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한창 이안이‘랑’ 이야기하다가 이안이 잠든 후-)
유진 내가 쓰는 걸 진짜 좋아한다는 걸 최근에 알게 됐어. 오래전부터 계속 써왔는데 예전엔 뭔가 쓰고 싶다라는 열망만 있었지, 쓰는 걸 좋아한다고는 생각 안 했거든. 그래, <사랑을 연습하는 시간>(이하 사연시) 쓰면서부터 쓰는 것에 대한 생각도 많이 달라졌고 내가 이걸 진짜 좋아하는구나를 깨달았어.
소묘 와, 우리 책 하면서.
유진 <사연시> 쓰면서 내 안에서 쓰기에 대한 무언가가 바뀌었어. 그 책을 쓰고 싶다는 열망이 크게 있었지만 그게 뭔지를 잘 몰라서 처음 쓰기 시작할 때 이렇게 쓰는 게 맞나,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까 자신이 없었는데, 이제는 좀 알 것 같아요. 내가 왜 쓰는지도 알겠고 어디로 나아가는지도 알겠어.
소묘 뭘까요.
유진 기본적으로 나는 예술을 위해서 쓰는 사람이 아니야. 쓰면서 내가 알고 있는 세계가 조금 더 깊어지고 보이지 않았던 게 보이는, 그 자체가 좋아요. 모호했던 게 쓰면서 좀 선명해지잖아요. 그게 너무 좋아. 그러니까 이게 사실은 삶이랑 연결되어 있어.
소묘 어머님이 써주신 편지에 적혀 있던 표현이 떠올라요. “펜을 들고 책상에 앉아 있는 작가의 뒷모습이 아니라, 곡괭이를 들고 의자 위에 서서 숨 가쁘게 글을 캐고 있는 너의 살아 있는 모습….” 유진 작가님 글이랑 쓰는 태도를 그대로 보여주는 문장이라 정말 좋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 말씀하신 것과도 맞닿아 있는 것 같아요.
유진 나한테 되게 힘든 시간이 있었거든요. 책 읽고 쓰고, 우리가 생각하는 작가의 삶이 있잖아요. 근데 내 현실은 그냥 책상에 앉아서 쓸 수 없는 삶이니까.
소묘 그렇죠. 카페 일도 있으시고, 우리 이안이도 돌봐야 하고.
유진 쓰는 거 말고도 할 일이 너무 많아. 삼시 세끼 밥에 청소에, 나는 집안일도 중요한 사람이란 말이에요. 근데 이 책 쓰면서 어쨌든 그걸 느꼈어요. 나는 내 삶을 어떻게 사는가가 중요하고, 내가 쓰는 글은 내 삶을 위해서 쓰는 것이구나.
소묘 우리 책 3부 제목이 ‘삶을 쓰기’잖아요. 그 제목이 나올 수밖에 없었어. 그 방향으로 가시는 게 너무나 명확히 보여요.
유진 긍정적인 마음으로 잘 살자 이런 게 아니라 삶을 좀 깊이 보고 더 알기 위해서 쓰는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고. 예를 들어서 춘포 이야기도 내가 자주 쓰잖아요. 더 자주 쓰게 될 거고. 처음에는 그냥 내가 여기를 좋아해서 이렇게 쓰고 싶은 거구나 싶었는데 이 이야기를 쓰는 이유나 이곳에 대해서 찾다 보니까 장소 인식의 개념이랄지 생태주의랄지, 또 다른 세계로 확장하게 되더라고요. 머릿속에 어렴풋이 품고 있었던 어떤 마음과 감정이 언어로 조금 더 명확해지는 거지.
소묘 최영건 작가님이랑 ‘유진과 영건’ 레터 연재 하셨잖아요. 거기 춘포 얘기 많이 쓰셨는데 이상하게 그 레터를 읽을 때마다 눈물이 나는 거야. 저는 아직 그 이유를 명확한 언어로 짚을 수가 없는데, 내 안에도 장소에 관한 무언가가 있구나 좀 느꼈고. 써야 알게 될까요?
유진 아 진짜요? 이런 마음들이 뭐고 왜 내가 이렇게 생각하는 거지? 했었던 질문들에 대한 답을 계속 찾아가고 있는 거지. 그래서 쓰는 걸 좋아해.
소묘 유진 작가님은 선명해지고 있어요, 질문들이?
유진 질문들이 선명해지고 거기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 그 답이 또 다른 질문을 가지고 오고 그럼 또 나는 답을 찾아야 하고. 그렇게 나는 나를 위해서 쓰는 것 같아.
소묘 요즘 품고 계신 질문은 뭐예요?
