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키우는 돈키레터 | 2023년 3월 27일 월요일 |
|
|
📌 효라칼럼
✔️ 꼭 봐야 할 3월 마지막 주 증시 일정 나왔습니다!
👉 안정적이면서 적당히 많은 수익을 내는 일정매매 하러 가실까요? |
|
|
📌 재개발 재건축 여기 어때?
✔️ 통 크신 바니이모님 이번주는 휘경자이디센시아 완결편과 둔촌주공 2개의 글이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
|
|
📌 Art + Price
✔️ 아트바젤 홍콩의 이모저모를 통해 홍콩 미술 시장을 좀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요! |
|
|
📸 Eric Rothermel | Unsplash |
|
|
지난주에는 미국의 FOMC가 가장 큰 이벤트였는데 미국의 금리는 시장의 예상대로 0.25% 상승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로써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22년만에 최대인 1.5%P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미국은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고 있어서 앞으로 양국의 금리차는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제 미국의 금리 인상도 거의 다 온거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제 미국의 금리 이슈는 시장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다른 이슈가 있어도 미국 금리가 워낙 중요한 이슈라 그것에 따라서만 시장이 흔들렸기 때문에 잡다한 다른 이슈에 대해서 신경쓰지 않아도 됐지만 이제는 미국 금리 말고 다른 이슈에도 관심을 기울여야겠습니다.
그렇다면 3월 마지막주 주목해야 할 증시 일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
|
.
.
그렇다면 3월 마지막주 주목할 증시 일정이 담긴 효라클의 비밀노트를 보러 가실까요? |
|
|
📈 효라클
주식을 잘하는 사람이 어떤 사고의 과정을 거쳐서 종목을 고르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효라클]과 [투자고수의 비밀노트]를 구독해 보세요. 하나씩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몰라보게 발전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에요. 시장분석부터 각종 공시해석, 차트기술 등 주식을 대하는 자세를 처음부터 배워나갈 수 있답니다. |
|
|
계약금 10%로 부담 확 줄인 휘경자이디센시아, 완판 가능!! |
|
|
안녕하세요~ 투자고수 여러분!!
계약금 10%로 부담을 화아악 줄인 휘경자이디센시아가 드디어 완판을 노리고 입주자 모집공고를 공개했습니다
3주나 미뤄진 휘경자이디센시아 (그 사이 애가 탄 바니이모!!) 함께 빠르게 훑어 봅니다!
동대문구에 위치한 휘경자이 보석을 찾아보세요 |
|
|
토탈 1만 4천세대의 이문휘경 뉴타운 안 휘경자이 디센시아! |
|
|
공급 규모 1806세대
(조합 667세대, 임대 433세대, 보류 6세대 포함)
일반분양 700세대
특별공급 371세대
청약일정
4월 3일 특별공급
4월 4일 1순위 시작
4월 5일 2순위
4월11일 당첨자 발표
4월 23~25일 계약
주택형
39타입 /59A / 59B / 59C / 59D / 84A / 84B
납부일정
계약금 10% / 중도금 60% / 잔금 30%
->> 보통 서울 청약은 계약금이 20% 인데 계약금 10% 로 줄여 부담을 확 줄였습니다!
이건 뭘 의미하죠? 흥행을 노린다! 1순위 완판 가능!!
계약금 10% 계약시 중도금 60% 6회 납부
1회 23년 7월 10일
2회 23년 10월 10일
3회 24년 1월 10일
4회 24년 4월 11일
5회 24년 8월 12일
6회 24년 12월 10일
잔금 입주 지정일
일반공급 신청 자격
입주자모집공고일 3월 24일 현재 서울시 거주, 경기도 인천 광역시 거주하는 19세 이상인자 또는 세대주인 미성년자
당첨자 발표 23년 4월 11일
계약일 23년 4월 23~25일 | 계약일에 계약금 10% 지참 |
|
|
39타입 : 4억대
3억 5천 5백~4억 1천 300
59타입 : 7억 대
6억 4천9백~ 7억 6천 800
84타입 : 9억대
기준 8억 3천~ 9억 6천 입니다! 예상한 대로 분양가는 책정되었죠!!
