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문제연구 35권 2호] 2024.11
▫️인공지능(AI) 기반 무기체계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3)에 미치는 영향 / 김송죽 (2024.11)
▫️김정은 시기 북한의 금융개혁 고찰: 변화된 금융시스템 활용실태 분석 / 정은찬 (2024.11)
▫️송금(Remittance)이 북한 가계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국 체류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 정은이 (2024.11)
▫️국내 이주동포의 민속문화와 포용성 담론 / 김면 (2024.11)
▫️북한의 경제제재 회피사례와 국제사회의 대응: 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 채수란 (2024.11)
▫️북한의 대남전략과 군사위협: 김정은 시대 변화 요인과 함의 / 정원희, 심세현 (2024.11)
▫️지역연구 대상으로서 북한학의 발전 가능성과 과제 / 홍석훈 (2024.11)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해 본 북한 여성 이미지 연구: 북한의 「조선예술」선전화를 중심으로 / 박준혜 (2024.11)
[북한학보 49권 2호] 2024.12
▫️북한의 고등학교 김일성 혁명력사 교과서 분석: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사와 혁명전통의 창조 / 강진웅 (2024.12)
▫️북·러 신조약의 특성과 북·러 관계의 성격: 대피동맹이론의 적용 / 우평균 (2024.12)
▫️AI 시대의 통일교육: 통일교육 AI 플랫폼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 두일철, 김나영, 전영선 (2024.12)
▫️평양민속공원의 건립과 해체: 김정은시대 민족유산보호정책의 변화 / 박계리 (2024.12)
▫️월북·망명음악가 정추의 노래집 『젊은이의 노래』(1970)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연구 / 이경분 (2024.12)
[통일연구 28권 2호] 2024.11
▫️김정은 시기 조선인민군 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정일 시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곽은경 (2024.11)
▫️북한 내각 기구의 대남 담화에 나타나는 관료제적 특성: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담화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 권주현 (2024.11)
▫️탈북민 수는 왜 늘어나지 않는가 디지털 권위주의와 생체인식기술 발전 / 장양규 (2024.11)
[국가전략 30권 4호] 2024.11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한국 반도체 산업 동학 / 김흥규, 이병철 (2024.11)
▫️한・미 간 경제안보 딜레마의 부상 / 김유철 (2024.11)
▫️동맹 내 핵확산에 대한 미국의 설득과 강압 및 수용: 핵무장 예방을 위한 미국의 대(對)한국 강압 가능성 검토 / 로버트 켈리, 이대한 (2024.11)
▫️핵-비핵 전략무기(NNSW) 연계(Nexus): 북한의 핵전략과 한미동맹에의 함의 / 류인석 (2024.11)
▫️김정은 시대 국가전략과 급진적 군사주의에 대한 연구 / 장석준 (2024.11)
▫️북한 김정은의 기회주의적 군사전략 / 김태현 (2024.11)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 안보와 데이터 안보 연계의 동학 / 정헌주 (2024.11)
▫️희망과 회의 사이: Z세대의 통일 회의론 분석 / 고광영, 김택빈 (2024.11)
[통일과 법률 60호] 2024.11
▫️북한의 대남관계 근본적 변화와 형법개정 / 최진호 (2024.11)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 행위와 관련된손해배상 가능성의 검토 / 이지원, 조정현 (2024.11)
▫️건국헌법과 이승만의 조국통일론 / 제성호 (2024.11)
[한국국가전략 9권 3호] 2024.11
▫️북러 군사협력이 북한군 전력증강에 미치는영향: 평가와 전망 / 김태현 (2024.11)
▫️북한 핵·미사일 위협 상쇄를 위한 미사일 전력발전 방향 / 함형필 (2024.11)
▫️무기체계 및 개발과정 관점의 북한 핵무기 분석과 전망 / 박진호 (2024.11)
▫️새로운 전쟁터로서 마음: 인지전(Cognitive Warfare) 연구 / 류동원, 이국화 (2024.11)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대한민국 안보 담론 분석: 평화 담론과 구조토픽모델을 중심으로 / 황원준 (2024.11)
▫️한미 일체형 확장억제가 반영된 한미 연합연습 준비 소요에 대하여: 2019년-2023년 한미 연합연습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김혜림 (2024.11)
▫️접경지역 민간인통제선 운영 관련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심재정 (2024.11)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JPU) 14권 4호] 2024.11
▫️China’s Support for Russia’s Invasion of Ukraine: Three Perspectives / 백태열 (2024.11)
