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육성에 고민이신 팀장님들을 위한 🍯 Tip 안녕하세요? PSI컨설팅입니다! 😄 지난 2회 동안 커리어 피봇팅(지난레터 보러가기)에 대해 짧게 설명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팀장님 또는 시니어(책임, 수석직급)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팀원이시라면 팀장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의 관점에서 읽어보세요!) 구독자 님은 지금 조직에서 어떤 위치에 계신가요? 만약 조직에서 팀원과 함께 업무를 하는 팀장님이시라면 오늘 내용에 충분히 공감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팀장님들의 많은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직원육성 이실텐데요.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Tip) 오늘 내용은 신입직원의 업무 과정 중 육성 방법 또는 저성과자인 팀원을 위한 확장된 코칭 형태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 바쁜 우리 구독자님을 위한 1분만에 살펴보기 👀 실질적 도움주기(Help) | 팀원의 업무 능력 개발을 위해 '기본적인 코칭을 포함하여 실질적 도움'을 주는 리더십을 발휘하라 팀장의 팀원 지원 및 지지 활동 | 도움주기 vs 코칭 💬 혹시 우리 팀원도 ? 팀장은 팀원이 지시에 🙋(넵!)대답은 잘하면서 자료 작성 기한이 되어도 자료작성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를 종종 경험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팀장은 업무 실력이 부족한 팀원에게 🗣몇 차례 주의를 주기도 하고 대화를 해보았지만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 한번 쯤 있지 않았나요? 많은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 코칭 대화를 하면 좋아진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팀원은 자신의 기준에 맞추어 최대한 업무를 잘해보려고 하는데 그 산출물이 상사의 기대치나 납기에
못 미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위에 사례에서 보듯이 이슈가 생겼을 때, 리더는 코칭 대화에 국한하여 해결책을 찾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내가 만약 업무 실력이 부족한 팀원과 함께 일하는 팀장이라면? 다음과 같이 업무 성과가 저조한 사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례 1] 마케팅부서에서 시장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김대리 성과가 저조하다. 분기마다 시행하는 ‘시장 분석 및 영업 기회 포착’ 보고서 내용이 항상 납기보다 지연⏰이 되고 내용의 품질도 높지 않다. 팀장은 어떻게 할 것인가? 👉 코칭 형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보다 📄기대하는 보고서 샘플과
👍Best Practice를 알려주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사례
2] 기획부서에
근무하는
홍대리가 📊통계
지식과
Excel
역량이
미흡하다. 홍대리
전임자인
박대리는
소위
회사내
기획통으로
기획능력,
통계지식, 엑셀
능력에
탁월한데
그에
비하면
턱없이
미흡하다.
그래서
박대리가 하루에 끝낼
일을
3일
씩
걸린다.
팀장은
어떻게
할
것인가?
👉 이 경우에도 코칭 대화로 해결하기 보다는 정리된 엑셀 함수식을 알려주는 것이
생산적일 수 있습니다. 위의
2개
사례에서 코칭이
필요한가
아니면 '다른 도움'이
필요한가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성과가 저조한 팀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대화방식의 코칭의 영역을 넓혀서 ‘실질적
도움주기’를 생각하는 리더의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팀장은 팀원의 전진(progress)에
실질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팀원은 작은 성공 경험들이 누적(전진
경험)되어 실력과 동기부여 수준이 제고될 수 있습니다. 🤝 실질적인 도움을 주라(Help) 팀장은 팀원의 업무 능력 향상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리더십 활동을 하여야 합니다. 이미 충분히 강조되고 있는 코칭뿐만 아니라 실무 수행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가시적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합니다.
실질적인 도움은 '팀원은 주어진 상황과 조건에서 충분히 열심히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팀장의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할 때' 유효합니다.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팀장의 코칭은 직원의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직원 유지, 성과 개선, 조직 내 네트워크 구축 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관점에서 팀원의 성과가 저조하다면 아래 표에 있는 여러 활동을 조합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팀원의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지지하는 '협의의 코칭' 개념을 넘어 팀원의 성과가 낮은 내/외부
원인을 규명하여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다양한 솔루션을 생각해보고 팀원과 대화하면서 팀원이 기대하는 '광의의 도움'을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요? (만약 구독자 님이 팀원이시라면? 👉 팀장에게 24개의 팀장 지원/지지 활동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도움 활동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묶어 ‘지금 필요한 팀장의 도움 set’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팀장 리더십이 막막하시다면? 👇👇👇 오늘 <피에스👀레터>가 전해드린 HR소식, 어떠셨나요? 🙇 구독자님의 소중한 의견을 통해 성장하겠습니다. 🙇♀ 본 메일은 PSI컨설팅 온라인 회원 및 이메일 수신에 동의해 주신 분들께 전달해 드리는 뉴스레터입니다. 메일에 관한 문의 사항은 PSI컨설팅 marketing@psi.co.kr 로 메일 주시면 신속히 답변 드리겠습니다.(04781)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 51 한라시그마밸리 1차 9층 PSI컨설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