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아블로 이모탈', 수익모델 논란에도 불구하고
출시 2주만에 매출 2,400만 달러 돌파 |
|
|
이달 1일 출시된 '디아블로 이모탈'(Diablo Immortal)이 출시 약 2주만에 매출 2,400만 달러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앱 데이터 분석 기관 앱매직(Appmagic)이 게임데브 리포트(GameDev Reports)를 통해 공개한 바에 의하면, 출시 후 2주간 총 다운로드 건수는 약 850만 건을 기록했으며, 이 중 26%는 미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기간 매출은 2,430만 달러로, 약 43%가 미국에서 발생했습니다.
📱모바일 사업 박차 가하는 블리자드
이달 1일 예정보다 하루 빠르게 출시된 디아블로 이모탈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Blizzard Entertainment)가 '하스스톤'(Hearthstone)에 이어 선보이는 모바일 게임으로, 액티비전 블리자드(Activision Blizzard)는 최근 '콜 오브 듀티 모바일'(Call of Duty Mobile)의 성공에 힘입어 모바일 사업을 강화해 나가는 중입니다. 액티비전 블리드 측은 2020년, "가장 중요한 프랜차이즈"들 모두가 모바일 타이틀을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연내로 '워크래프트 아크라이트 럼블'(Warcraft Arclight Rumble)의 출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페이-투-윈' 게임, 과금방식 관련 논란 '시끌'
디아블로 이모탈은 출시 전 수익모델로 인해 큰 논란이 되었는데요. 게임의 진행을 위해 지나치게 많은 인앱 구매를 요구하는 과금 방식으로 인해 사용자들 사이에서 '페이-투-윈'(pay-to-win) 게임이라는 비아냥을 사기도 했습니다. 아이템 구매에 사용되는 '전설 보석'(Legendary Gems)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기는 하지만, 게임 전문 유튜브 채널 '벨루라 뉴스'(Bellular News)에서 캐릭터와 아이템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11만 달러를 지불하거나, 10년간 게임을 플레이해야한다는 추측을 내놓으며 많은 사용자들의 공감을 얻은 바 있습니다. 또한 루트박스(loot box, 유료 전리품 상자) 시스템도 포함하고 있어, 블리자드는 루트박스를 규제로 금지하고 있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는 게임을 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 중국에서는 무기한 출시 연기, 넷이즈 주가 '뚝'
한편, 중국에서는 블리자드와 디아블로 이모탈을 공동 개발한 넷이즈(NetEase)가 공식 출시 예정일을 3일 앞두고 구체적인 일자에 대한 언급 없이 게임 플레이 경험의 향상과 "다수의 최적화 조정"을 위해 출시를 연기한다고 발표하며 발표당일 주가가 7% 가량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디아블로 이모탈의 중국 출시는 게임 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를 가늠하기 위한 잣대로써 업계의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넷이즈는 지난해 2월 디아블로 이모탈 출시를 위한 판호(당국 허가)를 취득했으나, 이후 9개월간 중국 정부가 신규 판호 발급을 중단하며 중국 게임 산업이 급격히 냉각된 바 있습니다. 디아블로 이모탈의 경우, 최근 공식 웨이보(Weibo) 공식 계정이 관련 법과 규제를 위반"하는 포스팅을 게시했다는 이유로 차단되기도 했는데, 이번 출시 연기가 소셜 계정의 차단과 관련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
|
|
센서타워, 넷플릭스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1,300만건 기록
앱 데이터 조사기관 센서타워의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말 처음 제공되기 시작한 넷플릭스 모바일 게임의 누적 다운로드 수는 총 1,300만 회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은 '기묘한 이야기' 기반의 모바일 게임 '기묘한 이야기 1984'로 200만 건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습니다. |
|
|
텐센트, 메타버스 진출 위해
XR 유닛 신설
텐센트가 내부 직원들을 상대로 확장현실(XR) 유닛의 신설을 발표했습니다. 로이터에 의하면, 신설된 XR 유닛은 텐센트의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그룹의 일부로 운영될 예정으로, 텐센트 게임즈의 글로벌 CTO인 션 리가 총괄하게 됩니다.
