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눈에 보는 주간 환경 이슈
안녕하세요! 위클리어스 킹크랩입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한창인 요즘, 연일 중계되는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응원하기 위해 바쁜 하루를 보내시는 구독자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올림픽의 뜨거운 열기가 지나간 후의 올림픽 개최지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번 위클리어스에서는 올림픽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환경파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눈이 필요한 경기장을 100% 인공 눈으로 조성하여 물 부족으로 인한 환경 파괴가 우려된다는 것인데요. 베이징 인근 옌칭 '국립알파인스키센터' 한 곳을 인공 눈으로 덮는 데만 올림픽 규격 수영장 500개 규모와 비슷한 120만㎥의 물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베이징은 물 부족이 심각한 지역으로 연간 평균 1인당 물 소비량이 전 세계 평균의 1/10인 약 100㎥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프랑스 지리학자 카르멘드종은 "약 반년 동안 근처 자연 생태계의 물이 고갈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베이징 올림픽은 신규 경기장 건설로 인한 자연보호구역 훼손으로도 비판받고 있습니다. 옌칭 '국립알파인스키센터'는 1985년 설립된 쑹산 자연보호구역의 핵심지역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검독수리 등의 희귀 야생생물의 서식지로 이전까지는 중국 정부의 승인 후 과학 연구 목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중국은 스키 슬로프를 확장하는 등 해당 지역을 더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쑹산 자연보호구역의 추가적인 훼손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
|
|
리우 올림픽 이후 6개월만에 폐허가 된 수영 경기장 (출처: KBS)
|
|
|
올림픽 지속가능성 지수 비교 (출처: Nature Sustainability)
|
|
|
최근 연구에 따르면 1992년 이후부터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은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ty)’에 게재된 한 연구가 1992년부터 2020년까지 700억 달러 이상의 예산이 사용된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을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처음으로 지속가능한 올림픽을 개최하겠다고 선언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도 2010년 이전의 올림픽보다 낮은 지속가능성 지수를 기록하였습니다. 가장 높은 지속가능성 지수를 기록한 올림픽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이고, 가장 낮은 지수를 기록한 올림픽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입니다. 1992년부터 2020년까지의 올림픽 중 분류 체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한 올림픽은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
|
|
평창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 경기장 (출처: 중앙일보)
|
|
|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올림픽 개최 준비 단계부터 폐막 이후까지 전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규제 마련이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 없던 것은 아닙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00년에 올림픽 개최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올림픽영향연구(OGI) 이니셔티브’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올림픽이 개최지에 미친 경제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영향을 12년 동안 모니터링하는 해당 이니셔티브를 완수한 곳은 2010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캐나다 밴쿠버 한 곳뿐이었습니다. 이후 해당 이니셔티브는 2017년 종료되었으며, 개최지가 스스로 발간하는 지속가능성 보고서로 대체되었습니다.
개최지가 스스로 발간하는 보고서보다 독립적이고 체계적으로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평가 체계와 해당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규제가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점차 커지고 있는 행사 규모를 축소하는 등의 방안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심화될수록 하계·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도시가 심각하게 감소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80년에는 기존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 다시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곳이 약 38%에 불과할 것이며, 2085년에는 북반구의 올림픽 개최가능도시 중 8%만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앞으로도 세계인의 축제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3줄 요약 <
👆. 물 부족 심화, 자연보호구역 훼손 등 환경파괴 논란에 휩싸인 베이징 동계올림픽😲
✌️. 1992년 이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는 올림픽의 지속가능성📉
👌.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평가 체계와 규제 마련이 필요! |
|
|
방귀에 세금을 물린다?!💨
방귀에 세금을 물리는 나라가 있다고 하는데요. 에스토니아, 아일랜드, 덴마크의 낙농가는 소 방귀에 책정된 '소 방귀세'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금 부과의 배경은 축산업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때문입니다. 소 한 마리가 배출하는 메탄가스의 양은 1년에 약 85kg로, 전 세계에서 약 1700억kg의 메탄을 소가 배출하는 셈입니다. 이는 전체 매탄가스 배출량의 25%가 넘습니다.
|
미세먼지 심한 지역 3년 살면 난청 위험
최근 가천대학교 길병원 예방의학과 최윤형 교수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한 연구에 따르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은 난청 위험이 크다고 합니다. 최 교수는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체내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면서 달팽이관이 퇴화하여 청력 손실에 영향을 주는 것을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성미산을 지켜주세요⛰️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아이들과 지역주민들이 함께하는 다양한 문화활동이 운영되고 있는 성미산이 훼손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성미산을 지키는데 함께 해주세요! |
|
|
서울환경운동연합 |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seoul@kfem.or.kr | 02-735-708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