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25:19-34
얽히고 설킨 관계의 시작
오늘의 본문 | 창 25:19-34
19 다음은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족보이다.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았고, 20 이삭은 마흔 살 때에 리브가와 결혼하였다. 리브가는 밧단아람의 아람 사람인 브두엘의 딸이며, 아람 사람인 라반의 누이이다. 21 이삭은 자기 아내가 임신하지 못하므로, 아내가 아이를 가지게 해 달라고 주님께 기도하였다. 주님께서 이삭의 기도를 들어 주시니, 그의 아내 리브가가 임신하게 되었다. 22 그런데 리브가는 쌍둥이를 배었는데, 그 둘이 태 안에서 서로 싸웠다. 그래서 리브가는 "이렇게 괴로워서야, 내가 어떻게 견디겠는가?" 하면서, 이 일을 알아보려고 주님께로 나아갔다. 23 주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두 민족이 너의 태 안에 들어 있다. 너의 태 안에서 두 백성이 나뉠 것이다. 한 백성이 다른 백성보다 강할 것이다. 형이 동생을 섬길 것이다." 24 달이 차서, 몸을 풀 때가 되었다. 태 안에는 쌍둥이가 들어 있었다. 25 먼저 나온 아이는 살결이 붉은데다가 온몸이 털투성이어서, 이름을 에서라고 하였다. 26 이어서 동생이 나오는데, 그의 손이 에서의 발뒤꿈치를 잡고 있어서, 이름을 야곱이라고 하였다. 리브가가 이 쌍둥이를 낳았을 때에, 이삭의 나이는 예순 살이었다. 27 두 아이가 자라, 에서는 날쌘 사냥꾼이 되어서 들에서 살고, 야곱은 성격이 차분한 사람이 되어서, 주로 집에서 살았다. 28 이삭은 에서가 사냥해 온 고기에 맛을 들이더니 에서를 사랑하였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하였다. 29 한 번은, 야곱이 죽을 끓이고 있는데, 에서가 허기진 채 들에서 돌아와서, 30 야곱에게 말하였다. "그 붉은 죽을 좀 빨리 먹자. 배가 고파 죽겠다." 에서가 '붉은' 죽을 먹고 싶어 하였다고 해서, 에서를 에돔이라고도 한다. 31 야곱이 대답하였다. "형은 먼저, 형이 가진 맏아들의 권리를 나에게 파시오." 32 에서가 말하였다. "이것 봐라, 나는 지금 죽을 지경이다. 지금 나에게 맏아들의 권리가 뭐 그리 대단한 거냐?" 33 야곱이 말하였다. "나에게 맹세부터 하시오." 그러자 에서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다고 맹세하였다. 34 야곱이 빵과 팥죽 얼마를 에서에게 주니, 에서가 먹고 마시고, 일어나서 나갔다. 에서는 이와 같이 맏아들의 권리를 가볍게 여겼다.
본문 해설
이삭은 조연이에요. 아브라함이 이삭을 제물로 바치려는 이야기에서 비중 있게 출연하지만, 이삭의 이야기들은 그렇게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이제 이삭의 아들들 이야기로 넘어 갑니다. 구약성서에서 하나님께 여쭙고자 하는 말이 있는 사람들은 예언자나 제사장에게 갔어요. 22절에서 '주님께로 나아갔다'는 말이나 23절에서 '주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는 말은 그 당시 하나님의 뜻을 대리하여 전해 주었던 예언자나 제사장에게 갔다는 말이에요. 잊지 마세요. 하나님은 물리적인 몸을 가지고 있지 않으십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눈에 보이거나 하나님의 음성이 귀에 들리지 않아요. 우리가 하나님을 볼 수 있는 방법은 뒤에서 밝혀질 거예요. (궁금증 유발!)

쌍둥이를 임신한 리브가는 쌍둥이가 태중에서 싸우고 있다는 걸 느껴요. 그래서 이에 대해서 예언자(혹은 제사장)에게 나아갔고 그에게서 자녀들에 대한 예언을 듣고 와요. 형이 동생을 섬기게 될 거라는 예언이었어요. 바로 이 이야기에 이스라엘이 주변국들과 겪은 수많은 역사적 갈등의 씨앗이 있는지도 몰라요. 왜냐하면요. 에서의 이름은 에돔과 발음이 매우 비슷하고, 털투성이 같다는 말에서 털은 세일과 발음이 비슷해요. 세일은 에돔 족속이 머물던 땅의 이름이고요. 그러니까 에서는 에돔 족속을 상징하고 야곱은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거예요. 오늘의 이야기를 에서와 야곱이 아니라, 에돔 족속과 이스라엘 족속의 이야기로 읽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에서가 야곱에게 장자의 명분을 판 일도 마찬가지예요. 히브리어 본문에서 에서는 "나로 그 붉은 것, 거기 있는 붉은 것을 삼키게 하라."고 말하고 있고, 또 "아이고, 내가 배고파 죽을 지경인데 장자의 명분이 내게 무엇이냐?"하고 말하고 있어요. 에서의 충동적인 모습과 자제력 없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에돔 족속이 하나님으로부터 선택 받을 자격이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어요. 그렇게 창세기의 기자는 에돔 족속이 아니라 이스라엘 족속이 선택을 받은 이유를 강조하고 있는 거예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오늘의 본문에서 창세기 기자는 '왜 우리 민족은 늘 주변국들과 갈등을 겪고 있는가?'에 대한 대답으로 오늘의 이야기를 들려 주고 있는 거예요. 에서와 야곱의 출생에 대한 이야기의 포인트는 '하나님이 강권적으로 에서를 선택하지 않으시고 동생인 야곱을 선택하셨다'는 게 아니라, '창세기의 기자는 에돔 족속과 이스라엘의 해묵은 갈등의 근원을 이러한 이야기로 해설하고 있구나'예요. 우리는 이 지점에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창세기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헤아려 볼 수 있어요. 이스라엘 민족에게 창세기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매우 중요한 책이었어요. 그리고 우리는 그게 이스라엘만을 향한 규정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믿고 있는 거고요. 성서가 어떤 의미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책인지도 앞으로 잘 알게 되실 거예요.
떼오(Theo)
caminodeseoul@gmail.com
010-2839-0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