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Vol.45 공공을 연결하는
공공디자인 매체 & 플랫폼Ⅱ

기획 연재
공공디자인 확장을 위한 새로운 매체와 플랫폼 제안2

해외에서는 공공디자인 활동을 지원하는 센터 설치, 온라인 교육, 컨설팅 교육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전문기관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공공서비스나 공공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소개하는 언론사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상공간상에서의 공공디자인 실험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 실험도 곳곳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세미나
'야, 너두? 야! 나두!'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모두가 참여하는 새로운 사회문제해결 거버넌스

이전의 우리는 사회에서 문제가 생기면 직접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기보다 국가기관 또는 정부에 요청해 문제를 해결해왔다. 밥 딜런의 노래 The Times They Are A Changin속 노랫말처럼 시대는 변한다. 그리고 그 흐름에 따라 사회도 변화한다. 이러한 분위기속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문제해결의 방식이 생겨나고 있다. 이번 세미나 기고를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의 방안을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한다.


공공디자인 테마여행

네트워크를 통한 공공디자인 플랫폼

오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공영역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플랫폼을 소개하고자 한다. 과거 관 주도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사업들이 주를 이루어져 왔다면, 최근에는 참여와 협력, 소통을 통한 국민주도, 참여주도 공공디자인 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출처]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4/408088/
추천 서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혁신을 일으키는 패러다임"

스토리 유니버스

뉴미디어 시대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

이동은 지음 /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K-콘텐츠와 메타버스의 시대,

스토리텔링이 모든 것을 지배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은 ‘쌍방향성’과 ‘상호작용성’이다. 이는 언제, 어디서든, 무엇이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자신의 스토리를 전달하고 수신자는 수동적으로 그것을 향유하기만 했던 기존의 스토리텔링과 확연하게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저자는 이에 대해 ‘향유자의 적극적 참여와 관여로 콘텐츠가 무한히 변화하고 확장될 가능성을 지녔다는 것이 새로운 시대의 스토리텔링이 그 이전의 스토리텔링과 가장 크게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지적한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