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의 열한번째 이슈페이퍼를 전합니다. 나영정 기획운영위원은 여성가족부의 성교육 책 회수를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을 짚어보았습니다. ‘조기성애화’ 개념이 공격하는 것이 무엇인지, 포괄적 성교육이 왜 필요한지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나영 대표는 지난 해 윤정원 기획운영위원과 함께 토론토와 벤쿠버의 연구자와 의료인, 활동가를 만나 진행한 인터뷰와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캐나다의 임신중지 제도를 살펴보았습니다. 캐나다 사례를 통해 보는 임신중지 비범죄화 2편에서는 캐나다의 의료보장 체계와 원칙, 유산유도제 도입 1년 만에 불필요한 규제 절차를 모두 폐지하기까지의 과정, 당사자의 동의를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하는 상담과 정보 제공 과정 등을 다룹니다.
김정혜 연구위원은 셰어가 준비하고 있는「성∙재생산 권리 보장 기본법」(안)에 관한 글을 썼습니다. 이 글에서는 왜 ‘모성보호’를 중심으로 한 법과 정책이 아니라 「성∙재생산 권리 보장 기본법」(안)이 필요한지 이야기합니다.
「성∙재생산 권리 보장 기본법」(안) 은 모든 사람의 성∙재생산 권리와 건강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하여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담 코너 "무엇이든 물어보셰어" 9월 상담 사례를 소개해드립니다. 보다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성과 재생산 건강에 관련한 질문들을 받고 관련 상담 내용을 소개하는 칼럼 형태의 코너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트랜지션에 대한 상담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성건강, 성관계, 피임, 임신, 임신중지, 성별 확정 케어(성전환, 트랜지션 등) 등 궁금하거나 고민되는 내용을 편하게 물어보시면 셰어의 기획운영위원인 최예훈, 윤정원 산부인과 전문의가 답변을 보내드립니다. 상담 내용 중 매월 하나의 상담 사례는 보내주신 분의 동의를 얻어 셰어의 이슈페이퍼를 통해 공유할 예정입니다.
그럼, 이번 호도 재밌게 읽어주시고, 함께 나누고 싶은 사람들과 널리 공유해 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