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디자인이 어떻게 미래를 풍요롭게 하는가?
2022 서울디자인국제포럼 리뷰

도시가 지향하는 디자인의 가치와 실현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디자인 포럼. 

매년 다양한 도시에서 각 도시를 대표하는 디자인 포럼을 통해 새로운 아젠다와 방향성을 이야기 한다. 2022년 10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도 <2022서울디자인국제포럼>을 통해 미래사회 핵심 전략인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과 발제가 펼쳐졌다.

I love street © COURTESY OF GWANGJU BIENNALE FOUNDATION

공공디자인 어디까지 가봤니?
공공디자인 페스티벌2022_무한상상 OO디자인,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기획행사 리뷰

공공디자인 페스티벌2022, 대중에게 한발 더 다가선 공공디자인


축제의 계절 가을. 지구촌 곳곳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페스티벌이 우리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 그중 공공디자인을 대표하는 축제 '공공디자인 페스티벌2022'가 10월 5일부터 30일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주최로 열렸다. 문화역 서울284를 중심으로, 성수동을 비롯한 전국 '공공디자인 거점'에서는 공공디자인을 소개하고, '길몸삶터: 일상에서 누리는 널리 이로운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열기도 했다. 특히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단순한 볼거리 외에 교육, 토론회, 학술 행사 등 공공디자인의 기초와 연구를 위한 의미 있는 프로그램들이 이목을 집중시켰다.

  2022 공공디자인 워크숍 ⓒ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친환경과 공공디자인, 전라남도에서 만났지라~
제7회 전라남도 친환경디자인전

2022년 11월 11일 제7회 전라남도 친환경 디자인전이 담양군 해동문화예술촌에서 7일간 개최되었다. '내 삶을 바꾸는 친환경 디자인'을 주제로 친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디자인의 다양한 확장을 보여줄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여러 프로그램들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확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친환경디자인전을 직접 방문하여 어떤 의미와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전라남도 친환경 디자인전 ⓒ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Turnout NYC는 예술과 문화를 통해 공공 공간 다양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선도모델을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Design Trust for Public Space 및 SITU 가 주도하는 Turnout NYC는 각 자치구 내에서 문화 파트너와 협력하여 융합적인 공공장소를 디자인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이 공공공간에서는 콘서트, 공연, 워크샵 등이 한 시즌을 장식했고 새로운 거버넌스십과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예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 이니셔티브에 대한 리뷰 토론이 마련됐다.

뉴욕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비율 96%

자동차를 위한 도로와 주차공간 75%

"만약 우리가 뉴욕 거리를 다시 사람들에게 돌려준다면?"

The Future of cities라는 주제로 열리는 도무스포럼 2022는 불, 흙, 공기, 물을 물질이나 자원이 아닌 도시의 생성을 위한 진정한 생성원리로써 바라보고 당면한 도시의 문제 해결에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의 미래"

디자인의 가치 The Value of Design

프랭크 바그너 지음, 강영옥 옮김  | 안그라픽스, 2018 |


디자이너, 변화의 프로세스를 계획한다

디자인은 사회문화적 산물인 동시에 가치의 영역이다. 시장과 소비, 작업과 평가로 점철된 현시대에 디자인의 본질을 깊이 성찰해야할 시기이다. 책은 이론과 역사를 기반으로 디자인의 미래를 조망하며,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해 끊임없이 물음을 던진다. 디자인이야말로 삶을 의미 있게 구성할 유용한 잠재력임을 확신하는 이 책은 하나의 사유이자 태도에 가깝다.

프랭크 바그너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한 명의 디자이너로서 소셜 미디어의 ‘좋아요’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피상적인 교류에서 벗어나 자신을 신뢰하려면, 사회적 인정과 경제적 생존권을 보장받으려면, 새로운 관점에서 디자인을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급변하는 시대를 감당할 것인가, 아니면 외면할 것인가. 이 화두에 대한 답은 우리 모두의 몫이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