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중국은 어때? 축제 분위기?
💬확실한 건 중국 매체는 굉장히 떠들썩 한 것 같아. 어제(5일) 아침 중국 관영매체인 신화통신 홈페이지 제일 상단 기사가 시진핑 주석이 과학 기술 발전을 강조한다는 내용이었거든.
🎙️️신화통신이 딥시크에 대해선 뭐래?
💬직접 언급은 안 했지만, 딥시크를 계기로 AI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걸로 보여. 또 다른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도 미국이 중국의 과학 기술을 통제한 효과가 없다는 기사를 냈거든. 인민일보와 신화통신이 며칠 새 쓴 관련 기사만 20~30개는 되는 것 같아.
🎙️️기술을 통제한 효과가 없었다?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AI에 대한 통제를 굉장히 세게 해왔잖아. 중국은 그동안 그 효과가 계속 없다고 주장해 왔거든. 반도체 칩 공급을 막아봤자 전 세계 공급망만 교란한다고 말야. 그 말이 증명됐다는 거지.
🎙️️중국 정부가 딥시크 자랑은 안 해?
💬중국도 1월29일부터 2월4일까지 춘절, 설 연휴를 보냈거든. 그래서 아직 정부 공식적인 말은 나오지 않았어. 푸충 UN 주재 중국대사가 지난 3~4일 미국 뉴욕 UN본부에서 딥시크가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미국의 기술 제재 효과가 없었다고 말한 정도? 중국이 미국에 한 수 가르쳐줬단 말을 공식적으로 내뱉은 거지.
🎙️️신난 게 맞네.
💬맞아. 근데 가장 축제 분위기인 곳은 따로 있어. 딥시크 창업자인 량원펑의 고향 마을.
🎙️️거기가 어딘데?
💬중국 제일 남쪽 광둥성 잔장시란 곳이야. 중국에서도 최남단인 광둥성에서도 비포장길로 들어가야 나오는 굉장히 작은 농촌 마을이라고 해. 량씨들 집성촌이고.
🎙️️한국처럼 플래카드도 붙이고 잔치도 열고 그러나?
💬중국인들이 춘절 연휴에 여행을 많이 가거든. 량원펑 고향에 중국인 수백 명이 찾아왔다고 해. 다른 한국 매체 특파원이 가서 친척들 인터뷰도 했고. 중국 사람들이 굉장히 좋아하는 것 같아.
🎙️️트럼프 대통령 취임날, 최신 모델 R1이 나왔잖아. 흥을 깨려고 했나?
💬일부러 맞췄는지는 모르겠어. 다만, 트럼프는 물론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도 디커플링(De-coupling), 즉 탈동조화 전략이라고 해서, 중국으로 첨단 과학기술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정책을 강조해왔거든. 바이든은 그중에서 특히 첨단 반도체와 AI 기술을 콕 집어서 막아야 한다고 했고. 근데 딥시크가 첨단 반도체를 쓰지 않고도 그럴듯한 AI를 만들어 낸 거야.
🎙️️미국은 자존심이 상하겠다.
💬그렇지. 미국이 결정적으로 막고 싶어했던 두 가지가 딥시크를 통해 약간 허물어진 거지. 그걸 무너뜨릴 수 있다는 걸, 트럼프 대통령 취임 날 보여준 게 중국인들을 더 흥분하게 만든 것 같아.
🎙️️미국은 찬물을 끼얹고 싶나 봐. 딥시크가 개발 비용을 축소했네, 엔비디아 최신 칩을 가지고 있네, 하더라고.
💬머스크도 그렇고 미국 전문가들이 의심하고 있지. 물론 그럴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단언할 순 없어. 사실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없거든.
🎙️️왜?
💬딥시크가 스타트업으로 만들어진 지 얼마 안 됐잖아. 상장된 주식회사도 아니고. 그러다 보니 딥시크가 직접 공개한 자료만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어. 이제 막 출시했으니, 그런 의혹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밝혀지지 않을까? 개발 비용이 구체적으로 얼마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오픈AI보단 더 빨리, 더 적은 비용을 들여서 개발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는 것 같아.
🎙️️대체 딥시크는 어떤 회사야?
💬딥시크를 말하려면 량원펑이 만든 헤지펀드 투자회사, 하이플라이어(환팡량화) 이야기부터 해야 해. 2015년 량원펑이 대학 동창 2명이랑 만든 회산데, 량원펑이 어릴 때부터 수학을 워낙 잘했다고 해. 그래서 수학 통계 모델과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주식을 사고파는 퀀트 투자를 연구해 회사를 차렸는데 중국 4대 헤지펀드 회사에 꼽힐 만큼 성공한 거지.
