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부터 새로 창조된 세계를 원하는 사람. SF비평가 조애나 러스는 그런 사람들이 SF를 읽는다고 말합니다. 바닥부터 새로 창조된 세계를 원하는 사람. SF비평가 조애나 러스는 그런 사람들이 SF를 읽는다고 말합니다. 이 대목에 밑줄을 그으며, 에디터 융은 김초엽의 소설을 떠올렸어요. 소설 속 미래에도 여전히 차별과 혐오가 있습니다. 그러나 '김초엽 월드'의 인물들은 한계를 넘어 새로운 세계를 꿈꿉니다. 정상/비정상의 이분법을 넘어 우리가 꿈꾸는 미래를 그리는 작가, 김초엽의 방으로 초대합니다. |
|
|
질문을 던지며 나아가는 인물들
작가님의 소설 속 인물들은 주어진 세계를 거부하고 늘 질문을 던집니다. 신체적인 결함을 지워버리는 유토피아에 의문을 품고, 모성을 강요하는 세상에서 여성의 이야기를 되살립니다. 불가능을 알면서도 다음을 향하는 인물들. 그들의 아름다운 궤적을 따르며 우리는 새로운 세계를 만나게 돼요. |
|
|
지구가 정말 인간만의 것일까
인간만이 주인공이어야 할까? 작가님의 소설을 읽으며 고정관념이 깨지는 경험을 했어요. 우리는 늘 인간을 중심에 두고 생각하지만, 식물이나 곰팡이 같은 '비인간 존재'를 떠올리게 된 거죠. 『지구 끝의 온실』을 쓸 때, 작가님은 "식물만이 내 소설을 구원해줄 생물"이라고 생각했대요. 인간과 비인간 존재가 함께 만들어가는 이야기. 우리의 믿음을 강화하기보다 깨부수고 나아가는 SF의 매력을 한껏 보여줍니다. |
|
|
김초엽의 속도로 쓰고 싶다면
"어떻게 이렇게 아이디어가 넘쳐요?" 데뷔 이래 꾸준히 작품을 내놓은 작가님이 가장 많이 들은 말일 거예요. 아마 김초엽의 속도로 쓸 수 있다면 간절히 바라는 사람들이 많을 거예요. 그런데 작가님에게도 쓸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절이 길었다고 해요. 최근 채널예스 연재 중인 에세이 '김초엽의 창작과 독서'에서 작가님은 밝힙니다. "밖에서 재료를 캐내고 수집하고 쓸어 담는" 방식으로 글을 쓴다고요. 작가님에게 소설쓰기는 늘 배우고 탐험하는 과정이 아닐까요? |
|
|
새로운 질문과 만나게 하는 책
김초엽, 김원영 두 사람의 만남만으로도 화제가 된 책입니다. 에디터 융은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질문을 받아드는 기분이었어요.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몸과 기술은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할까. 두 작가님은 보청기를 끼고 휠체어를 타는 자신의 장애 경험으로부터 출발해요. 이를 통해,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을 배제하지 않고, 다양한 신체와 감각이 환대받는 미래를 상상합니다. |
멸망 이후,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지구가 위기에 처한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구원이 될까요? 김초엽 작가의 첫 장편소설 주인공은 바로 '식물'입니다. 인류 대멸종 이후, 재건된 세계에서 알 수 없는 푸른빛을 띤 덩굴식물 '모스바나'가 갑자기 증식해요. 이 비밀을 밝히기 위해 식물생태학자 아영은 묻혀 있는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합니다. 폐허 속에서도 그것을 다시 살려내려는 인물들. 전세계가 전염병 시대를 통과하는 지금, 더 와닿는 이야기예요. |
|
|
"게임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에 빠져있습니다. 제가 정말 사랑하는 게임 <호라이즌 제로 던>의 후속작이기도 한데요. 세계와 설정이 매력적이고, 그래픽이 아름답고, 사냥과 제작 같은 게임 요소도 재미있습니다. 주인공 에일로이가 너무 좋고요… 마감을 해야 해서 매일 이 게임을 할 수 없다는 게 정말 슬프지만, 한편으로는 엔딩을 최대한 늦게 보고 싶기도 하네요." |
|
|
"물건이라고 해도 될 지 모르겠지만 며칠 전 작업실에 커다란 아가베 아테누아타를 들였어요. 큰 나무를 사고 싶어서 화훼단지에 갔다가 아버지가 직접 골라주신 화분인데요. 크고 멋진 잎과 줄기를 보고만 있어도 뿌듯해져요."
*아가베 아테누아타: 멕시코가 원산지인 다육식물. 꽃이 용의 혀를 닮아 용설란이라고도 불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