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모두의 배려를 디자인하다! “도시의 공공가치를 더하는 공공브랜드 전략”


'기호와 상징의 브랜드에서 공공가치를 진흥하는 브랜드로'

기술의 발달로 시공간적 경계가 낮아짐에 따라 국가뿐 아니라 도시 간에도 경제, 사회 문화적 교류가 원활하게 되었다. 이에 대비해 도시는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 인지도를 높이는 '도시마케팅'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도시마케팅에서 ‘도시브랜드’는 지자체 및 지역 구성원이 추구하는 이념과 지역 자원의 가치가 함축된 종합적인 상징체계로서, 곧 지역의 인상을 전달하는 중요 요인이다. 때문에 최근 도시브랜드와 관련된 시책도 확대되고 있다.

공공브랜드의 변화  
도시 공공장소 활성화를 위한 공공장소 브랜딩에 관한 연구

현대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팬데믹 시대, 사람들은 공공장소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되돌아보고 있다. 밀집된 도시에서의 거리, 지역사회 등 공공장소는 다양한 도시 문제를 안고있다. 공공장소의 범위 축소, 불안전 요소 증가, 지역 경쟁력 감소 등의 연쇄적인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도시에서 사람이 중심인 활성 장소를 회복하려 하고 있으며, '도시를 대표하는 브랜딩'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그 중 도시 브랜딩은 지역 간 경쟁력 강화를 통해 도시발전의 중요한 전략이 되었다

도쿄 긴자 KK라인 스카이 가든 예시 https://weixin.caupdcloud.com/?p=614963

도시 브랜드의 품격, 정책으로 기반을 다지다

품격 [ 品格 ]있는 도시가 가지는 특성


도시의 지리적 위치나 도심 속 현대화된 고층빌딩 잠식률과 같은 가시적이고 장식적인 요소들은 도시품격의 절대적 기준이 되지 못한다. 오래도록 사랑받는 도시는 그만의 철학과 스토리텔링을 가지고 있다. 아무나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이러한 도시의 고유한 특성은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이끌고 지역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한다. 그리고 도시의 품격은 이로부터 발현된다. 도시가 품격을 가질 때 시민들 또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가지게 된다. 오늘의 공공디자인 테마여행에서는 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도시 브랜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포르투닷(Porto.) 브랜딩 https://m.news.nate.com/view/20210606n1688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우리 도시는 어떤 가치를 만들고 있는가"

글로벌시대 도시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김유경 지음 | 한경사 | 2021년


도시 브랜드 성공을 이끌기 위한 노력

시민은 도시의 지역 문화를 경험하고 도시 아이덴티티에 맞는 특성을 살려 라이프 스타일에 반영한다.


현재 살고 있는 도시의 가치를 느끼며 보존하고 싶은 욕구가 있으며 도시가 좀 더 매력적이며 활기 넘치는 곳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

이것은 모든 시민에게 이익이 된다.

도시의 풍요로움과 다양성은 브랜딩 전략의 원천이 된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