 언어》를 색다르게 볼 수 있는 야간 개장을 진행했는데요! 밤이 내려앉은 미술관의 낯설고 혼종적인 조각, 디지털과 현실이 뒤섞인 공간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방문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아트선재센터에서 준비할 다양한 이벤트와 특별한 경험을 기대해 주세요 ✨ 12월 11일에도 야간 개장이 예정되어 있으니, 밤의 미술관에서 또 다른 경험을 하고 싶은 분들은 이번 기회도 놓치지 마세요!🌙
|
|
|
On November 20, Art Sonje Center held a special Late-night opening of Adrián Villar Rojas: The Language of the Enemy—just for one day! Visitors had the uniqu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museum at night, exploring the unfamiliar and hybrid sculptures, and the space where digital and reality intertwine. We sincerely thank everyone who joined us, and stay tuned for more exciting events and special experiences at Art Sonje Center. Please note that the exhibition will also have a Late-night opening on Thursday, December 11, so don’t miss this chance to experience the museum in a whole new light!
|
|
|
아트선재센터의 이번 뉴스레터도 잘 읽으셨나요?
아트선재센터가 더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소중한 의견을 남겨 주세요.
아트선재센터 Art Sonje Center
press@artsonje.org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3길 87
8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