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전문가들의 공유 뉴스레터
임시적 공공시설을 통한 공공문제해결 프로세스

Activism 미국∙영국 [ǽktəvìzm] 영국식

1. [명사] (정치적 목적을 위한) 행동주의

2. [명사] [철학] 능동주의, 활동주의


최근 주민이 주도적으로 집단을 이루어 사람 중심의 공공환경으로 바꾸어 나가는 액티비즘(Activism)형태의 움직임이 세계 곳곳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단기간에 실행되는 일시적 도시실험으로, 변화를 원하는 시민이 정부의 공공환경개선에만 의지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공동체를 이뤄 도시의 유휴공간을 새롭게 활용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택티컬 어바니즘(Tactical urbanism)이라 한다. 택티컬 어바니즘은 일시적으로 작은 비용을 들여서 소규모 프로젝트 성격으로 진행하는 특징으로 인해 게릴라 어바니즘(Guerilla Urbanism), 팝업 어바니즘(Pop-up Urbanism), 시행착오 어바니즘(Trial-and-error Urbanism)이라고도 불린다

Estrade, 2021 ©Cabanon Vertical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작은 실천 (Park(ing) Day Manual)

대부분의 야외 도시 공간은 개인 차량 전용이며,

그 중 일부만 사람들을 위한 열린공간으로 할당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돌아보면 여러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높은 하늘과 배경이 되어주는 산의 모습이 보이기도하고, 각양각색으로 올라와 있는 건물들 사이로 우리의 생활은 다양성을 가지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경관적 측면에서 보면 우리는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의 눈높이로 세상을 보면 바로 앞에 있는 시설에 눈이 가게 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거리는 대부분 차들을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 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대부분의 가로는 보도와 인접하여 주차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사람들은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피해 도로 안쪽만을 이용한다. 

  
새로운 시도와 행동, 사회를 위한 액티비즘 (Street Lab _ Programs for Public Space)

뉴욕의 비영리 단체 Street Lab _ Programs for Public Space는 액티비즘 관점에서 공공공간에 사회적 메세지를 담은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약어로 'Street Lab'이라 불리는 이들은 뉴욕시에서 주로 활동하며 주로 뉴욕시 시민을 위한 공공공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주로 도시 환경 개선, 이웃 간 유대감 강화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임시적 시도를 실천하고 있다. 그외에도 도시 내 자동차 도로를 일시적으로 폐쇄하여 뉴욕 읽는 거리, 뉴욕 그리기 거리, 뉴욕 플레이 거리 등 11개의 다양한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이들의 활동은 중소 기업, 아티스트, 뉴욕시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형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이루어 간다. COVID-19로 침체되어 있는 도시를 야외 활동을 통해 이를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진행하기도 했다. 실제 Play Street는 사람들이 거리에 머물게하는 시간을 늘리거나, 시민들의 평균적인 걷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만들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나 이웃 간의 유대감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얻었다.

Play Newyork Ⓒ streetlab

👉 국내 공공디자인 소식  
🌍 해외 공공디자인 Pick!  

놀이는 공공영역을 디자인 하는데 가능한 전략일까?

Playful Paradigm은 포용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디자인 수단으로 놀이게임툴을 도입하는 패러다임이다. 도시는 가능한 즐거운 장소가 되어야 도시화, 고령화, 기후 변화, 사회적 소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개념을 기반한다Playful Paradigm 네트워크는 사회적 통합,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및 세대 및 문화 차이의 통합, 장소 만들기 및 경제적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개념으로 게임화를 기반으로 이해 관계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디자인하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는 PtD(Prevention through Design)의 개념을 통해 각 산업분야에서 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는 디자인전략을 시행중이다.

특히 이러한 디자인을 통한 예방(PtD)을 확산하기 위해 우수한 디자인 프로그램에 대해 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디자인을 통해 위험을 줄이거나 PtD 솔루션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 체계에 기여한 개인, ,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주요분야

  • 농업, 임업, 어업 분야의 고위험 근로자의 부상 예방
  • 건설 부문의 추락 방지 및 보호
  • 광산 근로자 의 기계 관련 부상 감소
  • 운송, 창고 및 유틸리티 작업자 의 기계 관련 부상 및 운송 사고 감소
  • 제조 근로자 의 소음 및 이독성 화학물질 노출 감소
  • 도소매 업 근골격계 질환 감소
  • 석유 및 가스 추출 작업자 의 실리카 유발 호흡기 질환 감소

텔아비브의 읽기쉬운 트레일 디자인, Tel Aviv Independence Trail는 텔 아비브 대로의 구조에 부드럽게 통합되어 중요한 역사적 지점을 연결하고 강조하는 동시에 도시 풍경에 상징적인 시각적 요소를 만든다. 트레일은 3개 언어로 된 정보 텍스트를 제공하고, 방문자에게 찾아갈 수 있는 정보를 제시한다. 동일한 시각적 정보의 통일을 통해 읽기쉬운 도시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원활한 디지털 통합으로 산책로 및 도로 표지판은 모바일 및 태블릿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되어 방문자에게 더 쉬운 접근성과 더 깊은 경험을 제공한다.

"인간과 환경을 함께 생각하는 행동주의 디자인"

디자인 액티비즘 Design Activism

착한 디자인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다

알라스테어 풔드 루크 지음, 조원호 옮김  | 미술문화, 2010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디자인 행동주의

경제 발전에 대한 인류의 끝없는 환상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지구촌 사회의 각 부분은 죽어가고 있다. 빈부격차는 점점 더 커져만 간다. 세계환경개발위원회는 1987년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개념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뜻하는 말로, 전 세계가 지향하는 목표가 되었다. 산업과 함께 발달한 디자인은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 연구센터가 필요한 정보를 
쏙쏙 뽑아 전해드립니다.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02.320.1237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홍문관 926호 
hipdcenter@hongik.ac.kr  수신거부 Unsubscribe