부대비용
발코니 옵션 중도금 대출 이자 취등록세 포함 약 5000만원 추가 |
|
|
84타입 가장 좋은 놈을 분양받게 되면 분양가 9억 6천에 부대비용 (발코니, 이자, 취등록세 옵션등) 5천을 추가하여 10억이 필요 |
|
|
10억으로 이문휘경뉴타운의 쌔삥 아파트를 보유하게 되는데 안전마진은 SK 뷰와 비교 |
|
|
59타입
매매 8.5억 / 전세 4.5
84타입 : 9억대
매매 9.5-10 / 전세 6 |
|
|
휘경SK뷰 현재 시세와 거의 같은 가격으로 분양 됩니다
비슷한 시기에 입주하는 장위자이레디언트와 리버센SK뷰와 비교해도 휘경자이가 더 상급지인데 분양가는 조금 더 저렴하네요
고로 휘경자이는 이번 분양에서 1순위 완판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둔촌주공처럼 줍줍은 나오지 않을 수도... |
|
|
700세대 일반 분양! 10억대 서울 신축 놓치지 마세요!! |
|
|
둔촌주공 줍줍에 당첨된 김철수끼의 3가지 선택지!! 서울 아파트 줍줍 당첨 후
자금 솔루션은?? |
|
|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며 현재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김철수 씨
서울 입성하고 싶지만 1주택자인지라 청약 가점은 택도 없고 서울 청약은 그림의 떡이었는데요 |
|
|
설마 되겠어? 하고 넣은 둔촌주공 줍줍 김철수씨는 둔촌주공 49타입에 저층에 덜컥 당첨이 됩니다!
20평형 저층 분양가는 8억 4천 2백만원
WOW!!
그런데 기쁨도 잠시 철수 씨는 왠지 불안감이 엄습합니다
사실 계약금도 부족한 상황에서 그냥 한 번 찔러나 보는 심정으로 넣었는데 덜컥 당첨이라니!
49타입 분양가만 8억 4200에 발코니 확장비 +옵션+ 중도금대출이자 +취득세!!
크아악..
실제 필요한 돈은 모두 합쳐 약 9억 3천!!
20평형에 그 큰 돈을 태우자니 평수도 20평이면 작은 거 같고...
하락장이라는데 괜히 상투 잡는 거 아냐?
그냥 현금 보유하며 투자고수의 비밀노트 읽으며 주식 투자나 할까? |
|
|
📸 둔촌주공 줍줍에 당첨된 철수씨 | 투자고수의 비밀노트 |
|
|
계약을 해도 될 지 반반치킨...
불안한 마음이 엄습합니다 둔촌주공 49타입의 분양가 대비 인근 시세는 어떤지..
과연 손해보는 장사는 아닌지...
계약해도 되는지...
자, 김철수 씨에게는 3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직접 입주
전월세 임대차 계약
P 받고 매도 |
|
|
📸 둔촌주공 줍줍에 당첨된 철수씨 | 투자고수의 비밀노트 |
|
|
세 가지 선택지 중 어떤 것이 가장 자산 상의 이익이 될까요? 어떤 선택지의 수익률이 가장 좋을까요?🤔
지금부터 바니이모와 함께 선택지 별로 샅샅이 살펴봅니다!
- 청소는 청소이모
- 부동산은 바니이모!! (뜬금포 사과드리며...)
여러분이 철수씨라면 몇 번 선택하시렵니까? |
|
|
.
.
