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생산성 근육을 키워주는 당근메일
당근메일 #216 | 2025년 1월 20일 - WEEK 4
100점이 아닌 '78점 + 피드백'으로 성장하기
진대연

농구를 할 때 슛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올바른 자세와 정확한 힘과 방향으로 슛을 쏘는 것입니다. 그런데 혹시 슛 실패가 두려워서 던지기를 망설인적이 있지 않으신가요? 혹은 시도하기 전에 아직도 머릿속에 ‘왼손은 거들뿐’이라는 생각만 반복하고 슛쏘기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적이 있진 않나요?


우리는 실행을 주저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어쩌면 시험 보는 학생 시절에 너무 길들여져 있어서일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늘 100점을 목표로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시험 볼 때는 그 누구의 도움도 얻지 않은 상태로, 혼자만의 능력으로 결과를 내야 하죠. 그러다 보니 우리는 자연스럽게 “완벽하지 않으면 내놓지 말아야 한다”라는 강박이 생겼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실행하기 전에 너무 많은 생각을 하곤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완벽주의’라고 부르고, 때로는 어린 연차에서 흔히 발생한다고 하여 ‘주니어 병’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런 완벽주의는 성과를 높이기는커녕 실행의 속도를 늦추고, 피드백을 받을 기회를 차단하며, 성장의 가능성마저 없애버리게 됩니다. 슛은 직접 쏴보기 전까지는 절대로 그 감을 알 수 없으니까요.


78:22의 법칙


지구에서 바다와 육지 면적의 비율은 78:22라고 합니다.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 비율 역시 78:22입니다. 사람의 몸과 수분의 비율 역시 78:22라고 하는데요. 참 신기한 비율입니다. 저는 이것을 “그럼 우리는 언제 실행하면 좋을까”에 대한 기준으로 삼아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하려고 하는 일에 78% 정도 준비되었다면 이제는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시도해 볼 때라는 뜻이죠.


“그렇다면, 내 작업물이 78%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래서 각각의 상황에서의 78%를 가늠할 수 있는 질문들을 만들어보았습니다.

1. 글쓰기에서의 78%

  • 핵심 메시지가 충실히 전달되고 있다.
  • 메시지를 보조하는 논리적 근거와 예시가 적절히 포함되었다.
  • 글이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맞춤법과 오탈자 검토 포함)

2. 제품 개발에서의 78%

  • 주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예상 시나리오대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3. 발표 준비에서의 78%

  • 청중에게 전달하려는 주요 메시지가 명확하다.
  • 발표 자료의 시각적 요소와 내용이 적절히 정리되었다.
  • 1~2회 리허설을 통해 흐름을 점검했다.

4. 마케팅 캠페인에서의 78%

  • 캠페인의 핵심 메시지와 타깃이 명확하다.
  • 실행 채널과 콘텐츠가 준비되었다.
  • 데이터 추적 도구로 초기 성과를 측정할 준비가 되었다.

이러한 기준을 요약하면,


✅ 핵심 메시지: 전달하려는 핵심 메시지가 명확하게 정리되었다.

✅ 적당히 꾸미기: 메시지를 보조하는 추가 요소가 정리되었다.

✅ 피드백 장치 마련: 초기 실행을 통해 피드백을 받을 준비가 되었다.


이 세 가지가 핵심입니다. 특히나 여기서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이 두 번째, ‘적당히 꾸미기’ 단계인데요, 꾸미기는 제한 시간을 두고 그때까지만 일단 진행하는 것으로 하면 무한이 늘어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뽀모도로 타이머를 이용하여 적당한 시간을 제한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완벽이 아니라 빠른 시도와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지막 단계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야 다음의 시도 때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슛을 쏴야 골이 들어간다.

선수 생활을 하며 경기장에서 9000개 이상의 슛을 실패했고,

약 300경기에서 패배했으며, 26번 승부를 결정짓는 슛을 실패했다.

계속 실패하고 실패했다. 그리고 이것이 내 성공의 이유다.

– 마이클 조던


우리는 마이클 조던의 성공한 골만 기억합니다. 하지만 그는 그 누구보다 많은 실패를 했습니다. 그렇지만 실패를 반복하더라도 시도했기에 우리는 그중 성공한 순간들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다행히도 좋은 순간을 더 오래 기억합니다.)


아직도 실패할 것이 두려워서 시작도 못하고 있나요? 혹은 다른 사람과의 피드백이 두려워 망설이고 있나요? 처음부터 완벽한 사람은 절대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더 나은 결과를 위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신 우리는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이 시도해볼 수는 있죠.


그러니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실행하고, 실패해 봅시다.

더 나은 다음 결과물을 위해...

  • 🏀 슛을 쏴야 골이 들어간다: 완벽주의를 버리고 78% 준비가 되었다면 바로 실행해야 한다.
  • 🔑 핵심 메시지·꾸미기·피드백 체계를 갖춘 뒤 빠르게 시도하고 개선해야 한다.
  •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반복적으로 시도해야 진정한 성장과 성과에 도달할 수 있다.

이번 주 당근메일 내용이 마음에 드셨나요? 함께 보면 좋은 친구나 동료에게 공유해주세요!

당근메일 필진에게
커피 한 잔 어때요? 

당근메일의 후원 사이트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주중 바쁜 일상을 마치고 주말 피곤한 마음을 누르며 글을 쓰는 당근메일 운영진들을 위해 커피 한 잔 어떠세요? 구독자 여러분의 커피 한 잔, 두 잔의 따뜻한 후원 덕분에 지속적으로 생산성 팁과 도구를 소개할 수 있답니다. 아래 'Buy Me a Coffee' 링크를 통해 당근메일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함께 만들어 주세요!

💡 문제를 해결하고 즐거움을 얻어가는 곳

당근메일 커뮤니티에서 생산성에 관심있는 당근메일 구독자 분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세요. 
당근메일 오픈카톡방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생산성 도구와 방법에 대한 문제를 나누고 해결하세요. (입장 비밀번호: eatfrogs)
오늘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이 매주 당근메일이 발행되는 큰 힘이 됩니다. 좋았던 점이나 아쉬웠던 점을 최대한 솔직하게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 나은 당근메일을 만들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