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공공디자인으로 학교바꾸기
학교의 변화, 더 나은 배움터를 위한 노력

"교통안전에 대해 미숙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어린이보호구역 내 속도제한 규정과 표식 등을 강화하여 어린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디자인 세미나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을 위한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을 개선하는 것은 정부기관 및 행정조직의 일방적 행정사업으로 치부되었으나

2011년 9월 개정된 지방재정법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주민이 사업의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주민이 주체가 되어 공공공간을 개선하는 흐름에 따라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을  거버넌스로 접근하고자 한다.

공공디자인 거버넌스의 구성과 활용을 통해 이용자 관점에서

아동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디자인 테마여행
공공디자인으로 행복한 공간 만들기(스쿨존 개선)
경기도 하남시, '덕풍으로 퍼지는 안심미소 통학길'

오늘의 테마여행은 스쿨존 개선을 통해 아이들의 통학길 안전을 책임지는 하남시 덕풍초등학교 소개이다.



하남시 덕풍동에 위치한 덕풍초등학교는 주변에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대단지 아파트가 형성되고

학교 앞 도로에는 차량 통행량이 많아졌다.

그러나 정문 앞 사거리에는 신호등조차 조성되어있지 않은 위험한 환경이었다.



소규모 주택단지로 형성된 좁은 골목은 주택단지 내 불법 주차 문제로 아이들의 안전을 해치고,

신호등 없는 교차로와 좁은 골목길, 인지성을 감소시키는 불법 주차문제

아이들의 통학길을 위협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시작된 덕풍초등학교 개선 프로젝트는

초등학교 아이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번 테마여행에서는 덕풍초등학교의 안전한 통학길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안전해진 스쿨존의 변화와 그 과정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Agenda 25]
스쿨존 안전디자인, 어린이에 대한 이해로부터

 "' 어린이 보호구역'은 「도로교통법」의 규정에 의거해 유치원 및 초등학교 주변도로 중 일정구간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차량의 통행을 제안하거나 안전시설물을 확충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2018년도 어린이보호구역내 사고건수는 435건,

어린이(만 13세 미만) 사망자수는 3건으로 전년도와 비교해 각각 9.2%, 62.5% 감소했으나 사고율은 여전히 높고 어린이의 부상 및 사망사고도 발생되고 있다...(중략)

본 연구는 어린이의 행동를 유도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디자인 적용 사례를 분석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행동유도성 안전디자인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와 마을이 상생하는 삶"

마을의 가치, 학교와 같이 

9인 9색 전남마을교육공동체 이야기

전남마을교육공동체활동가모임 지음. 에듀니티, 2022


지역교육생태계 구축과 마을교육에 대한 시민적 합의를 만들어가는 과정

아이들이 마을과 함께 자라고 배우며 지역주민들과 마을교육공동체의 의미를 함께 만들어가는 모습은 미래교육에 꼭 필요한 시민의식이다. 처음 시작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은, 열정은 높고 이해는 부족하며 시행착오도 많다. 학교와 교육청, 마을활동가와 지자체가 왜 마을의 교육력과 공동체성을 회복해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 전남형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수립과 지원체계가 구축되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마을활동가들은 같은 방향으로 가기 위해 학습,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워크숍을 진행해 학교와 마을이 중심이 되는 연계 교육과정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