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27일, 테더(Tether)는 폴리곤(Polygon)에서 USDT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고 발표했
2022년 5월 31일 화요일
Xangle Announcement
6월 1일 쟁글 뉴스레터는 하루 쉬어갑니다 🙇
쟁글에서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인해 익일인 6월 1일 수요일 뉴스레터는 하루 쉬어갑니다. 6월 2일 목요일 오전에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Xangle Featured

2022년 5월 27일, 테더(Tether)는 폴리곤(Polygon)에서 USDT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폴리곤은 쿠사마(Kusama), 이더리움(Ethereum), 솔라나(Solana), 알고랜드(Algorand), 이오스(EOS), 리퀴드 네트워크(Liquid Network), 옴니(Omni), 트론(Tron),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의 렛저 프로토콜(Ledger Protocol)에 이어 11번째로 USD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폴리곤 기반으로 구축된 8,000개 이상의 팀에게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옵션을 제공하며, 투자자는 USDT를 활용하여 자금을 이동하고 수익률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What's HOT? 실시간 트위터 이슈!
레이어 1, 수수료가 낮으면 수익률 또한 낮아진다?

트위터 유저 0xHamZ가 '공공재로서의 레이어 1'에 대한 스레드를 남겼습니다. 그는 레이어 1의 트랜잭션 수수료가 낮아질수록 프로토콜 자체의 수익률이 악화되기 때문에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스테이킹으로 발생하는 보상보다 더 많은 트랜잭션이 발생해야 레이어 1 프로토콜은 비로소 수익을 냈다고 할 수 있는데, 트랜잭션 수수료가 낮을수록 더 많은 트랜잭션이 필요하기 때문에 흑자 전환이 힘들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솔라나 네트워크가 흑자로 전환하기 위해선 약 2.955조 개의 트랜잭션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하루에 약 88억 개의 거래가 발생하는 나스닥의 334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Xangle Briefs

2022년 5월 26일, 이오스 네트워크 재단(EOS Network Foundation, ENF)는 이오스 디파이 생태계의 발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Yield+ 블루 페이퍼를 출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Yield+는 이오스 디파이 생태계를 개발하고 이오스 디파이에 TVL을 늘리고 사용자가 EOSIO 자산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늘리기 위해 시작된 EOSIO 작업 그룹 및 커뮤니티 계획인데요, Yield+가 출시되면 Yield 포털에서 사용자에게 원스톱 금융 쇼핑을 제공하고,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TVL 증가를 위한 노력을 달성함으로써 체인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복합 금융 포털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22년 5월 26일, Optical Finance는 클레이튼 네트워크(Klaytn Network)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제 클레이튼에서 수익을 트래킹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2022년 5월 27일, Axelar는 테라(Terra)에서 BNB 체인(BNB Chain)으로 합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Axelar 개발자는 이제 BNB 체인 생태계에서 크로스체인 디앱(dApp)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혹시 놓치신 콘텐츠는 없으신가요?
Xangle Disclosure TOP 5
어제(5.30) 많은 사람들이 크게 관심 가진 TOP 5 Xangle 공시입니다.
No. 1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쟁글'에서 평일 오전에 매일 보내드립니다.
Copyright © CrossAngle All rights reserved.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76, 13층 (역삼동, 강남 8258빌딩)
대표자: 이현우, 김준우 | 사업자등록번호 255-88-0107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0-서울강남-02393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