|
|
|
에픽 게임즈, 스팀과의
크로스플레이를 위한 툴을 공개
에픽 게임즈가 개발자들이 손쉽게 이종 런처간의 크로스플레이 지원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공개했습니다. 처음 공개된 것은 개발자들이 양대 PC 게임 스토어인 스팀과 에픽 게임즈 스토어간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툴로써, 에픽 게임즈는 향후 콘솔 및 모바일 상호호환을 위한 툴들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
|
|
블리자드, WoW 신규 확장팩
'용군단' 연내 출시
블리자드가 '월드오브 워크래프트'(WoW) 프랜차이즈의 새로운 확장팩 '용군단'(Dragonflight)을 연내 출시한다고 발표하며 디지털 사전구매를 개시했습니다. 게임즈비트는 이번 확장팩이 지난 확장팩이었던 '어둠땅'(Shadowlands)으로 인해 실추된 WoW의 명성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
|
|
스퀘어 에닉스, B2B 클라우드 게미잉 업체
블랙넛에 전략적 투자
일본의 게임 개발사 스퀘어 에닉스가 파리의 클라우드 게이밍 기업 블랙넛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블랙넛은 게임 퍼블리셔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이 파트너 퍼블리셔들의 게임을 PC, 모바일, 스마트 TV, 등의 커넥티드 디바이스에서 크롬이나 사파리 웹앱을 통해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 클라우드 게이밍 플랫폼으로, 현재 500종 이상의 게임을 호스팅하고 있습니다.
|
|
|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No.53(2022년 5·6월호) |
|
|
위클리글로벌 279호 (22년 06월 13일) |
|
|
- 게임·융복합
- [미국] XBOX, 삼성 스마티 TV앱으로 게이밍 서비스 제공 - [미국] 넷플릭스, 2022년 신작 게임 발표 - [유럽] 프랑스 게임 산업, 게임 강대국으로서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인가 - [베트남] ‘이젠 운동하면서 돈 버는 게임이다’, 베트남, P2E 대신 M2E 열풍 - [북경] 2021년 중국 방탈출 게임 시장규모 101억 위안 - [심천] 차이나모바일게임엔터테인먼트, NFT 플랫폼 <요위이수> 출시 - [심천] 콰이칸 IP 그래픽 추천 시스템 도입 - [태국] 태국 게임 산업의 미래 - [인니] 인도 게임 퍼블리셔 ‘모바일 프리어 리그’, 인도네시아 사업 종료 - [러시아]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예고편 및 한국 출시일 확정
|
|
|
- 교육기간: 2022. 9 ~ 2024. 8 (2년 8학기)
- 교육시간: 매주 월~금 10:00~17:00 (전일제 교육)
- 교육장소: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인재원 제 1캠퍼스
판교 제2테크노밸리 LH기업성장센터 1층 게임인재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54)
- 교육내용
- (1년차) 학과별 기초·일반·고급·심화 교육, 게임 개발 미니 프로젝트 진행 - (2년차) 게임 개발 팀 프로젝트 진행
- 모집대상: 게임분야에 열정이 있는 예비 취·창업자 총 65명 내외 ※ 학력, 전공 제한 없음
- 모집학과: 게임기획학과(15명), 게임아트학과(20명), 게임프로그래밍학과(30명)
- 접수기간: 2022년 7월 18일(월) ~ 7월 29일(금) 16:00까지, 2주간
|
|
|
[게임 콘텐츠 신흥시장 오픈포럼] 유럽 현지 전문가의 게임 리뷰쇼
|
|
|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에 따른 파급효과 연구
- 문헌연구 및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 질병코드 도입으로 인한 파급효과 분석(정성적) 요약
- 질병코드 도입으로 인한 파급효과 분석(정량적) 요약
- 질병코드 도입으로 예상되는 법률적 문제점
- 질병코드 도입과 유사한 국내・외 분쟁조정 사례
- 질병코드 도입을 둘러싼 시나리오 분석
- 결론
|
|
|
이 기사의 방향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메일은 이걸 잇츠게임 가입자를 대상으로 전송되었습니다. 본 메일의 구독을 취소하려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