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뭉갠 ‘대장동 비자금’ 38억의 행방은?🤨
위의 ‘천화동인 1호 실소유주’ 논란과 별개로 검찰이 수사 중인 의혹이 또 있어요. 바로 유동규, 남욱 등 대장동 업자들이 2014년 불법 비자금 약 42억 원을 조성했고, 그 돈을 대장동 사업 관련 로비 등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입니다.
즉 이 돈의 전체적인 행방을 추적하면, 대장동 사업과 관련된 비리의 전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현재 검찰은 유독 이 비자금 42억원 중 4억 원의 행방에만 집중하고 있어요. 왜일까요?🤔
검찰은 대장동 업자들의 비자금 42억 원 중 약 4억 원이 정진상 실장을 거쳐, 2014년 이재명 성남시장 재선 자금으로 쓰였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이 의혹 역시 아직까지는 유동규 씨의 진술 이외에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요. 그럼에도 검찰은 정진상 실장의 압수수색 영장에 이 선거자금 의혹을 적시하면서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38억 원은 어디로 사라진걸까요? 뉴스타파 취재 결과, 나머지 38억 원의 비자금 중 일부가 박영수 전 특검 측으로 흘러간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2015년 박영수 전 특검은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선거에 출마했는데, 이 때 남욱 변호사가 비자금 약 1억 5천만 원을 써서 박영수 전 특검을 도왔다고 진술한 것이죠.
공교롭게도 2015년 당시 남욱 변호사는 횡령과 변호사법 위반 범죄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이후 남욱 변호사의 횡령 혐의를 빼고 재판에 넘겼고, 1심 재판에서도 무죄가 나와 결국 법적 처벌을 피할 수 있었어요.🤔
이렇듯 대장동 업자들이 조성한 비자금은 그 성격상 비리·특혜가 의심되는 곳에 쓰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검찰은 '이재명 선거자금'으로 의심되는 4억 원 이외의 비자금 사용처와 위법 여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어요.
처음에도 말씀드렸듯이 범죄 혐의가 있다면 누구든지 성역 없이 수사해야 하는 것이 검찰의 의무입니다. 하지만 최근 검찰의 수사는 특정 인물의 범죄 여부를 밝히는 것에 집중한 나머지 대장동 사건의 전체적인 전말을 규명하는 것에는 다소 소홀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대장동 사건은 우리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가져온 사건입니다. 사건 자체가 워낙 복잡하고 많은 사람들이 연루되어 있기도 하지만, 검찰·공무원·언론 등 인맥을 가진 사람들이 비리를 저지르면 평범한 사람은 꿈도 꿀 수 없는 돈을 끌어모을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사건이기도 하죠.😰
앞으로 대장동 사건과 같은 대규모 비리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수사가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요. 뉴스타파는 앞으로도 대장동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