▫️Whither Goes Russia-DPRK Partnership? Outlook through Five Scenarios / 이종은, 손한별 (2024.11)
▫️An Analysis on Failure Factors of South and North Korea’s Joint Bid for the 2032 Summer Olympics: Focusing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 김혜주 (2024.11)
▫️Anti-Imperialism and Pragmatism: Continuity and Change in North Korea’s Global Perception / 박원곤, 박수진 (2024.11)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AJP) 12권 2호] 2024.11
▫️Sino-American Rapprochement and China’s Dilemma in Dealing with the Korean Peninsula Issue (1971-1976) / Zhihua Shen, Yangzi Lin/Yangzi Lin
▫️China’s Holistic Approaches to Security: A Text-Mining Analysis of Shifting Priorities in COVID-19 Responses / Xiru Zhao, Yuji Uesugi (2024.11)
▫️Ethnic Politics, Political Security, and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the Non-Interference Principle within ASEAN / Wen Zha (2024.11)
[그 외 북한/통일관련 학술지 논문]
▫️[한국정치연구 33권 3호] 김정은 정권 대남정책의 변화: 남한의 대북정책에 대한 반응성을 중심으로 / 김상기 (2024.10)
▫️[일본연구논총 60호] 북일관계 60년과 한국 / 이기태 (2024.12)
▫️[대한정치학회보 32권 4호] ‘적대적 두 국가’ 개념을 통해 본 북한 통일정책의 전환 / 권숙도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식량안보지수 개발 및 남북한 격차 분석 / 이다선, 임채환, 백영선, 안동환, 지성태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북한의 식량난 해소와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한 지역순환경제 접근법 / 조성찬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인공지능 시대의 북한 지역개발 방법론 구상: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미래 시나리오 생성 실험 / 민경태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남북통일과 중국의 영토 문제의 충돌: 중화민족 만들기와 역사 왜곡 / 임형백 (2024.11)
▫️[일본근대학연구 86호] 소설과 외교 문서로 본 북송 사업의 실체와 한국 정부의 대응 전략 / 김선영 (2024.11)
▫️[문화기술의 융합 10권 6호] 김일성 시기 북한의 평화협정 담론 변화와 함의 / 이은미 (2024.11)
▫️[문화기술의 융합 10권 6호] 1970년대 국가 이데올로기가 내재 된 남북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이현석 (2024.11)
▫️[문화기술의 융합 10권 6호] 북한의 대남 인지전에 관한 연구: 재귀통제와 3전(3戰)을 중심으로 / 박장우 (2024.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5권 11호] 해상 자폭드론의 전투효과 시뮬레이션 분석 / 김태양, 하용훈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북한 화생무기 검증간 UNSGM 적용방안에 대한 소고 / 이선희, 임단용, 서천규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드론작전사령부 창설의 타당성 평가: 군사적 필요성과 한국적 환경 적합성 중심으로 / 장재규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미·중 군사혁신 경쟁과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 / 권영호, 길병옥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북한의 공세적 핵전략과 ‘일반 핵강제’ / 김태현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문재인 정부의 국방정책과 군사전략 평가: 대북정책과 정치-군사 관계의 영향을 중심으로 / 류인석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윤석열 정부의 통일·대북정책 평가와 과제: 역대 정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백자성, 윤지원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한반도 지상군 군사력 균형 연구 / 임철균 (2024.11)
▫️[전략연구 31권 3호]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은 교훈과 미 육군의 주요 교리변화 / 이승우 (2024.11)
▫️[재산법연구 41권 3호] 북한 민법상 화물운송계약과 철도화물수송법에 관한 연구 / 장병일 (2024.11)
▫️[환경법연구 46권 3호] 남북한 폐기물 처리 협력을 위한 법제 고찰 / 오윤정 (2024.11)
