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은행이 파산하면서 스테이블코인 USDC도 1달러선이 붕괴되었어 실리콘밸리 은행 붕괴로 시장은 곡소리중 ㅠㅠ
실리콘밸리 은행이 파산하면서 스테이블코인 USDC도 1달러선이 붕괴되었어 |
|
|
ㅣ 실리콘밸리은행이 어떤 곳이었냐면
실리콘밸리은행이라는 이름 그대로 실리콘밸리에 많이 있는 스타트업과 IT 기업을 주 고객으로 상대하는 은행이야. 지난 수년 동안 초저금리를 발판으로 IT 업계가 호황이었고 이 은행도 크게 성장했지. 특히 코로나 기간에 정부의 지원을 받기도 했고 시장에 돈이 풀리면서 가파르게 성장했어.
|
|
|
ㅣ 왜 파산했나?
국채는 기본적으로 만기까지 보유하면 손실이 없는 상품이야. 실리콘밸리 은행은 미국채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금리의 상승으로 과거에 발행했던 국채의 가격이 떨어졌어. 유동성이 부족했던 실리콘밸리은행은 울며 겨자먹기로 미국 시장에 국채를 매각했지. 이로 인해 약 18억달러의 손실을 보게 됐어.
실리콘밸리은행이 채권을 팔았다는 소식은 삽시간에 퍼졌고, 은행에 돈을 넣었던 많은 사람들이 자금을 인출하면서 뱅크런이 시작되었어. 그 결과 하루만에 실리콘밸리은행은 파산하게 됐지.
|
|
|
ㅣ 코인 시장으로 뻗친 후폭풍: USDC의 1달러선 붕괴
USDC 발행사인 서클(Circle)은 실리콘밸리은행에 33억달러의 현금예금이 남아 있다고 밝혔어.이 금액은 서클의 스테이블코인 USDC를 지원하는 총 적립금의 약 8%에 해당해.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가치를 연동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담보물을 가지고 있어. USDC를 발행하는 서클은 이중 일부를 실리콘밸리 은행에 예치했고, 은행이 파산하면서 그에 따른 영향을 받고있지.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인 난센에 따르면, 금요일 오전 USDC에 약 10억달러의 순매도가 일어났어.
0.8달러 까지 떨어졌던 USDC는 손실규모를 회복할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0.95달러까지 회복한 상태야
|
|
|
ㅣ 여기서 끝날까?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부적절한 유동성과 지급 불능을 이유로” 실리콘밸리 은행 관리권을 인수했다고 밝혔어. FDIC는 계좌당 25만 달러까지 예금자 보호를 해주는데, 한도액을 초과하는 자금까지 보장해줄 수 있는지가 주목을 받고 있어.
서클은 만약 실리콘밸리은행에 넣어뒀던 33억달러의 현금준비금을 다 받을 수 없게 된다면, USDC가 1달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산의 부족분을 자산 매각을 통해 채울 거라고 밝혔어
곳곳에서 실리콘밸리에 예금이 예치되어있다고 공시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야. 파생된 위험들이 나타날수 있으니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겠어!
|
|
|
ㅣ 저스틴 선 "후오비 문제 없어...HT 급락은 소수 이용자 강제청산 때문"
저스틴 선 트론(TRX)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후오비 글로벌 거래소와 월렛, 백엔도 모두 안전하다. 최근 발생한 변동성 및 레버리지 청산은 소수 이용자가 현물 및 HT 컨트랙트 시장에서 강제청산하면서 촉발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새벽 HT 가격은 1시간 동안 75% 폭락했었다. 코인마켓캡 기준 HT는 전날 대비 18.83% 하락한 3.92달러를 기록 중이다. (기사 원문 링크)
→ 후오비의 거래소 코인인 HT가 90% 가까이 급락하는 사건이 있었어, FTX와는 구조가 다르다고는 하지만 후오비 거래소에서의 거래는 조심할 필요가 있어보여!
|
|
|
ㅣ 크립토퀀트 대표, USDC 24시간 소각량 큰 금액 아냐…테라 붕괴와는 다르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서클은 지난 24시간 23.4억 USDC를 소각했는데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는 큰 금액이 아니다. 이번 USDC 사태는 UST 붕괴와는 전혀 다른 케이스다. 작년 5월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는 거래소로 BTC를 이체하고 LUNA를 무한 발행해 UST 페그를 복원했다. 반면 USDC 대주주는 거래소에 입금하지 않았으며 USDC 공급량의 83%는 거래소에 보관돼 있지 않다. USDC는 미국 전통 금융기관이 지원하는 유일한 스테이블코인이다. 만약 서클이 실패하면 미 금융기관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글로벌 금융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데 방해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 원문 링크)
→ USDC의 데이터를 봤을때 루나 사태와는 케이스가 다르고 충분히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어!
|
|
|
📈주요 코인 가격 동향 2023.3.12 10pm 기준
|
|
|
비트코인BTC 27,128,959원
지난주대비 ▼ 8.69%
한달간 ▼ 5.61%
이더리움ETH 1,941,239원
지난주대비 ▼ 6.68%
한달간 ▼ 4.36%
테더USDT 1,330원
지난주대비 ▲ 0.44%
한달간 ▲ 0.75%
|
바이낸스 코인BNB 365,9881원
지난주대비 ▼ 5.28%
한달간 ▼ 9.33%
USD CoinUSDC 1,263원
지난주대비 ▼ 4.62%
한달간 ▼ 4.30%
리플XRP 476원
지난주대비 ▼ 3.33%
한달간 ▼ 5.90%
출처: CoinMarketCap |
|
|
레터가 메일함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면?
1. 먼저 스팸함을 확인해주세요! 2. 스팸함에서도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스마트메일함'을 확인해주세요.
|
|
|
|
젠비
* 본 메일은 발신전용 메일이므로 회신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