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 스티프닝에 관해 알아봅니다.
2023.08.10.

님, 안녕하세요~😄

요즘 신문에서 ‘베어 스티프닝(bear steepening)’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2년 만기 금리는 하락하는 가운데 10년 만기 금리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 美 10년 국채금리 급등…고금리 장기화되나📝

 

미국 중앙은행(Fed)의 강도 높은 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다시 연 4%대로 올라 고공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본은행의 통화 완화 정책 축소, 미국의 국채 발행 물량 확대 등도 국채금리를 밀어 올리는 요인이라고 하네요.

우선 베어 스티프닝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선 ‘커브 스티프닝’을 알아야 합니다.

커브 스티프닝은 채권 수익률 곡선의 경사가 가팔라진 것을 뜻합니다. 스티프(stiff)는 급격한 경사를 갖는 절벽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채권 수익률 곡선 ‘일드 커브(yield curve)’에서 급격한 상태를 커브 스티프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경기가 급격히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 단기채로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므로 단기채의 가격이 오르고 수익률이 낮아집니다. 반면 장기채는 그만큼 수요가 줄기 때문에 가격이 내려가면서 금리가 올라가죠. 이런 현상이 바로 커브 스티프닝입니다. 장단기 채권의 금리차가 급격해진다는 것이죠.

반대로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진 상황은 커브 플래트닝이라고 부릅니다.

이 커브 스티프닝에다 어떤 상황인지에 따라 불(강세, 금리하락), 베어(약세, 금리상승)를 붙이면 됩니다. 즉, 베어 스티프닝은 경기 확장 예상으로 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더 상승하여 장단기금리 차가 급격해진다는 것입니다.

앞서 기사에서도 ‘Fed의 긴축은 조만간 끝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 경제는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면서 베어 스티프닝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라고 했습니다.

어쨌든 채권은 참 쉽지 않습니다.

과거 채권에 관한 뉴스레터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채권 1화] 조르는 권리, 채권😅 보러 가기 👉 https://stib.ee/wHc6

[채권 2화] 채권과 화폐의 시간가치 (2)😅 보러 가기 👉 https://stib.ee/fpe6

[채권 3화] 채권- 현재가치와 미래 가치(3)😅 보러 가기 👉 https://stib.ee/DUh6

[채권 4화] 채권- 채권의 시장과 할인, 할증 (4)😃 보러 가기 👉 https://stib.ee/xAk6

[채권 5화] 채권 - 시장이자율 만큼의 수익률(5)😃 👉 https://stib.ee/iXp6

[채권 6화] 2023년, 금리와 환율은? - 채권+ 👉 https://stib.ee/QFs6

[채권 마지막] 채권 그 대망의 마지막😅 👉 https://stib.ee/T707

플라자 합의 그이후...

플라자 합의 이후 떨어진 수출을 만회하기 위해 금리를 대폭으로 인하, 내수경기 진작에 힘쓰죠. 그렇게 풀린 돈은 부동산으로 몰려듭니다. 일본의 부동산 시장은 1991년을 정점으로 버블이 피크를 이룹니다. 은행마저 LTV의 120%까지 대출해주는 등으로 부동산 버블은 극대화됩니다. 이런 주택가격 폭등에 공급과잉까지 겹칩니다.

 

언제 터질지 몰랐던 일본의 부동산은 정부의 정책으로 한순간에 꺼집니다. (우리나라 대출 규제와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과도한 버블에 겁이 난 일본 정부는 부동산 대출을 규제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금리를 인상하고 통화 긴축정책을 펼치죠.

BOJ는 1989년 5월부터 1990년 8월까지 16개월간 정책금리를 3.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최종금리 6.0%) 그런데 1991년이 부동산 피크인데 금리는 그 이전에 인상했다? 우리가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금리 정책은 늘 천천히 다가옵니다.

