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HOT : 인젠트, 창립 25주년 맞아 ‘솔루션데이 2025’ 개최
- IT Player's Pick : 디지털 협업을 위한 새로운 전략: ECM과 CSC의 통합
- IT 주간 인기 뉴스 : 국가망보안체계(N2SF) 실증 사업에 45억원 투입! 과연 시장 변화는?
- 실시간 추천 세션 : 고객 민감 데이터 유출 걱정인 회사에게 필요한 신경안정제💊
- 인디's 히든 트랙 : 💿<CTRL U> AWS x dingo
- 월간 인젠트 컬렉션 : <취준 선배 인프로의 포트폴리오 제작 꿀팁 대방출> <보이지 않는 장애물, 데이터 사일로!> <완벽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변환, INZNET infoSeer-Trans> <클라우드와 오픈소스에서 찾은 홈쇼핑의 미래>
|
|
|
안녕하세요! 인젠트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IT 전문 DJ, 인디입니다. 저는 팀 내 가장 소비욕이 없기로 유명한데요. 그런 제가 소비로 팀원들을 놀라게 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 어떤 패밀리 세일에도 심드렁하던 제가 5통이나 구매한 것이 바로 '흑하랑 상추시럽'이었어요. 불면증에 좋다고 추천받은 게 계기가 되었죠.
상추시럽을 꾸준히 먹던 어느 날, 깜빡하고 먼저 양치를 해 버린 거예요. 살짝 귀찮아진 저는 '상추시럽 안 먹는다고 못 잘쏘냐!' 하고 그냥 누워버렸습니다. 그런데... 정말 잠이 오지 않더군요. 일주일 조금 넘게 먹었을 뿐인데 의존성이 생긴 걸까요? 10시에 누워서 뒤척이다 새벽 1시에 다시 일어나 상추시럽을 먹었지만, 타이밍을 놓쳐서인지 결국 새벽 3시가 넘어서야 잘 수 있었습니다.
다음 날, 피로 탓에 묵직해진 두통과 함께 일어났더니 이제 상추시럽 없이는 잘 수 없는 사람이 된 것 같아 괜히 울적한 마음😥이 들더군요. 여러분은 지난밤 잘 주무셨나요? 혹 숙면 꿀팁이 있다면 공유해 주시길 바라면서 잠이 확 깨는 소식⚡들로 채운 뉴스레터 6월호는 지금 시작할게요! |
|
|
📌 NEW&HOT
인젠트, 창립 25주년 맞아 ‘솔루션데이 2025’ 개최
|
|
|
인젠트가 바로 오늘! 더플라자 호텔 서울 다이아몬드홀에서 솔루션데이(Solution Day) 2025를 개최해요. 이번 행사를 통해 인젠트는 25년간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직면한 DBMS 전환, AI 도입, 시스템 연계 등 핵심 과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예정이에요. 이외에도 현장에서만 참여할 수 있는 오픈소스 DBMS 컨설팅 프로모션과 문서중앙화 시연 부스 등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 창구를 마련해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 IT Player's Pick
디지털 협업을 위한 새로운 전략: ECM과 CSC의 통합
|
|
|
많은 기업이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대량 콘텐츠 관리)을 통해 문서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버전과 접근 권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죠. 하지만 실무자가 해당 문서를 편집하거나 외부와 협업하려고 할 때는 별도의 공유 플랫폼이나 이메일, 외부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인데요. 이는 문서의 이중화, 정보의 일관성 손실, 보안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ECM과 CSC(Content Sharing and Collaboration, 콘텐츠 공유 및 협업)이 통합이 주목받고 있어요. 이 둘을 통합했을 때 어떤 기대효과가 있을지, 또 둘을 어떤 아키텍처로 통합할 수 있을지 아래 기고문을 통해 소개해 드려요.
|
|
|
📌 IT 주간 인기 뉴스
국가망보안체계(N2SF) 실증 사업에 45억원 투입! 과연 시장 변화는?
지난 24년 9월 레터에서 소개했던 MLS(Multi-Layer Security, 다층보안체계)를 기억하시나요?! 국정원이 발표한 새로운 공공망 분리 정책 개선안으로 일률적인 공공망 분리 제도가 아닌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망 분리 등급을 차등화하는 정책이었는데요.