▫️[질적연구 25권 2호] 북한이탈주민 암생존자의 암 진단 후 삶의 변화 경험 / 김건희, 전정희 (2024.11)
▫️[한국웰니스학회지 19권 4호] 북한이탈주민의 자살 위기 경험에 관한 연구 / 윤지혜 (2024.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9권 11호]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과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장영은 (2024.1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3권 6호] 북한이탈주민의 유튜브 채널 <정성산TV>의 인기 요인 분석: 담화 전략을 중심으로 / 조위수 (2024.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8권 8호] 여성 집단 내에서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격차 변인에 대한 비교 연구 : 일반여성, 결혼이민여성, 북한이탈여성을 중심으로 / 조수선, 조윤경 (2024.11)
▫️[우리문학연구 84호] 1990년대 이호철 통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살림 통일론」을 중심으로 / 윤재민 (2024.10)
▫️[비교문학 94호] 1950년대 북한-인도 여행 서사의 정동 정치와 대화 (불)가능성: 북한·인도 문인들의 기행문 및 번역문학을 중심으로 / 하신애 (2024.10)
▫️[로컬리티 인문학 32호] 북한 <아기장수전설>의 보편적인 양식적 특징과 지역적인 차별성 연구: 남한 <아기장수전설>과의 비교를 통해 / 권도경 (2024.10)
▫️[한국언어문학 128호] 남북한 ‘-적(的)’ 파생어에 대한 고찰 / 조동미, 이래호 (2024.11)
▫️[한국사전학 44호] 북한 조선어 형태소 분석 사전 구축에 관한 연구 / 스가이 요시노리 (2024.11)
▫️[통번역교육연구 22권 3호] 남북한 감각언어 번역 전략과 AI번역 활용 가능성 연구: 의성어ㆍ의태어를 중심으로 / 이은정 (2024.11)
▫️[중국어교육과 연구 44호] 코퍼스 기반 북한 외국어학원 중국어 교과서 어휘 분석 / 박수민, 이지은 (2024.11)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37호] 한강과 대동강의 문화・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 수렴이론을 활용하여 / 노현종 (2024.11)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37호] 북한 ‘대동강’ 기사를 통해 본 김정은정권 ‘인민’ 동원 담론의 변용: TF-IDF 분석을 중심으로 / 임수진 (2024.11)
▫️[역사와 담론 112호] 프랑스의 한반도 냉전과 데탕트 인식: 푸에블로호 사건을 중심으로 / 민유기 (2024.10)
▫️[민속학연구 55호] 북한에서의 봉산탈춤 연구 양상 고찰: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에서 간행된 논저를 중심으로 / 김광식 (2024.11)
▫️[역사교육연구 50호] 평화를 목적으로 갈등의 자리 마련하기: 분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남북관계 / 오주연 (2024.11)
▫️[韓國史學報 97호] 분단을 넘는 역사학: 강만길의 민족 통일전선 운동 연구 / 홍종욱 (2024.11)
▫️[동양예술 65호]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4) - 남북한 학교 서예교육현황 비교 고찰 / 김정남 (2024.11)
▫️[인문과학 95호] 북한의 제2언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교재와 외국어로서의 교재의 특성 비교 연구: 『조선어: 외국인학교 중등반용』과 『조선어: 류학생용』을 중심으로 / 김한근, 강남욱 (2024.11)
▫️[언어와 문화 20권 4호] 북한의 계승어로서 조선어 교재의 특징과 의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한근 (2024.11)
▫️[담화와 인지 31권 4호] 북한이탈주민 대안학교 보도 기사에 대한 사회적 행위자 네트워크관점에서의 비판적 담론 분석: 대안학교 및 교장단, 교사를 중심으로 / 이진현, 정혜은 (2024.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권 22호] 탈북청소년의 효과적 상담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최금주 (2024.11)
▫️[현대사회와 다문화 14권 4호] 중도입국청소년 진로 및 진로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함세정 (2024.11)
▫️[대한건축학회 40권 11호] 북한의 건축 기술관료 김응상, 1916-2003 / 박동민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다면적 접근을 통한 북한 도시의 개발 과정 분석 / 기정훈 (2024.11)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6권 4호] 시장도입 이후 평양 건설 영향요인 분석: 위성자료와 심층인터뷰 혼합연구 / 이시효 (2024.11)
▫️[한국습지학회지 26권 4호]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유혜린, 유영한, 박지원, 박여빈 (202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