사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일본 경제 성장률은 4% 내외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금리 인상이 먹히기 시작한 것은 3년 후인 1992년부터였습니다. 이런 금리 인상으로 지역 금융기관의 부실이 드러나기 시작하죠. 그 부실이 드러난 것은 1994년이었습니다. (최근 미국을 보시면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여기에 더해 부동산 관련 융자 총량 규제도 시행합니다. 부동산업에 대한 대출 증가율이 총대출 증가율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었죠. 이런 대출 상황을 감독 당국에 보고하도록 의무화 제도도 도입됩니다. 물론 이 규제는 금리 인상이 나타나던 1992년에 다시 완화하긴 했지만 이미 부동산 버블은 터지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저출산 고령화빈집이 많이 생겨서 부동산 침체 가속화가 이루어집니다. 부동산 가격은 내려갑니다. 2005년까지 부동산 가격이 폭락합니다.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니 사람들이 고금리 예금에 돈을 묶어두게 되고 시중에 유동자금이 줄어들면서 경기침체가 더 심해집니다. 그렇게 일본은 20년 넘는 장기침체 터널로 빠진 것이죠.

어쨌든 이 일본 사례를 한번 알아두시는게 최근 한국의 경제 현황 그리고 갈 길을 볼 수 있는 길이 될 것입니다. 

[문제]  기업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IPO

② CB

③ BW

④ CP

⑤ IFRS

[해설] 기업공개(IPO;Initial Public Offering)는 기업의 외부 투자자들에 대한 첫 주식공매이다.

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란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사채를 말한다. 전환청구기간 내에 전환권을 행사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신주를 인수할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Bond with Warrant)는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붙은 채권이다. 전환사채(CB)와 다른 점은 전환사채가 전환에 의해 그 사채가 소멸되는 데 비해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인수권의 행사에 의해 인수권 부분만 소멸할 뿐 사채 부분은 계속 효력을 갖는다는 점이다.

기업어음(CP;Commercial Paper)은 기업이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융통어음이다.


정답 ⑤

[문제] 교사가 수업시간에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1,300원에서 900원으로 하락한다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발표해볼까요?”라는 질문에 대한 학생의 알맞은 대답을 <보기>에서 고르면?(단, 모든 국제 거래는 미국 달러화로 한다.)

 

< 보 기 >

ㄱ. 한국에서 생산하는 기업의 해외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개선됩니다.

ㄴ. 미국 수입상품의 원화 표시 가격은 하락합니다.

ㄷ. 내국인이 미국으로 여행하는 비용이 증가할 것입니다.

ㄹ. 한국 정부는 미국 달러화로 상환해야 하는 외채의 상환 부담이 감소합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하락은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수입품의 원화 표시 가격은 하락한다. 원화 가치 상승으로 해외로 수출하는 한국 생산 제품의 수출 가격 경쟁력은 약화한다. 또한, 내국인이 미국으로 여행하는 비용이 감소하고 한국 정부의 외채 상환 부담은 감소한다.

정답 ④
[문제] 시장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게임이론으로 과점시장을 설명할 수 있다.

② 자연독점은 범위의 경제가 존재할 때 발생한다.

③ 시장은 판매자의 수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④ 독점적 경쟁시장은 기업의 제품 차별화와 관련이 깊다.

⑤ 독점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정해진다.

[해설] 시장은 판매자 수에 따라 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등으로 나뉜다. 과점시장에서 한 기업의 가격(생산량) 조정은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쟁 기업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상호의존성 때문에 과점기업은 의사결정 시 상대방의 반응까지 고려하는 전략적인 상황에 직면한다. 게임이론은 이를 연구하는 것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진입과 퇴거가 자유롭고, 다수 기업이 존재하지만 각 기업이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한다. 독점기업에서 이윤 극대화 조건은 한계수입=한계비용이다. 자연독점은 초기에 막대한 설비투자비용이 소요되나 추가적인 생산에 따른 한계비용이 매우 낮은 경우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고정비용이 급속히 낮아져 평균 비용이 하락하는 규모의 경제가 존재할 때 발생한다.


정답 ②
이 뉴스레터를 카카오톡으로 공유하세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
COPYRIGHT ⓒ 한국경제신문 ALL RIGHT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