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1년 만에 ‘출근길 지하철을 탑니다’ 시위를 했어. 탈시설 권리 보장 피켓도 들고 있던데?
💬장애인 이동권만 요구하는 시위는 아냐. 서울시가 얼마 전 중증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사업’을 없애서 장애인 400명이 일자리를 잃었어. 장애인 노동권 보장도 요구하고 있어. 장애인 거주시설(시설)에서 나와 지역사회에 정착하려는 장애인을 지원할 제도를 제대로 마련하라고도 주장해. 셋이 서로 연결돼 있어.
🎙️️연결?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정착해 살아가려면 일자리, 이동권은 필수야. 시설에서 나와야 일자리와 이동권도 의미가 있는 거고.
🎙️️그들은 이미 탈시설 장애인이거나, 시설 밖에 있는 장애인 아냐?
💬맞아. 시설에서 나온 장애인들도 나올 당시는 고민을 많이 했대. 나가서 제대로 살 수 있을지 막막하니까. 막상 나와보니 지금 생활이 훨씬 만족스럽대.
🎙️️어떤 고민이 많은 거야?
💬그들도 나가서 정말 혼자 살 수 있을까 많이 걱정했대. 시설에서는 장애인이 어떤 재정적 지원이나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안내받지 못했기 때문에 두려움이 컸대. 결국엔 먼저 탈시설한 지인이나 활동가 도움으로 정보를 얻고도 반신반의하면서 나왔다는 거야.
🎙️️시설에 있는 장애인도 탈시설 기회를 얻게 해주고 싶은 거구나.
💬아직 시설에 남은 장애인들도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자립 지원을 받는 게 그들의 당연한 권리라는 거지.
🎙️️탈시설 이후 어떤 게 만족스럽대?
💬정말 소소한 것들. 친구와 야식으로 치킨 배달시켜 먹고, 파스타 요리해 주는 게 좋대. 시설에선 상상할 수 없던 일들이래. 시설에선 늘 무력감을 느꼈는데 자립하고 나선 그런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대.
🎙️️시설에선 무력하다고?
💬모든 시설이 그렇진 않겠지만 시설에선 개개인의 요구나 취향을 존중받지 못하고 규제당하는 경우가 많았대.
🎙️️얼마 전 서울 혜화동 성당 종탑에 올라간 활동가도 탈시설 장애인이지?
💬고공농성 중인 박초현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서울지부 대표가 시설에서 나온 발달장애인이야.
🎙️️얘기해봤어?
💬박 대표는 직접 얘기해보지 못했는데, 그가 얼마 전에 쓴 칼럼을 봤어. '발달장애인이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고, 일하고 있다는 걸 사람들이 알아야 사회가 변할 것'이라고 썼어. 여전히 발달장애인들은 시설에 많이 있어서 잘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였어. 시설에 있는 장애인 80% 이상이 발달장애인이야.
🎙️️고공농성 위험하진 않아?
💬박 대표와 함께 농성 중인 활동가와 통화했는데 그늘도 없고 난간도 없어서 힘들고 불안정하대. 고공농성장에 음식과 물품을 전달받는 과정에서 성당 쪽과 계속 실랑이를 해야 하고.
🎙️️언제 내려올 수 있는 거야?
💬장애인 자립지원법 폐기를 주장하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와 면담이 잘 이뤄지면.
🎙️️천주교는 어떤 입장인데?
💬천주교는 전국에 장애인 시설 175개를 운영 중이야. 그들의 경험상 자립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은 충분한 지원 정책 없이 시설에서 퇴소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는 입장이야. 시설 밖 자립 생활이 유일한 해법이 아니라, 시설 거주도 장애인의 선택지가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시설을 유지한 채 탈시설 선택지를 넓혀주면 좋은 거 아냐?
💬시설을 유지한 채 장애인의 탈시설 선택지를 넓힐 수도 있지만, 성공적으로 장애인 탈시설화 정책을 추진한 미국, 캐나다, 스웨덴 같은 나라는 시설 폐쇄를 강제했대.
🎙️️왜?
💬스웨덴의 발달장애인 특별돌봄법 제정 당시 보수정당은 장애인의 완전한 탈시설화에 반대하며 더 작고 기능이 우수한 시설 유지를 주장했는데, 법 통과 당시 탈시설에 대한 지지여론이 더 많았어. 시설이 폐쇄되는 동안 장애인 가족들은 처음에는 우려와 분노, 공격적 감정을 표출하였으나, 시설 퇴소 후 긍정적 인식이 27.8%에서 77.8%로 늘었다고 해.
🎙️️시설 폐쇄를 안했다면 결과가 달랐을까?
💬국가가 시설 폐쇄를 강제하지 않으면서 탈시설화를 추진한 영국과 일본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편입 속도가 매우 느리대.
🎙️️장애인 단체 쪽은?
💬오히려 시설에서의 집단생활이 중증장애인 생명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입장이야. 지금까지 시설 거주라는 유일 해법 아래 지역 사회 자립생활이라는 선택권을 오히려 존중받지 못했다고 주장해. 탈시설도 장애인 당사자 뜻을 최우선으로 놓고 결정해야 한다고 말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