🎙️️왜 계속 그 회사를 운영 안 했지?
💬사실 중국에선 주식 투자 회사를 좋게 보지 않아.
🎙️️왜?
💬코로나19 펜데믹이 시작되고 중국, 홍콩 주식이 2021년부터 엄청 빠졌거든. 하이플라이어는 그때도 굉장히 큰 수익을 냈어. (그래서) 개미투자자들이 싫어하지. 그렇다 보니 투자회사에서 썼던 AI 기술을 활용해 (량원펑이) 하이플라이어에서 독립하잔 마음을 먹은 게 아닌가 싶어.
🎙️️독립한 지 2년도 안 돼서 성공한 비결은?
💬중국엔 대학생이 엄청 많아. 매년 대학 졸업생이 1000만명이 넘거든. 그중 절반 이상이 이공계일 거고. 또 졸업생들이 취업이 안 되니 대학원을 많이 가.
🎙️️1000만명? 한국 인구의 5분의 1이네.
💬응. 중국에서 명문대로 꼽히는 칭화대나 베이징대, 상하이 푸단대는 대학원생이 대학생보다 많을 정도야. 2023년도 푸단대 대학생이 1만5000명인데, 대학원생이 3만7000명이었어. 그 해에 베이징대도 대학 신입생이 3760명인데, 석박사 과정을 밟는 학생이 1만2000명이고.
🎙️️똑똑한 사람이 많다?
💬어마어마한 수의 고학력자가 채용 시장으로 나와 스타트업으로 가는 거지. AI 관련 기업이 중국 정부 발표론 4700개 정도 된다고 하거든. 이 중에 LLM을 개발하는 회사, 쉽게 말해 딥시크 같은 회사만 200개 정도고.
🎙️️역시 스케일이 다르네.
💬AI 스타트업 사이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거지. 그중에서 하나 톡 튀어나온 게 딥시크인 거고. 그리고 돈이 없는 스타트업들은 수익을 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하잖아. 그래서 저비용 고효율, 딥시크 같은 혁신 모델이 나온 게 아닐까 싶어.
🎙️️이공계 졸업생 중 AI 전공자가 많아?
💬많을 거야. 한국도 지금은 이과생들이 대부분 의대를 선호하지만, 과거엔 컴퓨터공학과 같은 공대를 선호했던 때가 있었잖아. 중국이 그때와 비슷한 상황인 것 같아. 물론 중국에서도 의사가 좋은 직업이긴 하지만, 우리처럼 모두가 선망하는 직업은 아닌 것 같아. 2022년 박사 학위자의 약 60%가 이공계 분야인 것만 봐도 알 수 있지.
🎙️️딥시크에 천재 국내파가 많단 얘기가 그래서 나오는 거구나.
💬중국 안에 인재 풀이 많으니까. 물론 량원펑의 경영 철학이 반영됐을 수 있고. 근데, 중국 언론에서 딥시크를 보도하면서 량원펑을 포함해 딥시크를 개발한 주축 3인방이 국내파란 점을 유독 강조하거든?
🎙️️중국 인재란 건가?
💬딥시크를 띄워주기 위한 것도 있겠지만, 사실은 ‘우린 미국에서 공부하지 않아도, 이런 거 개발할 수 있다’는 걸 드러내는 거지. 미국이 막아도 할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이 강조하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 이념과도 맞아 떨어지고.
🎙️️중국은 요즘 전기차도 잘 나가잖아. 그건 또 왜 그래?
💬딥시크 성공 요인과 크게 다르지 않아. 중국의 인구가 탄탄한 내수 시장을 뒷받침해주는 점이 크지. 중국이 2001년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한 직후엔 의류 같은 작은 산업 분야부터 시작했단 말이지. 근데 지금은 빠르게 발전해서 1인당 GDP가 1만2000달러(약 1800만원)까지 올랐어. 인구 14억명으로 계산하면 얼마야.
🎙️️AI 기업처럼 전기차 회사도 많아?
💬중국 전기차를 만드는 회사만 약 200개 정도야. 전기차 배터리 업체도 150개가 넘고.
🎙️️되게 많네.
💬중국에 와보면 처음 보는 전기차가 엄청나게 많아. 지난해 1~11월 중국 전기차 판매량은 1126만대인데, 전 세계 전기차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해. 중국 전기차 BYD의 매출은 지난해 3분기 처음 미국 테슬라를 앞섰어. AI가 이제 막 미국을 따라잡기 시작했다면, 전기차는 이미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봐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