유진 얼마 전 북토크 때 말했었잖아요. 무언가를 시작할 때, 내가 사랑하고 있는가. 끝날 때, 내가 충분히 사랑하는가. 이 질문을 진짜 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어떤 책을 쓸 때 내가 이 책을 글로 쓸 만큼 이 이야기를 사랑하고 있는가라는 질문과, 그 책이 끝날 때쯤에는 충분히 사랑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어야 돼. 이걸 내 기준으로 정했어. 책만이 아니라 사람을 대할 때도 마찬가지고, 내 삶의 모든 것에 대한 기준. 그래서 사랑하고 있는가에 대한 대답에서 망설여지면 그건 안 하는 게 맞아. 물론 어쩔 수 없이 해야 되는 일도 있어요. 그런 일들은 끝나고 나서 충분히 사랑했는가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을 정도로는 해야 되겠구나라고 생각해.
소묘 (이치코 실장에게) 충분히 사랑하고 있나요? 근데 그런 질문을 안 할 것 같아.
유진 나는 사실 이실장님이 너무 궁금해. 왜냐하면 전혀 다른 사고와 능력으로 움직여. 내가 잘 모르는 부류의 사람이야.
이치코 상황에 맞게 작동하는 펑션들이 들어가 있는 기계에 가깝다고 보시면 돼요.
소묘 AI야. 저는 그 질문 하는 걸 좋아해요,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어가 뭔지. 이실장은 질서래요. 나는 상상도 해보지 못했어. 내 사전에 떠올릴 수 없는 단어인데 이제 질서, 그 말을 듣는 순간 모든 게 이해됐지.
유진 어떻게 삶에서 중요한 단어가 질서에 있지. 처음 봤어. 나는 마르땅을 봤을 때도 처음 보는 인간이다라고 생각했는데 여긴 더 하는구나 질서라니. 너무 쓰고 싶은 사람이야.
소묘 아니 이실장 인터뷰야?(웃음) 유진 작가님한테 중요한 단어는 뭐예요?
유진 사랑이지. 근데 저도 사랑이 되게 중요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최근에 하게 됐어요. 아마도 여기에 살면서.
소묘 춘포에서요? 근데 저는 유진 작가님 예전 작업들에서도 그걸 느꼈던 것 같아요. 이렇게 명확하게 사랑이라고 큰 소리로 얘기하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써온 유진 작가님 글에 다 조각으로 있었던 거지.
유진 흩어져 있던 내 퍼즐이 여기 살면서 하나씩 완성돼 가고 있어. 저는 글을 쓰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사랑이 없으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삶이 싫은데 그 삶을 이야기할 수는 없는 거죠. 사실 사랑하고 싶은 마음이 있으니까 계속 이야기를 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 30대까지만 해도 아직 어리니까 그걸 잘 몰랐었는데 작년부터 여기 살게 되면서 뭔가 내 마음에 흩어져 있었던 게 맞춰지고 완성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소묘 춘포 오시고 얼굴도 엄청 편안해지셨어요.
유진 저는 각자 다 자기한테 주어진 삶이 있는 것 같거든요. 크든 작든 자기 몫의 삶이 있는데 예전에 나는 그 몫이 뭔지를 몰랐었던 것 같아. 근데 이제 좀 알겠어요. 내 몫의 삶이라는 걸. 그게 선명해지니까 나 자신과의 큰 갈등이 없어졌고, 이 주어진 삶 안에서 내가 어떻게 움직여야 하고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내가 뭘 해야 하는지 알겠어요.
소묘 쓰는 일일까요?
유진 쓰는 건 내가 살아야 하는 삶을 위한 하나의 도구예요. 그냥 쓰는 게 목적은 아니에요. 내 삶에서 나한테 가장 크게 주어진 게 무엇인지를 생각했을 때 난 사랑이 맞아요. 어떤 사랑을 해나가는지가 중요한 사람인 것 같아. 이안이도 마르땅도 또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도 그렇고, 사람만이 아니라 이 환경, 예를 들어 춘포라는 이곳도 잘 사랑해야 한다라고 생각하고 있고, 쓰는 건 그걸 도와주는 일인 거지.
소묘 도구라는 말이 이렇게 아름다웠나 싶어.
유진 왜냐하면 이해를 해야 하니까 사랑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나한테 뭐가 주어졌는지를 알아야 하고. 사랑이라는 게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유동적인 것이니까 좀 더 나아가야 하는데, 쓰는 일이 큰 도움이 되죠. 쓰는 일에는 많은 게 포함돼 있어요. 쓰려면 읽어야 하고 경험해야 하고 알아야 하고 이해해야 하고, 그 모든 것이 다 합쳐져서 쓰기니까.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쓰는 사람은 아니에요. 내가 모르는 것을 쓰는 사람에 더 가깝지. 모르는 것을 쓰기 위해서 알려고 노력해야 하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