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확한 데이터 공개 필요
뉴질랜드 등 태평양 18개의 섬나라가 참여한 태평양도서국포럼(PIF)의 과학자 패널도 도쿄전력의 오염수 측정 데이터가 방류 결정을 내리기에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도쿄전력의 측정 자료가 64가지의 방사성 물질 중 세슘-137 등 9개 물질에만 초점을 맞추고 나머지 55개 물질은 거의 측정하지 않고 항상 동일한 영향을 갖는 농도로 가정한 것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다핵종제거설비를 거친 오염수 저장 탱크가 가득 차기 직전의 단 한 번 30리터 샘플을 대상으로 측정한 것도 오염수의 실제 구성과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확인하기 부족하다고 지적되었습니다.
한국원자력안전연구소의 한병섭 소장은 이에 대해 "지금까지 사고로 누출된 오염수에 대한 연구나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잡히는 수산물의 방사능 수치에 대한 데이터 등이 우선 제공되어야 오염수 방류의 과학적 안전성에 대해 제대로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일본을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는 유엔해양법협약의 해양 보존 의무 위반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이 모두 회원국인 유엔해양법협약 192조에 따르면 일본을 포함한 회원국에 대해 해양 생태계를 보존할 의무가 되는데 오염수 해양 방류가 해당 의무의 위반 행위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 오염수 방류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이 지난 2019년 세계무역기구(WTO)에서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제한 조치에 대한 한국의 1심 승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한국 정부의 확실한 행동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일본을 제소하는 방법이 고려되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 마련이 필수이나, 현재 한국 정부는 이러한 부분에서도 준비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난 2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 후 오염수가 한국에 도달하기까지 4~5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늘어날 삼중수소는 극미량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시뮬레이션은 'ALPS가 오염수의 주요 핵종을 모두 걸러내고, 삼중수소는 희석하면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그대로 준용하여 이루어졌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4월 6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이 '충분히 현실적'이라는 취지의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으며, 방류 전까지 완성 예정인 최종 보고서에서도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결정을 뒷받침하는 취지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장기적으로 한국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 정부는 일본에 정확한 데이터 공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이고 객관적으로 오염수 방류가 한국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오염수 방류의 영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는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일본 정부의 무분별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막기 위한 목소리에 동참해 주세요!
> 3줄 요약 <
👆. 일본 정부, 올해 봄 또는 여름부터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예정!
✌️. 다핵종제거설비로 걸러지지 않는 오염수 내 삼중수소는 심각한 내부 피폭을 일으킬 수 있음
👌. 오염수 방류가 미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 등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