바니이모와 선택지별 분석을 통해 최고의 선택이 무엇인지 바니이모의 비밀노트를 보러 갈까요? |
|
|
🤗 바니이모
복잡하고 까다로운 재개발 재선축을 가장 재미있는 언어로 풀어주는 부동산계 인플루언서. 재개발 재건축 트랜드와 핫 이슈를 [투자고수의 비밀노트]에 엄청난 정보를 쏟아붓고 계십니다 |
|
|
📸 아트바젤 홍콩 2023 © Art Basel |
|
|
아트바젤은 1970년 시작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규모로 진행되는 아트페어입니다. 이미 자리잡은 중견 예술가 급의 작품을 주로 소개하여, 아트페어 중에서도 최고급, 최고가 작품이 모이는 페어죠. 행사가 진행되는 며칠 동안의 판매 수익은 대형 경매회사의 1년 매출과 맞먹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아트바젤은 프랜차이즈화된 페어이기도 합니다. 백만장자들의 휴양지로 알려진 미국 마이애미 비치에서 매년 12월, 아시아 미술의 중심지 홍콩에서 매년 3월에 열리고 있죠. 그리고 지난 3월 21일, 코로나 이후 4년 만에 아트바젤 홍콩(ABHK)이 개최됐습니다. |
|
|
📍4년 만에 열린 홍콩 아트바젤, 작지만 강한 귀환 |
|
|
📸 아트바젤 홍콩 2023 전경 © Art Basel |
|
|
아트바젤의 명성 대비, 이번 홍콩 페어는 작은 규모로 이뤄졌습니다. 홍콩은 지난 1월 23일에 방역규제가 풀렸습니다. 실내, 실외 마스크가 해제된 건 3월 1일이고요. 다른 나라보다 늦게 풀린 방역 규제 탓에, 많은 갤러리가 모이진 못했습니다. 32개국에서 177개 갤러리가 참여하며, 지난 2019년 아트바젤 홍콩과 비교해 27%가량 줄어든 규모로 진행되었죠.
페어를 찾은 컬렉터도 대부분 아시아인이었습니다. VIP 오프닝이었던 21일 개막날에 중국과 한국, 일본 등 아시아계 컬렉터들이 인산인해를 이뤘는데요. 반면 서구의 컬렉터들은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홍콩이 중국 미술시장의 중심지로 여겨지긴 하지만, 중국의 검열 우려가 있는 점, 홍콩 민주화 운동으로 정치적 불안감이 퍼지고 치안이 악화된 점,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홍콩을 많이 떠난 점 등이 염려 이유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미술시장의 2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페어에선 중국계 ‘큰손'을 노린 유명 작가의 신작을 다수 선보여졌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철저히 ‘판매’에 초점을 맞춘 작품들이었습니다. 지난 9월 한국에서 진행된 프리즈 아트페어에서는 ‘프리즈 마스터스’섹션을 통해 미술관급 명작들을 선보이는 갤러리가 많았는데요. 이번 아트바젤 홍콩에서는 전시나 감상 목적이 아닌, 철저히 판매를 목적으로하는 ‘블루칩 작가들의 신작’이 주를 이뤘습니다.
세계 탑 갤러리라 불리는 하우저앤워스에서는 조지 콘도, 니콜라스 파티 등의 대작을 선보였고, 페이스 갤러리에서는 알렉스 카츠 대작을 들고 와 판매했죠. 일본의 오타 파인아츠는 쿠사마 야요이의 호박 조각을 한화 약 45억 원에 판매했고, 페이스갤러리는 이우환 작가의 <Dialogue>를 12억 7천만 원에, 타데우스로팍은 게오르그 바젤리츠의 그림을 15억 7천만 원에 팔았습니다. 대부분 중국 컬렉터를 중심으로 모두 판매가 이뤄졌고요. |
|
|
📸 아트바젤이 SNS에 올린 이목하 작가의 작품 ‘Ego Function Error’ © Art Basel |
|
|
아트바젤 홍콩은 크게 다섯 가지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메인 섹션인 ‘갤러리즈(Galleries)’,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작가를 소개하는 ‘인사이츠(Insights)’, 작가의 개인전 형식으로 진행되는 ‘카비네트(Kabinett)’, 그리고 신진작가 25명을 소개하는 ‘디스커버리즈(Discoveries)’죠.
