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카메라 및 웹캠 사생활 노출 주의
24년 8월 3주  <VOL 467>
💡 이번 주 PICK
⚡누군가 엿볼 수 있는 IP카메라 및 웹캠
⚡IT대란 후 부상하고 있는 멀티 클라우드
📣 이번 주 채용공고 
❇️ [주식회사 코닉글로리] CERT 담당자 채용 ( ~ 24.08.31.)
❇️ [(주)유넷시스템즈] 정보보안 솔루션 PKI 암호인증 개발자 채용 ( ~ 24.09.13.)
❇️ [에스투더블유] Senior Threat Analyst ( ~ 24.09.30.)
❇️ [에스투더블유] Business Development Manager(사업 개발 매니저) ( ~ 24.09.30.)

새로운 정보보호 구인/직 프로세스!!

정보보호에 특화된 인력들의 매칭플랫폼을 사용해 볼 겸 다들 한 번씩 구경하러 와보세요!

누군가 엿볼 수 이쓴 IP카메라 및 웹캠

IP카메라 및 웹캠 사생활 노출 주의


어린 자녀나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홈캠’ 혹은 ‘펫캠’이라고 불리는 IP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그런데 대부분의 IP카메라 및 웹캠은 보안이 취약하다고 해요. 이점을 노리고 IP카메라나 웹카메라로 촬영된 우리 국민들의 사생활 영상이 유출되어 무단 유포되고 있다고 해요.


자녀나 반려동물 혹은 집 안을 IP카메라나 웹캠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했던 카메라가 오히려 개개인의 프라이버시 위협이 되고 있어요. 게다가 해킹한 IP카메라나 웹캠의 개인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가족관계나 신원을 파악하여 보이스피싱 등의 각종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해요.


우선 아래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집안에 설치한 IP카메라나 웹캠이 해킹 당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요.

  1. IP카메라 혹은 베이비 모니터에서 이상한 소음이 나는 경우
  2. IP카메라나 웹캠이 비정상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3. 보안 설정이 갑자기 변경된 경우
  4. LED불빛이 무작위로 깜빡이는 경우
  5. 데이터흐름이 비정상적인 경우

 

IP카메라나 웹캠의 해킹방지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1. 고급 암호화 기능이 있는 제품으로 구입해요.
  2. 개인의 사생활이 필요한 공간은 피해서 설치해요.
  3. 해당 제품 구매 시 국내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해외 직구 상품 혹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제품은 피해서 구매해요
  4. 제품 구매 후 초기 비밀번호 등의 디폴트 설정값은 변경해요.
  5.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여 보안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진행해요.
  6. 해당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웹캠 스티커 혹은 플라스틱이나 슬라이드로 움직이는 덮개를 사용하여 렌즈를 가려요.
  7. 운영체제 설정에서 웹캠이나 IP카메라에 접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한해요.

 만약 해킹 피해가 의심된다면 바로 컴퓨터를 네트워크와 분리하고 신뢰가능한 보안 프로그램으로 전체 시스템을 스캔하며, 악성 소프트웨어가 발견되는 즉시 제거한 후 비밀번호를 모두 변경해야 해요. 정말 중요한 데이터가 유출된 경우에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관련 기관에 신고해야 해요.

 

정부는 인증규정을 통해 IP카메라를 설치할 때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의무화를 시행했지만 국내 정식 출시 제품만 대상이에요. 하지만 한 대형 인터넷 쇼핑몰에서 팔리는 IP카메라나 웹캠 대부분이 중국산이라서 관리 대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해킹사고가 발생해도 중국이 제조업체라서 보상을 받기가 쉽지 않다고 해요.

 

IP카메라 보안 강화로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안전한 디지털 생활 되시기 바라요!


<관련기사>

 ○ 몰카‘IP카메라해킹 막는다유출 즉시 삭제(2017.12.27.)


IT 대란 후 부상하고 있는 멀티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의 장단점


지난달 발생했던 전세계적인 IT대란으로 항공, 교통, 금융 등의 주요 핵심 인프라가 정지상태가 되는 등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었어요. 이번 일을 계기로 소수 빅테크 클라우드 서비스나 시스템에 의존하는 빅테크 쏠림 현상이 얼마나 위험한 지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어요.

그러면서 시스템 안정성을 위하여 멀티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해요.


멀티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업체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2개 이상 활용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해요. 단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복수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종속되는 락인(Lock-in)현상을 방지하고 시스템이 한 번에 중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해요.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멀티 클라우드의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아요

 

멀티 클라우드 도입 시 장점

유연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시, 특정 클라우드 제공자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어요. 이를 통해 기업은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장애나 정책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고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며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어요.

안전성

여러 클라우드 사용 시 인프라 전체를 뒤엎지 않고 문제되는 클라우드만 해결하면 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돼요.

근접성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다른 업체보다 사용자나 기업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더 가까우면 지연이 더 낮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요. 또한 데이터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여 국가별 데이터 주권 법규를 준수할 수 있어요.

 

멀티 클라우드 도입 시 단점

관리 및 통합의 복잡성이 증가.

여러 클라우드 제공자 사용시, 각 클라우드 플랫폼별 특성과 기술도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관리 운영에 익숙해져야 하며, 다양한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네트워크 대역폭 문제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는 자사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자사 클라우드 내에서 데이터를 이동할 때는 저렴하게 제공하지만, 데이터를 외부로 보낼 때는 높은 요금을 부과한다고 해요. 따라서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간에 대용량 파일을 송수신한다면 많은 비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상호운용성 문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한 클라우드 제공자에서 다른 클라우드 제공자로 이전하는 경우, 호환성이 떨어지거나 통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이전 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및 애플리케이션 통합 서비스 간 상호운용성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해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은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리스크 분산과 보다 유연한 IT 환경을 구축하는데 유용하지만 관리의 복잡성과 비용관리의 어려움도 내재 되어있어요. 효과적인 멀티클라우드 구축을 위해 점진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 같아요.

 

<관련기사>

 ○ 최근 부각되고 있는 멀티 클라우드의 장단점 비교해보니(2024.08.18.)

 ○ 클라우드 마비 사태, 왜 일어나며 어떻게 대처하는가?(2023.08.18.)

 ○ 멀티클라우드가 장애로부터 우리를 지켜줄까(2021.12.15.)


🍀이번 뉴스레터가 여러분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Edited by 사무국 엄지혜
(사)한국침해사고대응팀협의회(CONCERT)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56, 블루타워 7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