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UD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이야기 "유니버설디자인 칭찬해"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과 민-관-산-학 활성화 도모를 위한 의견 교환의 장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유니버설디자인"조성을 위해 전문가와 시민 간 좌담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박마루 서울시 명예시장의 사회로 전문가, 시민참여단이 함께 약자와의 동행을 위한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및 환경 변화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미래를 위해 현재 우리가 가진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기사 본문에서는 빗물사용의 재고, 벽을 이용한 녹지확충, 모듈식 그린 루프 시스템을 통한 지붕에서의 식자재 재배 등 도시공간요소들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북아메리카의 도시녹화방법들을 엿볼 수 있다.
사회구성원으로서 도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개인들이 모여 단체를 이뤘다. 활동을 함께하는 참여자들은 9살의 어린 소년부터  70대의 고령층까지 다양하며 파리 곳곳에 나무를 심고 작은 숲들을 조성해 기후 변화를 늦추고 생물다양성 증진을 목표로 함께 봉사하고 있다.

스코트레일은 스코틀랜드의 철도회사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년 50개 이상의 생물다양성 개선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투자를 바탕으로, 스코트레일의 역 및 창고의 폐기물 재활용 운동, 야생동물의 거처 마련, 야생화 목초지와 연못 조성, 자원봉사자 교육 등의 사업을 펼쳐오고 있다.

"경험 소비의 시대, 뇌과학 기반으로 디자인하는 법"

뇌과학으로 고객 경험을 디자인하라

Design for How People Think

CX의 6가지 마인드

존 웰런 지음, 안지희 옮김 | 유엑스리뷰, 2023 |


시장을 이끄는 새로운 소비 주축인 MZ 세대는 이제 단순 구매보다 제품과 서비스가 지닌 경험의 가치를 훨씬 중요하게 여긴다.

오늘날의 고객은 자신이 선택한 브랜드와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원한다. 고객에게 만족도 높은 경험을 전달함으로써 그들과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숙제가 되었다. 브랜드의 성패는 더 이상 기능적인 차별화에 의해 갈리지 않는다.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브랜드의 성공을 좌우한다. 이제 보다 체계적으로 고객 경험의 실체를 고민해야 할 때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
hipdcenter@hongik.ac.kr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02.320.1237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