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Vol.49 새롭게 빠르게,
공공을 더욱 가치있게 바꾸는 디자인
기획기사

새로운 시도를 위한 공공디자인 전략


공공디자인 사업은 정기적인 도시 기반시설 정비와 그 방향이 대립하기도 한다. 공공디자인 사업은 일반 보수, 정비사업을 실행하는 사업부서의 관점에서 보는 경우 규정에 어긋나는 상황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도 한다.

공공디장인 사업은 공간을 통합하거나 기존에 없던 방식으로 개선되기를 제안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활동이 공공디자인이 갖는 차별화된 효용 가치를 만든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규정과 부합되지 않는 제약이 많은 상황에서, 공공디자인은 임시적 또는 실행적 방안을 통해 단기적으로 더 나아가 장기적 체계를 만드는 대안으로 다양한 시도를 실행하고 있다.

https://rotterdamsedakendagen.nl
공공디자인 세미나
도시를 바꾸는 강남구 틈새공간 실험실

강남은 관광, 문화, 직장,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많은 유동인구가 발생하는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대표 글로벌 도시이다. 코로나 이전 2019년 기준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 843만명 중 37.8%가 강남을 방문했다. 관광, 의료, 문화에 더해 한류를 선도하는 도시로서 강남의 존재감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중략)

강남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잘 구획된 도시로서 기능적인 측면에서 강남은 매우 효율적이고 경쟁력있는 계획 도시이다. 하지만 높은 빌딩과 자동차 중심의 곧게 뻗은 단조로운 강남의 거리는 보행자 측면에서는 걷고 싶은 동기가 유발되지 않는 삭막한 도시 공간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기능 중심의 도시를 휴먼스케일의 보행이 가능한 도시로 전환을 위해서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여기서 주목한 개념이 도시의 틈새공간이라는 이슈이다.

  공공디자인 실험실
공공디자인 테마여행
임시적 시설물을 통한 공공디자인 (청량초등학교 / 동작구 체어바잉)

20세기 근대도시계획을 중심으로 도시는 빠르게 발전했다. 종합적인 계획하에 용도에 따라 구획을 분리했고, 획일적이고 표준화된 생활공간은 다양한 도시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과속화된 도시 집중화 현상과 함께 닥친 인간 소외 현상, 범죄 증가 등 예기치 않은 사회문제는 도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필요케했다.

근대도시계획의 실패를 경험하며 도시개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 방식의 변화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소규모 예산 투입과 상향식 의사결정에 의해 즉각적이고 임식적으로 접근하는 '실험적인 디자인'은 막대한 예산과 행정력을 소비하면서도 근본적인 도시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던 지금까지의 도시계획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동작구 체어바잉 프로젝트Ⓒ체인지워크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Designing Streets for Kids 가이드라인은 전 세계 도시의 모든 어린이들이 평등하게 공공공간에서의 권리를 누릴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데 필요한 국제 모범 사례, 전략, 프로그램 및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Designing_Streets_for_Kids #공공공간 #어린이

기후 변화의 영향과 함께 공공 공간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도시 환경의 질과 개인의 건강 및 웰빙 사이의 연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공공 공간에 대한 요구는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요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10가지 원칙을 수립한 DESIGN GUIDE PUBLIC SPACE, GRONINGEN이 발표 되었습니다.

#기후변화 #환경 #공공공간

싱가포르의 미래를 계획하는 장기 계획과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 우리의 꿈을 위한 공간 이라는 제목의 마스터플랜의 공유와 검토를 위한 전시가 2022년 6월 6일부터 2022년 8월 4일까지 URA 센터 아트리움에서 개최됩니다.

#싱가포르 #도시디자인 #Space_for_Our_Dream

The Arcadis Sustainable Cities Index 2022

2022년 6월 14일 100개의 글로벌 도시를 조사하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지표 평가를 통해 Arcadis Sustainable Cities Index 2022를 발표하였습니다.

Arcadis 지속 가능한 도시 지수 2022는 기후 변화, 도시화 및 자원 감소와 같은 일련의 도전에 직면한 세계에서 진정으로 번영하기 위해 도시가 지속 가능성을 추구해야 하는 의제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he_Arcadis_Sustainable_Cities_Index_2022

추천 서적
"사람을 공간에 머물게 만드는 힘.
라이프스타일"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온라인이 대체할 수 없는 로컬 콘텐츠의 힘

모종린 지음 | 알키 | 2021년


지역만의 특색 있는 로컬 자원과 라이프스타일을 접목한 콘텐츠가 만들어졌을 때 사람과 돈이 모인다. 새로운 세대의 가치관과 콘텐츠에 대한 이해 없이 네이밍이나 공간 디자인에만 치중해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창조적 커뮤니티

사회적 성공과 물질을 중시하던 과거와 달리 MZ세대는 개성과 삶의 질, 윤리를 중시한다. 획일화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스템과 달리, 개인의 수만큼 다양해진 취향을 만족시켜주는 공간을 구성하기에 유리하단 점에 로컬의 경쟁력이 있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