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언론수용자 조사 한눈에 보기 👀 1. 늘어난 뉴스 이용률, 모바일이 큰 비중 2. 포털로 뉴스 보는 언론수용자들 3. 뉴스 이용 늘었지만 언론 신뢰도는... 늘어난 뉴스 이용률, 모바일이 큰 비중 대다수의 국민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모바일을 통한 뉴스 소비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뉴스 이용률이 가장 높은 매체는 여전히 TV(83.4%)였지만, 작년 85%에 비해 하락한 수치였고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이용한 경우는 2020년 78.7%에서 2021년 79.8%로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은 ‘언론’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기존 언론의 영향력은 축소되고 동영상 플랫폼이나 메신저, SNS가 뉴스 확산 채널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뉴스 이용에 있어 매체를 불문하고 더 자주, 더 오래 뉴스를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TV로 뉴스/시사 프로그램을 매일 시청한다는 응답은 43.4%에서 45.5%로 늘었고,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뉴스 이용 시간 또한 19.1분에서 21.4분으로 늘었습니다. 포털로 뉴스 보는 언론수용자들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은 지난해보다 3.4%포인트 증가한 79.2%였는데요. 특히 20~40대의 90% 이상이 모바일을 통해 포털 뉴스를 이용한다고 대답했습니다. 50대와 60대도 각각 85.9%와 46.9%로 절반가량은 모바일을 통해 포털 뉴스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와 가장 신뢰하는 매체 모두에서 2위를 차지한 것은 ‘네이버’였습니다. PC를 통한 포털 뉴스 이용은 특히 젊은 층에서 증가세가 컸습니다. 20대는 작년보다 8.7%포인트 증가해 48.0%를, 30대는 36.8%에서 48.7%를 기록했습니다. 40대 또한 26.5%에서 32.6%로 증가했습니다. 20~40대는 모바일을 통해서도 뉴스 소비가 높지만 장기화된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PC와 모바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포털을 통한 뉴스 소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뉴스 이용 늘었지만 언론 신뢰도는… 전통 매체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던 때와 달리 뉴스 소비의 선택지가 많아지면서 언론에 대한 평가 또한 냉정해졌는데요. 응답자들은 언론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55점을 줬지만 정확성 3.25점, 신뢰성 3.24점, 공정성 3.12점을 줬습니다. 중간값인 3점은 넘겼지만 여전히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중에서도 언론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인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기능의 수행 정도에 대해 3.20점으로 평가했으며 정부와 공인에 대한 비판과 감시 역할 또한 3.21점으로 평가했습니다. 무엇이 언론에 대한 평가를 이렇게 만들었을까요? 뉴스 수용자들은 한국 언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허위/조작정보, 즉 가짜뉴스를 꼽았습니다. 또한 편파적 기사와 속칭 ‘찌라시’ 정보가 문제라는 의견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전통 매체를 ‘그나마 낫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뉴스 매체별 신뢰도는 TV, 인터넷 포털, 종이신문, 라디오 순으로 인터넷 기반 매체를 더 많이 이용하지만 기존 언론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 언론수용자 조사>를 통해 언론은 전문성을 유지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플랫폼에 맞는 변화를 고민할 때라는 것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숫자로 보는 언론수용자 영상으로 보는 언론수용자 <2021 언론수용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뽑아 요약한 영상 보고서를 보러가려면 아래 영상을 클릭해주세요! 발행처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소 04520 서울 중구 세종대로 124 전화 02-2001-7756 / 팩스 02-2001-77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