그런데 MLS가 과거 미국 국방부의 보안용어와 혼동될 뿐만 아니라,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워 누구나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N2SF(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 국가망보안체계)로 지난 1월 그 명칭이 변경되었어요.
핵심 개념은 동일한데요. 정부 전산망을 업무 중요도에 따라 기밀(Classfied)·민감(Sensitive)·공개(Open) 3개 등급으로 분류하는 거예요. 이로써 보안 통제 항목을 차등적으로 적용해 보안성과 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동시에 충족하는 것이 목표이죠. |
|
|
지난 1월 N2SF 가이드라인 초안이 배포된 후, 지난 4월 ‘제31회 정보통신망 정보보호 컨퍼런스(NetSec-KR) 2025’에서 관련 세션이 있었는데요. 이날 발표를 맡은 국정원 사이버안보담당관은 기업의 N2SF 대비 방안에 대해 기관이 운영하는 시스템과 정보를 확인하고, 보안 등급을 분류하며, 위협을 식별하고 적절한 통제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어요.
올 7월 N2SF 보안가이드 정식 배포를 앞두고 공공 분야에 N2SF를 적용하기 위한 실증 사업이 추진되는데요.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N2SF 시범 실증에 대한 사업을 공고했어요.
이번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45억원으로, 공공 분야 전반에 N2SF를 적용하기에 앞서, 보안 및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추진되었어요. 업계에서는 이번 실증이 공공 분야 N2SF 전환에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는데요.
▲'디지털플랫폼정부(DPG) 통합 플랫폼 대상 국가망보안체계 시범 실증'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대상 국가망보안체계 시범 실증' ▲'국가·공공기관 대상 국가망보안체계 시범 실증' 등 3건이 동시 추진되는 이번 사업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라요! |
|
|
💜 실시간 추천 세션
고객 민감 데이터 유출 걱정인 회사에게 필요한 신경안정제💊 |
|
|
지난 레터에서 소개해 드렸던 인젠트x잇츠맨의 테스트 데이터 보안 전략 웨비나가 5월 29일 성료되었어요. 인젠트는 본 웨비나를 통해 인젠트의 테스트 데이터 보안 솔루션인 infoSeer-Trans(인포시어-트랜스)가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지, 그리고 그 전환 과정을 어떻게 자동화할 수 있는지 상세히 소개해 드렸답니다! |
|
|
혹시 웨비나를 놓쳐서 아쉬우신 분들이 계신다면 위 링크와 아래 버튼을 통해 다시 시청하실 수 있어요. 그리고 '더보기'란을 클릭하시면 인젠트가 준비한 다시보기 이벤트도 있다는 사실! 해당 링크를 통해 설문조사를 제출해 주시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기프티콘을 드릴 예정이니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 인디's 히든 트랙
<CTRL U> AWS x dingo |
|
|
AWS Summit Seoul 2025에서 새로운 음원이 공개되었어요. IT 행사에서 음원 공개라니 생소하기도 하지만, 이 곡은 AI(Amazon SageMaker)가 작곡했다고 해요. 딩고 뮤직과의 콜라보 프로젝트로 선정된 가수 예소님과 Amazon Nova를 활용해 제작된 뮤직비디오까지! 과연 AI가 만든 K-POP은 어떤지 한 번 들어볼까요?!🎶 |
|
|
인사담당자가 알려드림 #25
취준 선배 인프로의
포트폴리오 제작 꿀팁 대방출 |
INZENT IT Lab #15
보이지 않는 장애물, 데이터 사일로!
해답은 연계에 있다? |
|
|
완벽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변환, INZNET infoSeer-Trans
테스트 데이터 변환 솔루션,
infoSeer-Trans를 소개합니다. |
클라우드와 오픈소스에서
찾은 홈쇼핑의 미래
현대홈쇼핑의 오픈소스 DBMS
도입 사례를 공유합니다. |
|
|
이번 플레이리스트는 어떠셨나요? 곧 장마가 시작된다고 하니 모두 외출 전 일기예보를 잘 확인하시고 건강 유의하시길 바라요! 오늘도 IT Player, it's INZENT!
|
|
|
인젠트marketing@inzent.com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36, 유화증권빌딩 8-9층 1668.1261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