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공공재난을 대비하는 공공디자인Ⅰ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상상 그 이상의 미래는 현재가 되었고 인공지능과 무인 운송 수단, 3차원 인쇄 등 셀 수도 없는 최첨단 기술들을 일상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이전에는 그저 상상에 불과했던 것들이 이제는 어렵지 않게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이다. ...(중략)

그러나 지구를 점령한 인간이 한없이 나약하고 무력해질 때가 있다. 바로 자연 앞에 방치되어 있을 때다.

지난 달 8일 폭우로 침수된 지역의 차량들 Ⓒ김다정
디폴트 디자인_공공가치 실현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1. 공공디자인 영역의 확장과 공공가치 실현으로의 방향성

공공디자인은 안전·배려·편리·품격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공공의 영역에서 행정과 정책, 공공디자인 사업, 연구 등을 통해 다양한 결과들을 일궈왔다. 앞으로의 공공디자인은 그 범주를 넓혀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유연하고 긴밀하게 협력하도록 각각의 주체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공공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2021 공공디자인 토론회를 통해 선제적으로 제시된 주제인 「공공가치를 디자인하다」라는 문장처럼 앞으로의 공공디자인이 눈에 보이는 디자인을 넘어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진정한 변화와 가치를 만들고 이를 실현함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2021 공공디자인 토론회 리뷰 中-

도시 침수 재난에 대비하는 공공디자인 (스펀지 시티 / 침수대비 공공디자인)

오늘의 테마여행은 함께 대비하고 대처해야 할 '홍수재난'에 대한 내용이다.

2022년 9월 6일, 115년만에 불어닥친 역대급 태풍 힌남노는 도심 곳곳에 막대한 재난 피해를 입혔다.


지난 장마에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쏟아진 물폭탄의 공포가 채가시기도 전 경남 일대를 집어삼킨 재난 피해 현장은 수해와 재난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야기했다. 

"침수 대비를 위한 도시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도 막대한 피해상황을 겪게 되었을까?"

물길을 돌려주는 재난 제품 디자인 Ⓒ 네이버블로그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빈번해지는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탄력적 도시설계

#RESILIENT_DESIGN #FLOODING

중국 충칭 Jialing강의 Resilient System

#RESILIENT_SYSTEM #CHONGQING

"재난 극복 과정을 통한 진보"

재난인류

위기의 순간마다 답을 찾았던 인간의 생존 연대기

송병건 지음  |  위즈덤하우스, 2022 |


예측하기 어려운 재난이 닥친 순간, 인류는 어떻게 위기를 모면했을까? 그리고 재난 이후 인류의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2,000년 동안 인류가 겪어온 화산 폭발, 지진, 감염병, 산업재해, 운송수단 사고, 생태계 파괴, 이상기후, 디지털 사고, 팬데믹 등 각종 재난의 역사를 살펴보고, 재난의 공포 속에서도 생존의 답을 찾았던 인간의 분투를 이야기한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