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화만사성 #부모자녀 #갈등 #가부장 #소통 #화합 


어느 은퇴한 가장이 마침내 깨달은 가족에 대한 진실

글 : 이제경 / 100세경영연구원 원장, 매경이코노미 편집장 

'기성세대와 MZ세대의 갈등 원인과 치유책을 찾는 것이

나와 자녀들 사이에 놓여 있는 갈등을 봉합하는 일과 일맥상통!'


기업경영에 특히 관심이 많았다.

경제신문사에서 21년 동안 기자로 활동했고, 보험사에서 임원으로 10년을 일하면서 기업이 어떻게 흥망성쇠의 길을 걷는지를 직간접적으로 목격했다.

요즘 들어 기업의 운명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는 MZ세대(20~30대)와의 의사소통이라고 한다.

즉, MZ세대의 목소리를 기업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회사는

엄청난 성장을 구가하는 반면, 여전히 ‘꼰대’들이 리더십을 틀어쥐고 있는 조직은

쇠퇴일로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성세대(XY세대)와 MZ세대의 갈등의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치유할 것인지

고민하던 중 문득 ‘나의 가족은 안녕한가’에 이르게 됐다.

왜냐하면 내 자녀들이 바로 MZ세대이기에,

직장생활을 할 때엔 자녀와의 갈등이 존재하는지 조차도 인지하지 못했다.

흑자 가계재정을 유지하는 것으로 아버지 역할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착각했다.

진정한 의사소통이 무엇인지도 고민해보지 못했다.

자녀보다 더 많은 인생을 살았기에 부모의 판단이 늘 옳다고 믿었다.

이런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기에 자녀는 늘 부모의 말을 따라야 한다는 식의 가부장(家父長)적인 사고 틀에 갇혀 있었다.

그러나 31년 동안의 직장 생활을 마치고 실업자가 되면서

자녀와의 갈등이 표면화됐다.

없었던 갈등이 새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갈등을 이제서야 알아차렸던 것이다.

가부장이 아닌데 가부장이라고 착각한 것이 갈등의 원인이었다.

여전히 가부장인 줄 알고 잔소리를 했기에 갈등이 끊이지 않았던 것이다.


집(家)에서는 아버지(父)가 우두머리(長)라는 의식이 얼마나 우둔하고 미련한지를

실업자가 되고 나서야 깨우쳤다.

실업자가 된 이후 나에게 주어진 가장 값진 선물은

내가 가부장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차린 것이다.

그때서야 비로소 갈등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었다.

갈등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 자체가 해결책이었다.

갈등은 없앨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갈등의 존재를 인식하는 게 어떻게 갈등의 해결책일까.

우선 갈등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해 보자.

갈등(葛藤)이란 단어는 칡(葛)과 등나무(藤)의 특성에서 연유했는데,

칡은 오른쪽으로 덩굴을 감으며 올라가고, 등나무는 왼쪽으로 덩굴을 감으며

성장하는 속성을 갖고 있다.

한쪽은 오른쪽으로 다른 한쪽은 왼쪽으로 올라가니 어떻게 되겠는가.

얽히고 설킬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이들 나무가 죽지 않고 성장한다는 것은 곧 얽히고 설킴의 연속이다.

성장 방식이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게 갈등 치유의 핵심이지 않을까.

가정에 갈등이 있는 게 당연하고, 갈등이 없다면 가족 자체가 존재할 수 없음을 인식하는 게 가정 행복의 출발점임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과연 부모의 판단이 늘 옳은 것일까.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다름을 인정한다고 해도 여전히 부모의 판단이 옳다는 유혹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다.

가정의 불화와 갈등이 부모의 판단이 늘 옳다는 아집에서 비롯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 해결 능력의 근간이 되는 지식-경험-지혜를 솔직하게 비교해 보자.

부모세대보다 자녀세대의 지식이 더 우월하다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터넷 시대에서 자란 자녀들의 지식 습득량은 부모 세대를 훨씬 뛰어 넘은 지

오래다.

경험은 어떤가.

초지능혁명이라 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부모세대의 경험은 아쉽게도 점차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부모의 경험이 자녀들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을 뿐 더러 되레 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유일하게 경쟁 우위에 설 수 있는 무기는 지혜일 것 같다.

부모세대가 갖고 있는 지혜를 자녀들이 잘 흡수하는 게 관건이다.

내가 자녀들에게 꼭 물려주고 싶은 지혜는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다.

감사하는 마음은 행복에 이르는 지름길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은 모든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지혜의 산물이지 아닐까 싶다.


나의 가족은 안녕한가.

100세 인생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잊지 않고 되짚어봐야할 질문이다.

지난 주 뉴스레터에서는 투자 손실로 마음이 괴로워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때, 어떻게 마음을 다스려야 올바른 자세인지에 대한 칼럼을 전해드렸습니다. 


👉 지난주 이야기 보기 링크 

'투자 손실로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요. 어떻게 해야 되나요?'


투표의 주제는 '마음이 괴로울 때, 나만의 극복 방법은?' 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투표 결과를 공개 하겠습니다! 

🎉1위 운동을 한다. (44.2%)✨


2위 영화나 드라마를 본다. (20.9%)

3위 기타의견 (16.3%)


'운동을 한다'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몸을 움직이며 쓸데 없는 잡념은 날려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리프레쉬 하려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건강한 자세 같습니다~!!



🧡 직접 기타의견을 남겨주신 분들도 많습니다. 몇 가지 소개해드릴게요~!  


🧾 망할 때가 있으면 흥할 때가 온다. 기다림은 미덕이다. 🌑🌒🌓🌔🌕🌖🌗🌘

🧾 일단 골똘히 생각한다. 내 나름의 결정을 할 때까지. 또는 주변과 푼다. 🤔🍻

🧾 잔다. 😪

🧾 인간만사 새옹지마다. 그것으로 인해 또 좋은 일이 있겠지. 😅

🧾 잊으려고 노력한다. 😵🥴

투자와 연금 관련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여러분의 노후에 정말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전해드립니다.
investpension-info@miraeasset.com
서울 종로구 종로 33 그랑서울 Tower 1 13층
02)3774-2046

추후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수신거부Unsubscribe눌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