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공공을 위한 도시브랜드 확장 유형


최근 도시브랜드는 단편적인 상징성 구현에서 벗어나 '한 도시가 추구하는 공공가치 확산의 기능'을 더하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번 기획기사를 통해 기존 도시브랜드의 상징성과 미적 영역에서 나아가 도시의 가치를 담아내는 사례를 참고하여 공공의 영역에서 도시브랜드의 발전 방향성과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be Berlin, Berlin Partner  ⒸBerlin Partner

플렉서블 브랜드 디자인과 도시브랜드 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국내에서는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1995년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을 위한 동기를 부여 받고 지역 개발 및 지역의 특성화된 문화에 관심을 가지며 지역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2000년대 초반 2000ASEM, 2002한일 월드컵 등의 세계적 행사를 개최하며 ‘국가브랜드’의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브랜드’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멜버른 도시브랜딩   Landor Associates
주민참여로 마을만들기 - 고양시 일산 마을협동조합 브랜드


공공디자인은 오랜기간 단순 공공 시설물 정비, 사인 개발과 같은 국가기반시설 디자인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현 시점의 공공디자인은 정부주도의 사업에서 국민주도를 통한 참여형 디자인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우리의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고 모든 이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사용자 의견수렴이 무엇보다 중요해 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사용자가 되는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가 결국 도시문제에 대한 깊이있는 탐구와 도시발전을 이끌어 낸다.

주민참여 워크숍 Ⓒ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USDOT #Inclusive Design Challenge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이 접목된 인클루시브 디자인 챌린지
 #SDOT #Greenways #SEPA
안전, 형평성 및 기후 목표를 반영한 발전적인 교통 계획
  #DPW # USAG #skate park #Pet
주민 참여로 만든 커뮤니티 공간
  #Baby Shark #Busan #World Expo 2030
글로벌 컨텐츠를 활용한 부산광역시의 세계화 전략

"브랜딩에 논리나 법칙은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브랜딩이 필요합니다

- 수많은 이름 중에 단 하나의 브랜드가

   되기 위한 방법


전우성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21년


브랜드의 정체성을 정의할 때, 브랜드의 탄생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브랜드가 어떤 과정에서 시작되었고 그 출발점이 어땠는지 살펴보면, 브랜드 초기의 모습과 마음가짐까지 알 수 있게 된다. 즉, 탄생의 비밀을 알게 되는 것이다.

브랜딩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왜 해야 하는 걸까? 어디서부터 시작하고 또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 성공적인 브랜딩을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