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내리기 시작했고, 나는 흰빛에서 푸름을 발견했습니다. 그날, 흰색이 얼마나 많은 색을 품고 있는지, 이 세상 모든 색이 얼마나 많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보았습니다. 그 모습을 보고 얼마나 기뻤는지를 기억합니다.”
—파울 더모르, <하얀 방> 저자의 말
2023년 첫 편지를 씁니다. 한 해 잘 열어내셨을까요? 저는 폭풍 같던 12월을 떠나보내고 1월 첫날부터 편도염을 앓기 시작했어요. 약을 먹고 자주 누웠습니다. 이제는 제법 나았고 그것 말고는 특별한 일 없이 흘러가는 시간을 타고서 여느 때처럼 보냅니다. 일을 하고 고양이들을 돌보고 소중한 사람들을 만나고 책을 읽고 여자배구를 보면서요. 그러면서도 마음 한 편에는 새해에 하나라도 나아지는 게 있어야 할 텐데, 작은 초조가 자리 잡습니다.
나아지기를 바라는 것들 중 자신이 통제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하며 결과를 비교적 정직하게 얻을 수 있는 한 가지는 운동일 거예요. 지난 일 년 남짓 부상과 통증과 바쁨을 핑계로 몸을 전혀 쓰지 않았더니 정말로 못쓰게 되었습니다. 바스라질 것 같은 몸을 이끌고 사무실 근처 필라테스 센터에 등록했어요. 아- 이 첫걸음이 얼마나 어려웠는지. 센터를 나오자 비가 쏟아졌습니다. 황급히 버스를 타고 집 앞에 내렸는데 비가 함박눈으로 바뀌었어요. 한순간이었습니다. 초조가 기쁨이 되는 것이.
─✲─
짧게 앓는 동안엔 하얀 천장을 오래도록 보았어요. 그곳에 <하얀 방>이 상영되었고 여러 장면들이 순서도 없이 떠오르고 펼쳐지고 흘러갔습니다. 한 장면 속 침대에 누운 채 하얀 집을 얼굴에 덮은 하양, ‘저 소녀가 나’였어요. 이어지는 장면에서 하양은 새의 가면을 쓰고 색색의 날개를 달고 창문 앞에 서 있습니다. 한낮에 쌓인 지루함과 답답함을 딛고, 혹은 여러 날 어쩌면 아주 오래 키워온 갈망, 꿈을 품고서.
어둑하니 푸른 방, 희고도 노랗게 빛나는 창, 하양의 뒷모습. 긴장과 기대가 농축된 이 장면에서 누구나 잠시 숨을 멈출 수밖에 없을 거예요. 이 페이지에는 글도 없습니다. 오롯이 그림만이 우리에게 말을 걸어요. 여러분은 어떤 이야기를 만났을까요? 어떤 감정이 그곳에서 피어났을까요?
<하얀 방>의 그림 작가인 카텨 페르메이러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파울의 글은 마치 물이 졸졸 흐르는 것과 같이 감정이 없는 매우 특이한 텍스트였기에 그림에 적합한 분위기를 얻기 위해 잠시 내 안에서 가라앉게 두어야 했습니다.”
그러니 이 그림책이 우리에게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면 그림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크겠지요. 하지만 파울의 말도 들어보아야 해요. 그는 이 글을 기쁨으로부터 써내려갔다고 밝혔습니다. 고통과 아픔이 그에게 준 예민한 지각과 세상을 섬세히 바라보게 하는 시선, 그로부터 발견한 보이는 것 너머의 아름다움과 그 순간의 환희. 그것들을 가라앉게 두어야 했던 쪽은 우선 파울 그 자신이었을 거예요. 자신의 기쁨을 직접적으로 노래하기보다 그 안에 담긴 진실을, 거기서 새롭게 피어나는 하양의 이야기를 추수합니다.
카텨는 파울이 들려주는 하양의 하얀 꿈들을 자신의 내면에 가라앉히고 그 깊은 곳에서 길어올린 감정과 풍경을 그려냅니다. 우리는 그 조각들을 바라봐요. 이 그림책에서 파울의 글이 씨앗이라면 카텨의 그림은 그 씨앗을 틔워낸 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크고 하얀 꽃과 작고 하얀 꽃.’ 또 그 꽃들은 다시 씨앗이 되어 우리에게 심기겠죠. 저마다의 토양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피어날 거예요. 그렇게 우리가, 작가와 책과 독자가 함께 가꾼 다채로운 정원의 풍경이 눈앞에 선히 펼쳐집니다.
‘하얀 나무 아래 하얀 풀이 넘실거리고, 하얀 꽃들이 피어나.’
꽃처럼 피어난 기쁨 속에서 씨앗을 얻고 다시 피워내고 또 씨앗이 되고 다시금 피어나는 그 과정 안에서 하나의 씨앗이 정원을 이루고 또 하나의 숲을 이뤄요. 이 풍경 속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기쁨인지, 새삼. 한 해를 갈무리하고 새로운 계획을 세우며 초조했던 마음은 가라앉고 오롯한 즐거움이 떠오릅니다.
“정원은 항상 생성의 장소이므로 정원을 만들고 관리하는 것은 희망의 몸짓이다. 지금 심는 이 씨앗들이 싹 터 자라고, 이 나무가 열매를 맺으리라는, 봄이 오리라는, 그래서 뭔가 수확이 있으리라는 소망 말이다.”
—리베카 솔닛 <오웰의 장미>
초조가 기쁨이 되고, 씨앗이 꽃이 되는 것은 언제일까요. 그것이 생성될 적합한 조건, 그리고 향하고자 하는 곳으로의 작은 한 걸음. 장미를 심는 한 남자의 몸짓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