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의 인기 아티클

안녕하세요, $%name%$

  

세계 최고의 모터스포츠 대회, 포뮬러원(F1) 경기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현장 관중이 40만 명에 이르고 TV 시청자가 5억 명에 이를 정도로 전 세계 레이싱 매니아들이 환호하는 축제인데요, 2022년 시즌은 이번 주 아부다비에서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있죠. F1에 관심 있으시다면 지난 10년간 F1을 제패한 최강팀이 바로 메르세데스라는 사실도 잘 알고 계실 텐데요

 

이번 HBR에 메르세데스 팀의 리더, 토토 볼프의 리더십을 분석한 아티클이 실렸습니다. 토토 볼프는 F1 역사상 최고의 감독으로 꼽히는데요, 팀을 한 두 번 승리로 이끌 수는 있어도 10년이나 정상의 자리를 지키는 건 쉽지 않은 일이죠.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애니타 엘버스 교수가 볼프 감독과 메르세데스 팀을 근거리에서 밀착 관찰한 내용을 HBR에 기고했습니다.

 

볼프가 이끄는 메르세데스 팀은 인원이 1800명에 달하는데요, 드라이버 뿐 아니라 자동차 및 엔진을 개발/제조하는 엔지니어와 정비사, 그 밖의 지원 인력 등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인력들이 한 팀이 돼 경기에 참여합니다. 볼프 본인이 레이싱 드라이버 출신이긴 하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들을 효과적으로 이끄는 데는 특별한 리더십이 필요했는데요, 메르세데스 팀을 연승으로 이끈 그의 리더십은 스포츠 뿐 아니라 팀을 승리로 이끌고자 하는 리더들이라면 참고할만한 교훈이 많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도 승리에 안주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는 ‘사냥꾼 정신’이 인상적이었습니다. F1은 그 어떤 스포츠보다 미세한 차이로 승패가 갈리는 스포츠죠. 그래서 스릴이 장난 아니죠. 모든 팀이 1000분의 1초라도 빨라지기 위해 경기에 초집중합니다. 여러 번 우승한 메르세데스도 자칫 마음을 놓으면 언제든 경쟁자의 먹이가 돼 뒤쫓기기가 쉬운데요, 그래서 볼프 감독은 우리 팀이 이기면 경쟁자들은 더 노력할 것이라는 점을 늘 의식적으로 구성원들에게 상기시켰다고 합니다. 구성원들로 하여금 각자 본인의 맞수를 경쟁팀에서 찾아내 그들을 이기는 데 전념하게 할 정도로 사냥꾼 정신을 강조했다고 하는데요, 이런 개개인의 승리에 대한 집착과 강한 목표 의식 덕분에 메르세데스 팀은 오늘날 스포츠 역사상 최강 팀이 될 수 있었습니다.

 

메르세데스 팀과 토토 볼프 감독은 워낙 유명하지만, 그의 리더십을 이렇게 심층적으로 분석한 글을 없었던 것 같은데요, 꼭 읽어보시고 F1 레이싱의 짜릿한 승리 문화를 간접적으로 느껴보시면 좋겠습니다.

 

💌HBR Korea 배미정 드림

에디터 추천 아티클

메르세데스 팀의 리더, 토토 볼프에게서 배우는 리더십

 

 1. 볼프 감독은 스스로도 인정하는 깐깐한 사람으로, 아주 작은 디테일까지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그가 영국 브래클리에 위치한 메르세데스 팀 공장을 처음 방문했을 때 있었던 일이다. 그는 로비로 걸어가 자리에 앉은 뒤 당시 팀의 감독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로비의 테이블 위에는 일주일 전에 발간된 데일리 메일 신문이 구겨져 있었고 오래된 종이컵 2개가 놓여 있었죠. 저는 팀 감독을 만나려고 사무실로 올라갔고 대화를 마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어서 함께 일할 수 있었으면 좋겠군요. 그런데 한 가지만 말씀드릴게요. 리셉션 구역이 F1에 걸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우승을 하려면 여기부터 손봐야 합니다.’ 그러자 감독이 ‘우승하려면 엔지니어링을 잘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아니요, 중요한 것은 태도입니다. 작은 것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모든 게 시작되니까요.’”


 2. 탁월한 성적을 냈다는 것이 실수를 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 어떤 일이 실패로 돌아가면 볼프는 스스로 ‘엄격한 사랑’ 또는 ‘잔인한 정직’이라고 부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볼프의 직설화법 덕분에 결과와 상관없이 레이싱 성적을 철저하게 분석하는 조직문화가 형성됐다. 승패와 무관하게 팀은 여느 때처럼 결과 보고 회의를 열고 다음 경기에 개선해야 할 점을 중점에 두고 회의를 진행한다. “사람들은 이기면 대부분 집에 돌아가서 ‘위크엔드를 잘 보냈다’고 하지 ‘우리가 왜 이겼을까?’라고 하지 않죠. 깊은 생각이 시작되는 건 대부분 졌을 때입니다. 하지만 저희는 작은 실수에도 고민하는 습관이 있어서 승리도 패배와 똑같이 취급합니다.


👉 포뮬러원의 넘버원 - HBR 2022년 11-12월호

동료와 지인들에게 뉴스레터 구독 링크를 전달해주세요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79846
소개된 기사는 발행 후 1주일 후 유료회원 공개로 전환됩니다

독자의견 soya1116@donga.com
구독문의 help@hbrkorea.com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3가 동아일보 충정로 사옥 16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