이번 디스커버리즈 섹션에서 가장 주목받은 건 1996년 생의 이목하 작가였습니다. 올해 선정된 25명의 작가 중 유일한 20대였죠. 세계적인 작가들이 손꼽히는 아트바젤 디스커버리즈에 국내 20대 작가가 꼽힌 건 이례적입니다.
이목하 작가는 젊은 여인의 초상 작업을 주로 그립니다. 빛 바랜 사진 같은 그림은 마치 프린터처럼 네 가지 색을 차례로 쌓아올려 만들어졌습니다. 보라색으로 그림을 그린 뒤 파란 색으로 한번 더 덧칠하고, 빨간 색을 올리고 검은 색으로 마무리하는 식입니다. 물감은 매우 얇게 칠해져, 겹겹이 쌓이며 노스텔지어 가득한 색감을 만들어냅니다. 그림 속 인물들의 모습이 어딘가 애틋해보이는 것도 기법에서 만들어진 흔적입니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 방식 탓에 1년에 열 점 남짓한 작품만 선보이는데요. 이번 아트바젤 후, 어떤 행보를 보일 지 주목해볼 만한 작가입니다.
또 이번 홍콩 아트바젤에는 우리나라의 갤러리 12곳이 참여했습니다. 역대 홍콩 아트바젤 중 최대규모라고 해요. 갤러리바톤에서 송번수 작가를, 타데우스 로팍과 리만 머핀에서 이불 작가 작품을, 우손갤러리에서 안창홍 작가 작품, 국제갤러리는 김홍석 작가를, 아라리오 갤러리에서는 정강자 작가를, 갤러리 2에서는 전현선 작가를, 페이스 갤러리에서는 유영국 작가를, PKM갤러리에서는 유영국, 윤형근 작가를, 학고재에서는 정영주 작가를 선보였습니다. |
|
|
📸 홍콩 알렉산드라하우스에서 열리는 크리스티 경매 프리뷰 전경 © 한국경제 |
|
|
아트바젤같은 대형 행사가 열릴 때는 늘 아트위크의 일환으로 다양한 부대 행사가 열립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소더비, 크리스티, 필립스 등 경매회사는 아트바젤 기간 동안 홍콩 경매를 진행하고, 각국 경매 출품작들의 전시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크리스티에서는 뉴욕에서 열릴 경매 작품 일부를 홍콩에서 선보였는데요. 추정가 78억~104억 원의 조지아 오키프, 데이비드 호크니를 비롯해 총 390억 원 상당의 작품 7점을 홍콩에서 전시중에 있습니다. 유명 갤러리가 밀집한 홍콩 센트럴 퀸즈 빌딩엔 아트페어와 별개로 전시가 진행되고 있고요.
또 아시아 최대 규모 현대미술관이라 불리는 M+에서는 쿠사마 야요이의 회고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루이비통과 대규모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했던 만큼, 쿠사마 야요이의 이미지 소비가 많다는 평도 있지만, 미술시장에서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생존작가의 작품세계를 큰 틀에서 집대성했다는 점에 많은 관객을 모으고 있습니다.
작품 판매와 감상이 교차되는 아트바젤의 아트위크. 코로나와 중국의 사회적 이슈로 잠시 주춤했던 홍콩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지로 견고하게 버텨낼 수 있을까요? 행사가 끝나고 난 후, 홍콩이 어떤 성적표를 받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
|
🖼️이정우
Youtube <널위한문화예술> 前 에디터이자 베스트셀러 [널위한문화예술] 공동 저자. 현재는 미술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는 서비스 <비드피스>를 운영 중입니다. 알기 어려웠던 작가의 예술세계, 시장이 인정하는 작품의 가치들, 최근 예술시장 동향까지. 지금 바로 비드피스를 통해 만나보세요 :)
|
|
|
➕ 여러분이 갖고 있는 모든 돈고민을 여기에 제보해주세요. 전문가가 직접 답변합니다!
➕ 수신거부를 원하시는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제휴 및 광고 문의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517 아셈타워 30F
➕저작권 안내
Copyright ⓒ 2021 hyoracle, All rights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