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Vol.46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처하는 디자인
|
|
|
코로나 시대, 공공공간은 어떻게 변해갈까?
Gehl report_ Public Spaces & Public Life during COVID-19_phase2
코로나시대의 공공공간 사용 행태 분석
Public Spaces & Public Life during COVID-19 research (by Gehl Institute)는 자선 단체인 Realdania와 코펜하겐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으로 진행되었다. Gehl Institute는 4개의 덴마크 도시에 대해 80명이 넘는 현장 조사연구원과 협력하여 COVID-19의 폐쇄 및 재개방의 2단계에 걸쳐 공공 공간이 우리 지역사회의 코로나에 의한 큰 변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하는지 관찰하고 해석하는 의미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
|
공공디자인 세미나
언택트 시트가 만드는 슬기로운 광역버스 생활
COVID-19는 2019년 12월 처음 세상에 나타났다.
전 세계는 전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방역 대책을 내놓았다. 기존 체제의 생활 방식과는 또 다른 형태를 가진 뉴노멀(Newnormal)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우리의 일상은 이전과 다른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재택근무가 이전보다 늘어나긴 했지만 출근이 불가피한 대부분의 직종 때문에 대중교통은 여전히 방역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
|
|
공공디자인 테마여행
포스트 코로나가 가져온 디지털 전환 (공공서비스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
오늘의 공공디자인 테마여행은 포스트 코로나가 가져온 공공영역의 디지털 발전을 소개하려고 한다. 2020년 COVID-19의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활성화되며 언텍트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언텍트의 비대면 영향은 많은 영역에서의 변화를 일으켰으며, 공공영역 또한 마찬가지다. 공공영역의 비대면 영향은 기본적으로 공공행정서비스뿐만 아니라 초,중,고 디지털 기반의 교육 인프라 조성,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등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다.
|
|
|
추천 서적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발전교육,
휴먼웨어교육 미래교육을 디자인하는 주체로서의 자세"
|
|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가 디자인하는 미래교육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학교의 방향성은 인본주의적, 총체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세우고, 미래 인류가 함께 평화롭고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나아가는 데 꼭 필요한 공동의 인식을 함께하려면 우리는 결국 ‘인간’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교육
펜데믹, 기후재앙, 인공지능 …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미래학교가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
|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
|
|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